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az, O, "흙의 자식들 외" 솔 1999
2 Paz, O, "활과 리라" 솔 1998
3 진중권, "현대미학강의" 아트북스 2003
4 신범순, "한국현대시사의 매듭과 혼" 민지사 1992
5 Deleuze, G, "프루스트와 기호들" 민음사 1997
6 이숭원, "풍속의 시화와 눌변의 미학(한국시문학의 비평적 탐구)" 삼지원 1985
7 박성수, "표면의 사유 혹은 어린이 되기" (21) : 141-154,
8 최성만, "탈마법화시키는 마법-벤야민의 미메시스적 읽기" (25) : 223-254,
9 서동욱, "차이와 타자" 문학과지성사 2000
10 Karatani, Kojin,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97
1 Paz, O, "흙의 자식들 외" 솔 1999
2 Paz, O, "활과 리라" 솔 1998
3 진중권, "현대미학강의" 아트북스 2003
4 신범순, "한국현대시사의 매듭과 혼" 민지사 1992
5 Deleuze, G, "프루스트와 기호들" 민음사 1997
6 이숭원, "풍속의 시화와 눌변의 미학(한국시문학의 비평적 탐구)" 삼지원 1985
7 박성수, "표면의 사유 혹은 어린이 되기" (21) : 141-154,
8 최성만, "탈마법화시키는 마법-벤야민의 미메시스적 읽기" (25) : 223-254,
9 서동욱, "차이와 타자" 문학과지성사 2000
10 Karatani, Kojin,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97
11 Paz, O, "이중 불꽃" 이레 1996
12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2003
13 백석, "사슴" 선광 인쇄 주식회사 1936
14 김재용, "백석전집" 실천문학 1997
15 고형진, "백석시연구" 고려대 대학원 1983
16 김윤식, "백석론-허무의 늪 건너기(우리 소설을 위한 변명)" 고려원 1990
17 윤지영, "백석 시에 드러나는 시적 주체의 사유 과정 연구"
18 Benjamin, W,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19 이동순, "민족시인 백석의 주체적 시정신(백석시전집)" 창작과비평사 1987
20 서동욱, "들뢰즈의 철학" 민음사 2002
21 이진경, "노마디즘 1․2" 휴머니스트 2002
22 노명우, "계몽의 변증법을 넘어서" 문학과지성사 2002
23 최학출,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시의 근대성과 주체의 욕망체계에 대한 연구" 서강대 대학원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