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거래비용이론 관점에서- = The Role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for Village Community Activation: In the Perspective of Transaction Cos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2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간지원조직의 중요성은 누구나 인식하고 있지만 기존 연구는 선언적으로 그 중요성과 역할을 주장할 뿐, 도시형과 농촌형 마을공동체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체계적·종합적으로 분석하�...

      중간지원조직의 중요성은 누구나 인식하고 있지만 기존 연구는 선언적으로 그 중요성과 역할을 주장할 뿐, 도시형과 농촌형 마을공동체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체계적·종합적으로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거래비용이론 시각에서 도시형과 농촌형 마을공동체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한다. 연구결과를 보면, 중간지원조직들이 거래비용이 많이 발생할 여지가 있는 부분들을 체계적으로 발굴해서 네트워크와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고, 불확실성과 자산전속성을 낮추는 다양한 대안들을 개발하여 성공적으로 추진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주목할 점은 도시형과 농촌형 마을공동체 중간지원조직들은 각각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도시형 마을공동체의 중간지원조직은 공동체의 내적결속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농촌형 마을공동체의 중간지원조직은 마을 간의 공동체의식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농촌형 공동체 중간 지원조직은 정보의 접근성이 낮은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식들을 취하는 반면에 접근성이 높은 도시형 공동체는 사람과 사람이 직접적으로 만나서 정보와 기술을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반면에, 도시형과 농촌형 공동체의 중간지원조직은 모두 교육을 통한 주민 역량강화를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며 마을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질적으로 역량강화가 이루어지는 교육을 실시하였다. 특히, 자생적 역량과 지속성을 위해서 실무지원보다는 홍보, 정보 및 자원지원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는 마을공동체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에 대한 비판과 기대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거래비용이론을 토대로 보다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했고 공동체 유형의 특성에 맞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almost people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for village communities activation, previous studies have only declaratively asserted its importance and roles, but have not systematically analyzed the intermediary organ...

      Although almost people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for village communities activation, previous studies have only declaratively asserted its importance and roles, but have not systematically analyzed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s. In this aspect, this study systematically compares the roles of urban intermediary organizations with that of rural intermediary organizations by transaction cost theory, then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for activating village communities. According to analytical results, intermediary organizations systematically found problems which are able to raise variable transaction costs. They then activated interactive networks, and successfully carried forward various alternatives that can minimize uncertainty and asset specificity. Urban and rural intermediary organizations actively utilized networks in order to overcome their own limitations.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s of urban village community utilize networks for the internal cohesion of the community and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s of rural community actively make use of networks in order to strengthen a sense of community between the villages. Intermediary organizations of rural communities utilize strategies that overcome low information accessibility due to geographical boundary. However, urban community of high information accessibility uses strategies that directly provides information and technology through face to face interactions. However intermediary organizations of urban and rural community try to enhance residents’ capabilities by developing customized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residents abilities and training residents. In particular, intermediary organizations focus on marketing, information and resource support for self-growing capacity and sustainability rather than practical work supports. This study has cri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made an effort to systematically analyze village community cases based on transaction cost theory and suggested the roles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fit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village community types because the criticism and expectation for the roles of community intermediary organization has substantially increa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윤경,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지역공동체의 역할과 과제: 충청북도 괴산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23 (23): 141-172, 2013

      2 한상일, "한국 사회적 기업의 지역자산 활용 : 자산기반지역공동체발전 관점에서의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 (27): 153-180, 2013

      3 정규호, "한국 도시공동체운동의 전개과정과 협력형 모델의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7-34, 2012

      4 정규호, "풀뿌리 사회경제 거버넌스의 의미와 역할: 원주지역 협동조합운동을 사례로" 제3섹터연구소 6 (6): 113-148, 2008

      5 커뮤니티 비즈니스센터, "커뮤니티비즈니스 중간지원조직 운영매뉴얼"

      6 우치다 유조, "커뮤니티 워크를 활용한 마을만들기" 82 : 5-23, 2006

      7 이홍택,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발전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미산 마을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15 (15): 708-720, 2012

      8 최현선, "커뮤니티 개발에 기반 한 도시재생정책:미국, 영국,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2 (22): 255-275, 2012

      9 여성신문, "참여넘어 마을 민주주의가 목표"

      10 "진안군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인터뷰자료"

      1 오윤경,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지역공동체의 역할과 과제: 충청북도 괴산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23 (23): 141-172, 2013

      2 한상일, "한국 사회적 기업의 지역자산 활용 : 자산기반지역공동체발전 관점에서의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 (27): 153-180, 2013

      3 정규호, "한국 도시공동체운동의 전개과정과 협력형 모델의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7-34, 2012

      4 정규호, "풀뿌리 사회경제 거버넌스의 의미와 역할: 원주지역 협동조합운동을 사례로" 제3섹터연구소 6 (6): 113-148, 2008

      5 커뮤니티 비즈니스센터, "커뮤니티비즈니스 중간지원조직 운영매뉴얼"

      6 우치다 유조, "커뮤니티 워크를 활용한 마을만들기" 82 : 5-23, 2006

      7 이홍택,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발전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미산 마을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15 (15): 708-720, 2012

      8 최현선, "커뮤니티 개발에 기반 한 도시재생정책:미국, 영국,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2 (22): 255-275, 2012

      9 여성신문, "참여넘어 마을 민주주의가 목표"

      10 "진안군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인터뷰자료"

      11 배응환, "지역혁신체제와 중개조직 - 대덕밸리의 BI사업과 RIC사업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7 (17): 193-222, 2008

      12 박인권,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 24 (24): 1-26, 2012

      13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23 (23): 213-, 1998

      14 박병춘, "지역발전과 지역공동체-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모형 및 기본 정책 방향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20 (20): 1-26, 2012

      15 최승호, "지역마을공동체 만들기를 통한 자립방안연구: 사회적자본론의 관점에서" 한국정책학회 41-58, 2008

      16 양덕순,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75-93, 2008

      17 송창용,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111-129, 2009

      18 채종헌,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사회통합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KIPA 2014

      19 최인수,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선진형 행・재정적 지원체계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20 박종관, "지역공동체 형성전략연구 -천안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83-193, 2012

      21 전대욱,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전략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22 김 구, "지역공동체 복원 및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7

      23 김학실, "지역경제 위기에 대응한 사회적 경제 지원방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경제 중간지원조직 활동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75-97, 2014

      24 고경훈, "지방정부 3.0의 개념과 방향" 한국행정학회 2013

      25 김현호,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26 이왕건, "주민중심의 커뮤니티를 활용한 도시・지역 재생방안" 363 : 22-29, 2012

      27 김선기, "주민주도형 지역만들기 추진 모형"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7

      28 하현상, "정부지원 마을공동체 사업의 현재와 나아갈 길, 공동체발전 국민포럼" 한국정책학회 2015

      29 고광용, "자치구 마을공동체 네트워크와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비교연구 : 서울시 동대문구와 성북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31-159, 2014

      30 이자성, "일본 지역공동체 경영을 위한 주민참여와 커뮤니티 비즈니스" 한국행정학회 1468-1486, 2010

      31 불교공뉴스, "으뜸마을 가꾸기, 성공사례 전북 진안을 찾아"

      32 고재경, "유럽 에너지자립마을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특징 연구" 한국환경정책학회 22 (22): 101-135, 2014

      33 곽현근, "영국 신노동당 정부의 동네재생 국가전략과 동네관리" (291) : 24-27, 2012

      34 성북이야기 마을포커스, "성북청년 마을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35 자치뉴스, "성북구 제 2기 성북구 마을만들기 운영위원회 출범"

      36 "성북구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인터뷰자료"

      37 기영화, "성미산 지역공동체 커뮤니티웰빙의 패러다임 모형분석: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한국행정학회 47 (47): 295-320, 2013

      38 새성북신문, "새 성북을 꿈꾼다, 정진국 삼태기마을 주민협의체 위원장 인터뷰"

      39 새성북신문, "새 성북을 꿈꾼다, 2012년 성북구 10대 뉴스"

      40 성경륭, "살기좋은지역만들기" 제이플러스 애드 12-39, 2006

      41 한상일, "사회적 기업과 지역공동체 발전"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3 (3): 223-246, 2010

      42 서울시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마을살이 작은연구"

      43 여관현, "마을만들기 추진단계별 주민자치의 실천에 관한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32, 2015

      44 송인하, "마을공동체운동의 성공조건과 과제" 14 : 33-64, 2010

      45 박태정, "마을공동체사업의 프로그램논리모형에 대한 연구- 서울특별시 강북구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5 (15): 31-55, 2014

      46 최진식, "마을공동체 사업의 핵심적 성공요인, 공동체발전 국민포럼" 한국정책학회 2015

      47 김찬동, "마을공동체 복원을 통한 주민자치 실현방안" 서울연구원 2012

      48 여관현, "마을 만들기를 통한 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53-87, 2013

      49 진안군 군정소식지, "로컬푸드 운동, 진안에서도 시작되다"

      50 이재열, "도시와 농촌의 지역공동체 복원: 이론과 현실" 한국사회학회 2006

      51 황익주, "도시 이벤트를 활용한 도시 지역공동체 형성의 과제 4개 도시 사례의 비교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101-128, 2012

      52 이차희, "농촌체험관광 중간지원조직 역할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양평군·이천시 농촌나드리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20 (20): 75-88, 2014

      53 김재현, "농촌지역활성화를 위한 기업의 지역사회투자활동과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농촌사랑국민운동본부의 1사1촌 운동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14 (14): 211-224, 2011

      54 성희자, "농촌 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7) : 149-170, 2006

      55 Nisbet, R. A., "공동체이론의 역사,공동체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5

      56 임우현, "공동체의식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관의 후원자 관리 방안"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57 이종수, "공동체: 유토피아에서 마을만들기까지" 박영사 2015

      58 전지훈, "공동체 활동과 문화를 통한 지역발전 연구: 코인스트리트, 나가하마, 삼덕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503-534, 2014

      59 최병두, "공동체 이론의 전개과정과 도시 공동체 운동" 6 : 32-50, 2000

      60 고재경, "경기도 저탄소 녹색마을 중간지원조직 발전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2

      61 남원석, "경기도 마을만들기 지원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2

      62 Compass Partnership, "Working towards an Infrastructure Strategy for the Voluntary and Community Sector" Infrastructure Strategy OPM/Compass Partnership 2014

      63 Williamson. Oliver, "The Economics Institution of Capitalism" The Free Press 1985

      64 McMilian, D. W., "Sense of Community : A Definition and Theory" 14 (14): 6-23, 1986

      65 Lewicka, Maria, "Place Attatchment: How Far Have We Come in the Last 40years?" 31 (31): 207-230, 2011

      66 Schorr L. B., "Intermediaries and Their Potential Role in Support of Promise Neighborhood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1-5, 2010

      67 Major. E. M., "Engaging the Business Support Network to give SMEs the Benefit of Foresight" 20 : 589-602, 2000

      68 Eagle, Nathan, "Community Computing: Comparisons between Rural and Urban Societies using Mobile Phone Data" 4 : 144-150, 2009

      69 Kellog Foundation, "Building Community Capacity: an Initial Inventory of Local Intermediary Organization" Assocaition for the Study and Development of Community 2002

      70 Putnam, Robert D.,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 Schuster 2000

      71 Kretzmann, J., "Assets-based Community Development" 85 (85): 23-29,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3 1.8 1.759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