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불교전통작법무 : 영남불교 안정사 전통 작법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0018751

      • 저자
      • 발행사항

        가평군: 불교통신교육원, 2000

      • 발행연도

        200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85.1 판사항(4)

      • DDC

        793.31 판사항(21)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경기도

      • 서명/저자사항

        불교전통작법무: 영남불교 안정사 전통 작법무 / 김영규 著; 김인택 編纂

      • 형태사항

        190p.: 삽도, 도판; 27cm

      • 일반주기명

        불교 영산 무형문화재 제9호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머리말 = 3
      • 경찬사 = 5
      • 일러두기 = 6
      • 제1편 불교전통작법무
      • 목차
      • 머리말 = 3
      • 경찬사 = 5
      • 일러두기 = 6
      • 제1편 불교전통작법무
      • 1. 춤의 구분 = 13
      • 2. 작법무 = 14
      • 3. 작법무의 종류 = 14
      • ① 삼귀의례 작법무 = 14
      • ② 운심게 작법무 = 15
      • ③ 육법공양 작법무 = 16
      • ④ 다게 작법 = 16
      • ⑤ 사다라니 작법무 = 17
      • ⑥ 천수바라 작법무 = 18
      • 4. 작법송(作法頌) = 19
      • ① 삼보에 대한 예경 및 찬탄 송 = 19
      • ② 요잡 7족 7·7, 49회, 6회, 8도 10선 = 19
      • ③ 작법무의 의복에 관하여 = 21
      • 5. 작법 도표 = 22
      • ① 삼귀의례(三歸依禮) = 22
      • ② 운심게 작법무(運心偈 作法舞) = 25
      • ③ 육법공양 작법무 = 29
      • ④ 다게 작법무 = 33
      • ⑤ 천수바라 작법무 = 37
      • ⑥ 사다라니 작법무 = 38
      • 6. 작법무에 대한 구분 = 39
      • ① 삼귀의례 작법무 = 39
      • ② 삼귀의례 해설 = 39
      • ③ 사개법요(四箇法要) = 40
      • ④ 다섯 번 몸짓 = 40
      • ⑤ 지연(持蓮) = 41
      • ⑥ 칠보행(七步行) = 41
      • ⑦ 감로(甘露) = 41
      • ⑧ 바라해설 = 42
      • 7. 육법공양의 의의 = 43
      • 1 육법공양(六法供養) = 43
      • 2 육법공양게(六法供養偈) = 44
      • 3 욕건만다라송 정법계진언 사다라니 = 45
      • 4 향축(香祝) = 45
      • 5 배헌해탈향(拜獻解脫香) = 45
      • 6 등공양찬(燈供養讚) = 46
      • 7 배헌반야등(拜獻般若燈) = 46
      • 8 다공양찬(茶供養讚) = 46
      • 9 배헌감로다(拜獻甘露茶) = 47
      • 10 과공양찬(果供養讚) = 47
      • 11 배헌보리과(拜獻菩提果) = 48
      • 12 화공양찬(花供養讚) = 48
      • 13 배헌만행화(拜獻萬行花) = 48
      • 14 미공양찬(米供養讚) = 49
      • 15 배헌선열미(拜獻禪悅味) = 49
      • 16 걸수(乞水) = 50
      • 17 쇄향수진언(灑香水眞言) = 50
      • 18 복청게(伏請偈) = 50
      • 19 사방찬(四方讚) = 51
      • 20 도량찬(道場讚) = 51
      • 제2편 불교음악과 범패(梵唄)
      • 1. 범패의 유래 = 53
      • 2. 재(齋)와 범패(梵唄) = 58
      • ①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 = 58
      • ② 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 = 58
      • ③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 = 58
      • ④ 수륙재(水陸齋) = 61
      • ⑤ 영산재(靈山齋) = 64
      • 3. 범패의 종류 = 68
      • ① 안채비소리(염불) = 68
      • ② 훗소리 = 68
      • ③ 짓소리 = 69
      • ④ 화청(和請) = 73
      • 4. 불교가곡(佛敎歌曲) = 74
      • ① 백발가(白髮歌 : 늙는 것을 한탄한 노래) = 74
      • ② 몽환가(夢幻歌 : 세상이 허망하여 꿈과 같음을 경각한 노래) = 78
      • ③ 회심곡(回心曲 : 자신을 반성한 노래) = 81
      • ④ 참선곡(參禪曲 : 참선하기를 권하는 노래) = 84
      • 제3편 불교무용과 범무(梵舞)
      • 1. 범무의 유래 = 89
      • 2. 범무의 종류 = 91
      • ① 나비춤(蝶舞) = 91
      • ② 바라춤(鉢羅舞) = 92
      • ③ 법고춤(法鼓舞) = 94
      • ④ 타주(打柱) = 94
      • 제4편 인류와 문화와 한국의 전통문화
      • 1. 인류와 문화 = 97
      • 2. 한국의 전통문화 = 100
      • 3. 문화재의 관리와 보존 = 115
      • ① 세계의 문화재 = 115
      • ② 한국의 문화재 = 117
      • (가) 유형문화재 = 118
      • (나) 명승·천연기념물 = 119
      • (다) 무형문화재 = 121
      • (라) 민속자료 = 122
      • (마) 지방지정문화재 = 123
      • (바) 매장문화재 = 123
      • (사) 해외유출문화재 = 125
      • ③ 보전과 관리 = 128
      • (가) 복원·복구 = 128
      • (나) 동산문화재의 관리 = 129
      • (다) 무형문화재의 전승교육 = 129
      • (라) 보존과학 = 129
      • (마) 문화재의 전시 = 130
      • (바) 문화재관리국 = 131
      • (사) 문화재보호법 = 131
      • (아) 문화재위원회 = 132
      • 제5편 기타 논문과 설화
      • 1. 논문(佛敎儀式인 梵音·梵唄에 對한 小考) = 135
      • ① 서언(緖言) = 135
      • ② 본론(本論) = 137
      • a. 印度의 梵唄源流 = 137
      • b. 中國의 梵唄 源流 = 139
      • c. 韓國의 梵唄 源流 = 141
      • 2. 설화(說話) = 143
      • 1 육방예배 = 143
      • 2 불설삼세 인과경 = 156
      • 3 팔만세행경(八萬細行經) 법문 = 164
      • 4 대집경(大集經) 법문 = 164
      • 5 효양경(孝養經) 법문 = 164
      • 6 세정경(洗淨經) 법문 = 165
      • 7 선생경(善生經) 법문 = 165
      • 8 화엄경(華嚴經) 법문 = 165
      • 9 범망경(梵網經) 법문 = 167
      • 10 한가지 선근(善根)을 심은 보(報) = 167
      • 11 오경화(五莖花) = 167
      • 12 애벌레가 나비가 되다 = 170
      • 13 가난한 여인의 등불 = 179
      • 14 가난한 제바(提婆)가 불공을 드리고 부자가 된 인연 = 181
      • 15 어린아이가 꽃을 뿌려 부처님께 공양한 인연 = 184
      • 16 범여왕이 바라문에게 두 눈을 보시한 인연 = 186
      • 17 석가여래 인간선언 = 186
      • 발문(跋文) = 189
      • 해강대종사 문도회 = 190
      • 시주자 명단 = 1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