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획논문 : 서애(西厓) 류성용(柳成龍)의 학문(學問)과 계승(繼承) ; 남북 분당과 서애 류성룡 = Ryu Seong-Ryong``s Role in the Split into Namin and Bukin Par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39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 선조대 동인의 남북분당 과정을 동인 내의 갈등, 갈등 심화로 인한 분당, 대립의 고착이라는 세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발생한 사안에 관한 검토를 통해 남인과 북인으로...

      이 논문은 조선 선조대 동인의 남북분당 과정을 동인 내의 갈등, 갈등 심화로 인한 분당, 대립의 고착이라는 세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발생한 사안에 관한 검토를 통해 남인과 북인으로의 분당 과정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특히 단계별 과정에서 나타난 류성룡의 역할에 주목하여 이를 통해 그의 영향과 위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먼저 동인 내부의 남북 갈등이 있었던 시기는 선조 13년으로부터 선조 22년 기축옥사가 일어나기 전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선조 22년의 기축옥사로 인해 동인은 남인과 북인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고 보았다. 그리고 남인과 북인의 대립은 선조 31년 류성룡이 북인의 대대적인 공격을 받아 실각하고 북인정권이 들어서게 되면서 고착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남북분당의 과정을 거치면서 류성룡은 처음에는 동인의 중심인물 나중에는 남인의 영수로서의 위상을 가지게 되었다. 그는 중심적 위치에 서기에 여러 가지 좋은 조건과 자질을 두루 갖춘 인물이었다. 퇴계 이황의 수제자로 자리매김할 정도로 훌륭한 자질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선배와 동문, 그리고 제자 등 폭넓은 지지 세력을 확보하고 있었다. 문과를 거쳐 관직에 나아가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치면서 최고 관직인 영의정에까지 이른 점도 대표성을 확보하기에 좋은 조건이었다. 임진왜란기에 영의정을 맡아 위기의 국면을 성공적으로 수습하고 왜란을 극복한 점도 상징성을 부여받기에 충분한 요소였다. 더구나 임란 말기 북인의 집요한 공격으로 삭탈관작에 처해져서 낙향하는 극 적인 모습도 남인의 대표자로서의 모습을 강한 이미지로 각인시키기에 충분하였다. 류성룡의 거물로서의 풍모는 억울한 삭탈관작이라는 아쉬움으로 인해 더 강한 인상을 당대인의 기억 속에 남기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vided the process of the split into Namin and Bukin Party from the Dongin Party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in Joseon into three stages: conflicts within the Dongin Party, the split due to the deteriorating conflicts, fixation of conf...

      This study divided the process of the split into Namin and Bukin Party from the Dongin Party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in Joseon into three stages: conflicts within the Dongin Party, the split due to the deteriorating conflicts, fixation of confrontations.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roles of Ryu Seong-ryong in each stage, the study set out to demonstrate his influences and status. The period of Namin-Bukin conflicts within the Dongin Party lasted from the 13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to the 22nd year of his reign before the outbreak of Gichukoksa, which seemed to have caused Dongin to split between Namin and Bukin. Confrontations between Namin and Bukin became fixed as Ryu lost his position after the extensive attacks of Bukin in the 31st year of King Seonjo``s reign and the Bukin administration was established.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the split between Namin and Bukin Parties, Ryu was initially a central figure of Dongin and later held the status of leader of Namin. Various kinds of good conditions and qualifications aided him in taking a central position. He had such outstanding talents that he established himself as the best pupil of Lee Hwang. Based on the conditions, he secured a broad network of supports including his predecessors, alumni, and pupils.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started a career in public offices, and finally was appointed to Yeonguijeong, the highest position in public offices, which was a good condition for him to secure representativenes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he successfully straightened out the national crisis and overcame the war as Yeonguijeong, an element good enough to grant him symbolism. At the end of the war, he was forced to leave his position and rank due to the persistent attacks of Bukin and retired to the country, dramatic aspects of his that worked to imprint his strong image as the leader of Namin. His presence as an important figure combined with his pitiful and unfair situation of being forced to leave his position and rank helped him leave even stronger impressions in the memory of his contemporary peopl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