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차세대 콘솔 게임기를 위한 스포츠 게임 캐릭터 개발 변화 = EA의 차세대 스포츠 게임 피파14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692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게임산업은 산업으로의 이윤 창출의 목적과 비약적인 IT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산업의 핵심분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게임시장에서 게임에 특화...

      오늘날 게임산업은 산업으로의 이윤 창출의 목적과 비약적인 IT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산업의 핵심분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게임시장에서 게임에 특화된 매체인 콘솔 게임기의 지속적 성장을 이끌어왔으며, 최근 차세대 게임기의 출시로 콘솔시장은 또한번의 급격한 성장동력을 얻게 되었다. 또한 차세대 콘솔의 등장은 그간 게임 제작사에서 프로토타입단계로 선보여졌던 신기술들의 본격 상용화를 의미하며, 시각적으로 게임 그래픽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리라 업계는 판단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듯 새로운 콘솔기기의 등장은 곧 게임 콘텐츠의 시각적 발전을 의미하기에, 차세대 콘솔기기의 기능적 비교와 함께 차세대 콘솔 게임의 캐릭터 개발과 관련된 변화들에 대한 실무적 관점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차세대 콘솔게임을 규정하고 그것의 역사를 선행연구로 살펴본 후, 차세대 콘솔 게임기의 진보된 기술력을 보여주는 스포츠 게임인 피파14를 가지고 스포츠 게임 속 캐릭터 구현의 핵심적 변화들을 다섯 가지로 분석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차세대 게임에서 구현된 다양한 캐릭터 개발과정에 대한 실무적 관점의 비교와 정보의 제공을 통하여, 차세대 게임 캐릭터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가이드라인을 표준화하여 개발자들에게 개발의 기획부터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캐릭터 구현 정보를 제공함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dern game development business has shown its progress as the core section of multi-media industry throughout the huge improvement of both elevating revenue growth and innovative IT technology. Due to the steady improvement of computing process, game...

      Modern game development business has shown its progress as the core section of multi-media industry throughout the huge improvement of both elevating revenue growth and innovative IT technology. Due to the steady improvement of computing process, game system developers were able to produce the specific evolved media such as next-generation console game system. This development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to express the both graphical satisfaction and technical optimization to achieve the high quality of contents from the next-generation game market by presenting the testimonial showcase where the prototype stage was performed in the past console development cycle.
      This study decided there are needs to analyse the changes of developing the next-generation console game system in the practical point of view, therefore the study will define the console’s meaning by researching the history of console game system with adopting FIFA 14 sport game, where the five core changes has applied to the game character implementation in next-generation console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has its purpose to provide not only the standardization of complemented guideline in character development, but also case study of operational system set up in the next-generation sport games comparing previous generation game titles through the practical point of vie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차세대 콘솔 게임기란
      • 3. 스포츠 게임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차세대 콘솔 게임기란
      • 3. 스포츠 게임
      • 4. 차세대 스포츠 게임, 캐릭터 관련 주요 변화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위키피디아"

      2 "위키백과"

      3 오현주, "게임 캐릭터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2 (2): 2004

      4 Jason Gregory, "Game Engine Architecture" A K Peters/CRC Press 2009

      5 "EA games 홈페이지"

      6 Bryan Tillman, "Create Character Design" Focal Press 2011

      1 "위키피디아"

      2 "위키백과"

      3 오현주, "게임 캐릭터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2 (2): 2004

      4 Jason Gregory, "Game Engine Architecture" A K Peters/CRC Press 2009

      5 "EA games 홈페이지"

      6 Bryan Tillman, "Create Character Design" Focal Press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4 0.52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