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교과서의 창작영역 분석 = An Analysis of the Creating Areas in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96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교과서의 창작영역을 분석하여, 초등학교의 음악시간에 이루어지는 창작교육을 점검하고 개선되어야 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5, 6학년 음악교과서의 창작영역을 분석하여, 초등학교의 음악시간에 이루어지는 창작교육을 점검하고 개선되어야 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방법 이를 위해 음악교과서에서 창작영역이 차지하는 비중, 장르구성, 창작활동 유형, 타 활동영역과의 연계 등을 조사하여 특징을 찾고 개선점을 도출하였다.결과 창작영역은 27.70%(독립제재 3.16%, 통합제재 23.53%)를 차지하였으며 각 교과서에서의 비율은 20~ 30%인 경우가 많았다. 장르는 국악이 47.65%, 서양음악이 48.99%였다. 활동유형은 노랫말과 관련된 활동이 39.60%, 타 활동영역과의 연계는 가창영역과 연계된 활동이 55.7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결론 개선점으로 창작영역 장르의 다양화, 가락 관련 활동 비율 높이기, 다양한 영역 활동과의 연계가 요구된다. 그리고 최근의 변화된 사회와 시대상을 반영한 적절한 매체의 활용 및 다른 교과와의 연계도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check and find ways to improve music creating education by analyze the creating areas of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rs music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examined the pro...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check and find ways to improve music creating education by analyze the creating areas of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rs music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examined the proportion of creating areas in textbooks, genres, creating activities, and related to other areas of activity. Results In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r’s music textbook, the creating areas accounted for 27.70%(3.16% independent unit, 23.53% integrated unit), and the ratio in each textbook was usually 20~30%. In the genre, for Korean music was 47.65% and for Western music was 48.99%. There was many lyrical activities(39.60%), and related to singing areas activities(55.70%).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genres, increase the melodic activities, and related to activities in various areas. The use of appropriate media reflecting the recently society and times, and the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are also requi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원, "한국 음악교과서 분석관 논의" 29-57, 2015

      2 함희주,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창작활동 유형 분석" 미래음악교육학회 3 (3): 111-129, 2018

      3 김은주,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 영역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7-86, 2019

      4 김용희, "창의적 음악교육" 음악세계 2016

      5 석문주, "음악교육의 이해와실천" 교육과학사 2017

      6 김용희, "음악교수법" 학지사 307-360, 2010

      7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12])"

      8 Abril, C. R., "미래를 향한 새로운 음악교육 교수법, 이슈 및 관점" 학지사 2020

      9 현경실,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분석 연구: 창작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13 (13): 83-101, 2015

      10 Choksy, L., "Teaching music in the tsenty-first century" Prince Hall 2001

      1 정진원, "한국 음악교과서 분석관 논의" 29-57, 2015

      2 함희주,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창작활동 유형 분석" 미래음악교육학회 3 (3): 111-129, 2018

      3 김은주,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 영역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7-86, 2019

      4 김용희, "창의적 음악교육" 음악세계 2016

      5 석문주, "음악교육의 이해와실천" 교육과학사 2017

      6 김용희, "음악교수법" 학지사 307-360, 2010

      7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12])"

      8 Abril, C. R., "미래를 향한 새로운 음악교육 교수법, 이슈 및 관점" 학지사 2020

      9 현경실,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분석 연구: 창작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13 (13): 83-101, 2015

      10 Choksy, L., "Teaching music in the tsenty-first century" Prince Hall 2001

      11 Hickey, M., "Music outside the lines: ideas for composing in k-12 music Classroom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2 김서경, "2015 교육과정 초등 3-4 음악교과서 창작활동 분석" 10 : 47-78, 2018

      13 김민하, "2015 개정 초·중등 음악교과서의 국악 창작 활동 구현 양상"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13 (13): 5-36, 2019

      14 신혜경,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음악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91-710, 2019

      15 윤관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반영된 다른 예술영역 및 교과와의 연계 분석" 한국음악교육학회 48 (48): 207-221,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