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n the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from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359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meta-analysis that aims to provide a systematic and in-depth analysis of the experiences in bilingual education with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a total of 13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conducted on the top...

      This study is a qualitative meta-analysis that aims to provide a systematic and in-depth analysis of the experiences in bilingual education with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a total of 13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conducted on the topic.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we were able to comprehensively reflect on bilingual education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allowing us to identify specific and detailed characteristics of parental perceptions, experiences, and meanings that are difficult to capture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From this, we were able to derive conclusions.
      Based on this, we redefined and reconstructed the bilingual education experiences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key experiences and using case studies as the central point. The resulting research finding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aspects: "Native Language as a 'Threatened' Language,” "Native Language as a Language to 'Overcome' Challenges,” "Native Language as a Language for 'Healing',” and "Native Language for 'Coexistence'.”
      Currently, there are individual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exploring bilingual education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there are no cases where these studies have been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Conducting qualitative meta-analysis on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bilingual education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is significant for utiliz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a basis. It helps us understand the challenges faced in bilingual education, how these challenges are overcome, and how new educational methods are reconstructed. This research serves as a foundation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and fundamental data research related to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n society.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is: 1) What are the transformation processes observed in previous research on 'bilingual education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The second research problem is: 2) What are the meanings of personal and social experiences observed in previous research on 'bilingual education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To address Research Problem 1 and Research Problem 2,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search framework for analysis were presented. Drawing upon previous studies,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designed based on the methodology of Nayar (2008) and Noblit & Hare (1988), among othe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holars. This qualitative meta-analysis utilized a team of qualitative researchers and employed qualitative appraisal criteria, including the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 (CASP, 2018) methods, as well as the evaluation criteria of Sandelowski and Barroso (2002) and researcher neutrality criteria from Salter et al. (2008) study. The data analysis methods were described in detail to enhanc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derived four key themes, seven comprehensive themes, and twenty-two technical themes based on the developmental aspect, communicative aspect, self-identity formation aspect, and cultural resource aspect of bilingual education presented in Chapter 2's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at the stages of native language for "threatened”, native language for "overcoming”, native language for "healing”, and native language for "coexistence”, derived through the comprehensive themes and technical themes, is as follows.
      First, in the stage of the native language for "threatened”, mothers were unable to escape from their uncertain concerns about native language education and their busy daily lives, which inevitably led to neglect in their children's native language education. Furthermore, there are concerns about bilingual education, including feelings of powerlessness due to opposition from family members to mother tongue education. Moreover, they face negative perceptions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from their surroundings and public institutions within an assimilationist atmosphere. They also express discomfort at the societal level due to insufficient educational information about native language education and the absence of government policies in this regard.
      Second, in the stage of native language for "overcoming” challenges, Before receiving support for bilingual education, there were numerous challenges and difficulties. The children faced disregard and refusal regarding their mother's native language acquisition, while the mothers themselves experienced hardship amidst their desire and concerns about teaching the native language. After receiving support for bilingual education, mothers found new ways to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and expressed great happiness and pride in teaching the native language. The children also showed interest in the new learning methods and gradually adapted to them. Through the support process, they explored both the hardships and joys of bilingu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multicultural Chinese families engaged in native language education, mothers can be observed adopting various strategies and going through trial and error to find effective methods for native language acquisition. This demonstrates their commitment to providing native language education.
      Third, in the stage of native language for "healing”, Thirdly, in the case of "healing" native language, the explo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is observed through the support and encouragement for native language education from family members and individuals in the surrounding community. In multicultural Chinese families where bilingualism is practiced, children form deep bonds with their mothers through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in the native language, recognizing their mothers as reliable and proud figures in their lives.
      Lastly, in the stage of native language for "coexistence”, In multicultural Chinese families, there is a hope that children will have a bright future through bilingual education and become global talents equipped with cognitive, emotional,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t is desired that they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The discussion on the key findings includ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irstly, through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bilingual education experiences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significant patterns were identified in mothers' formation of strategies for native language instruction. Secondly, it was observed that through the experiences of conflicts and clashe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during the bilingual education support process, a healthy synergy of language acquisition and instruction was established. Third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members of Korean society. Additionally, specific and detailed policy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r bilingual education is crucial.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can be made, the first recommendation is the need for improved awareness of bilingual education among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ly, there is a need for human rights education targeted towards marriage immigrants. Thirdly,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embers of Korean society needs to be strengthened. Lastly, specific and detailed policy support from the government regarding bilingual education is necessary.
      Children with bilingualism and biculturalism establish an "interface" between two countries and two cultural groups and also posses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 mediator. They can refer to and compare two languages and two cultural groups, which allows them to have a unique perspective on groups or stand out (Barbary & Bower, 2016: 77).
      In Korean society, where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is gradually increasing, it is crucial to consider bilingual education as a significant agenda that can contribute to Korean society. Exploring the bilingual education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ir nationalities and continuously conducting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에 관하여 선행연구한 총 13편의 질적연구물을 바탕으로 중국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에서 어떠한 경험이 있었는지에 대해 체계적이고 심층...

      본 연구는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에 관하여 선행연구한 총 13편의 질적연구물을 바탕으로 중국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에서 어떠한 경험이 있었는지에 대해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한 질적메타분석이다. 질적메타분석을 통해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을 종합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양적연구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부모인식, 경험 및 의미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핵심경험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피형참극[披荊斬棘]’의 이중언어교육 경험의 재설정을 재구성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위협”받는 모국어’, ‘“극복”하는 모국어’, ‘“치유”하는 모국어’, ‘“공존”위한 모국어’의 4가지이다.
      현재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을 탐색하는 개별 질적 연구물들은 있으나, 이를 질적메타분석으로 분석한 사례는 없다.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 경험 및 의미에 대해 질적메타분석을 실시하는 것은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 어려움이 무엇인지, 그 어려움들을 어떻게 극복하고 새로운 교육방법을 재구성을 하였는지를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의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사회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기초자료 연구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1)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그들의 변화과정은 어떠한가?
      2)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그들의 개인적·사회적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해 제 2장 이론적 배경에서 연구 분석틀을 제시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나장함(2008)& Noblit & Hare(1988) 등 국내외 학자들의 질적메타분석 연구방법론을 근거로 질적메타분석을 설계하였다. 본 질적메타분석을 질적연구자로 구성된 분석팀, Critical Appraisal Skill Programme(CASP, 2018)의 방법과 이혜은·정태욱(2020) 연구에서 Sandelowski과 Barroso(2002)의 평가 기준과 Salter 외(2008) 연구의 연구자 중립성 기준을 포함하여 세운 질적 평가 기준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 2장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한 이중언어교육의 발달적 측면, 의사소통적 측면, 자아정체성 형성 측면, 문화자원적 측면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핵심 주제 4가지, 종합적 주제 7가지, 기술적 주제 22 가지를 도출하였다. 종합적 주제와 기술적 주제 도출로“위협”받는 모국어, “극복”하는 모국어, “치유”하는 모국어, “공존”위한 모국어 단계에서의 종합적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협”받는 모국어에서 어머니들은 모국어 교육에 대한 확실하지 않은 고민과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므로 자녀의 모국어 교육에도 소홀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가족 구성원부터 모국어 교육의 반대로 인한 무력감 등 개인 차원에서 이중언어교육의 고민을 갖는다. 그뿐만 아니라 동화 분위기 속에서 주변 및 공공기관으로부터 모국어 교육의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받고, 모국어 교육에 대한 교육정보 부족, 정부 정책의 부재 등으로 인해 사회 차원에서의 불편함을 호소하였다.
      둘째, “극복”하는 모국어에서 이중언어교육 지원과정을 받기 전, 많은 어려움들이 있었다. 자녀들은 어머니의 모국어 습득에 대한 무시 및 거부, 어머니들은 모국어 가르침에 대한 갈망과 고민 속에서 고난을 겪었다. 이중언어교육 지원과정을 받은 후, 어머니들은 새로운 방법을 찾아 자녀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모국어가르침에 매우 행복하고 뿌듯해하며, 아이도 새로운 학습방법에 대한 관심을 갖고 점차 적응하는 모습 등 지원과정에서의 “고락(苦樂)”을 탐색하였다. 한편, 모국어 교육을 하는 중국계 다문화가정에서 어머니들은 여러 방법으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모국어 습득의 전략을 찾아 나아가며 모국어 교육을 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치유”를 하는 모국어에서 가정 구성원들부터 주변 사람들까지의 모국어 교육을 지지하고 응원해주는 것으로 다문화사회의 양상을 탐색하였고,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중국계 다문화가정에서 자녀들은 어머니와 모국어로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깊은 유대관계를 형성하면서 엄마를 든든하고 자랑스러운 존재로 인식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존”하는 모국어에서 중국계 다문화가정에서 자녀가 이중언어교육을 통해 밝은 장래를 갖기를 기대하며, 한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인지적·정서적·사고적 등 역량을 갖춘 글로벌 인재가 되기를 바란다.
      주요결과에 대한 논의는 첫째, 중국계 다문화가정 이중언어교육 경험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하여 어머니의 모국어가르침의 전략 형성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중언어교육 지원과정에서 어머니 및 자녀 간의 부딪힘과 갈등 경험을 통해 건전한 이중언어 습득·가르침 호흡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 경험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과 극복 과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모색하고 사회적 발전의 형성과 의의를 확인하였다.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첫째, 다문화가정 내 구성원의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결혼이민자 대상으로 인권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사회 구성원의 다문화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정부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정책 지지가 필요하다.
      이중 문화와 이중언어를 가진 아이들은 두 나라, 두 문화집단이라는 ‘인턴페이스’를 정착하고 중개자(mediator)라는 특성도 함께 가지게 된다. 그들은 두 개의 언어와 두 개의 문화집단을 참조하고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집단을 바라보는 관점 또는 남다를 수 있다고 한다(바바리A·바우어, 2016: 77). 다문화가정 자녀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가정도 한국사회를 위해 기여할 수 있도록 이중언어교육을 매우 중요한 의제로 삼아야 하며 국적별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교육 경험을 탐색하고, 실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선행연구고찰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선행연구고찰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중국계 다문화가정 8
      • 1.1 다문화가정의 정의 및 유형 8
      • 1.2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특성 10
      • 2. 이중언어교육 14
      • 2.1 이중언어교육의 정의 14
      • 2.2 이중언어교육의 중요성 16
      • 2.3 국내외 이중언어교육 정책현황 21
      • Ⅲ. 연구방법 29
      • 1. 질적메타분석 정의 29
      • 2. 연구 내용 31
      • 2.1 연구 절차 31
      • 2.2 연구물 선정 34
      • 2.2.1 연구주제 및 연구문제 설정 34
      • 2.2.2 관련 연구물 검색 34
      • 2.2.3 연구물 포함과 배제의 준거 설정 35
      • 3. 논문의 질 평가 44
      • 4. 자료 분석팀 구성 및 타당도 확보 47
      • Ⅳ. 연구결과 48
      • 1. 분석대상의 해체와 분석 48
      • 1.1 부모인식 및 경험을 분석한 연구물 49
      • 1.2 이중언어교육지원 전후 변화과정을 분석한 연구물 55
      • 2. 연구유형별 비교 분석 결과 58
      • 3. 중국계 다문화가정 이중언어교육의 재구성: 피형참극[披荊斬棘]의 이중언어교육 경험을 통한 재설정 59
      • 3.1 “위협”받는 모국어 61
      • 3.2 “극복”하는 모국어 70
      • 3.3 “치유”하는 모국어 74
      • 3.4 “공존”하는 모국어 78
      • Ⅴ. 결론 80
      • 1. 요약 80
      • 2. 논의 및 제언 83
      • 참고문헌 88
      • ABSTRACT 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