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글로벌 브랜드숍의 상업적 공간에 대한 소비자의 체험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슈미트(Schmitt, 1999)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을 중심으로 = Effects of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on Brand Equ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2959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브랜드숍에 대한 방문객들의 체험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슈미트(Schmitt, 1999, 2003)의 총체적 체험이론을 바탕으로 ...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브랜드숍에 대한 방문객들의 체험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슈미트(Schmitt, 1999, 2003)의 총체적 체험이론을 바탕으로 브랜드숍에 대한 체험을 6개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체험적 요소들이 브랜드자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슈미트(Schmitt, 1999, 2003)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이 글로벌 환경에서도 적용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인종으로 구성된 싱가포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정준상관분석을 통하여 브랜드숍에 대한 브랜드자산 간의 정준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숍에 대한 총체적 체험과 브랜드자산 간에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브랜드숍에 대한 6개의 체험적 요소들 가운데 감성적 체험이 브랜드 자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각적 체험과 인지적 체험은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브랜드숍을 통한 브랜드자산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감성적 체험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하여 브랜드숍에 대한 체험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서, 슈미트(Schmitt, 1999, 2003)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이 글로벌 환경에서도 통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global consumers` experience of global brand shop on brand equi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lobal consumers` experiences of global brand shop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equit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global consumers` experience of global brand shop on brand equi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lobal consumers` experiences of global brand shop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equity composing of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A survey of a total of 255 consumers in Singapore was conduct to gather data to test research questions. The independent variable(or predictors) of this study is holistic experience composed of five experiential factors including FEEL, SENSE, THINK, ACT, and RELATION while the dependent variable is brand equity including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royalty.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and brand equit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first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76, which meant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and brand equ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FEEL among six experiential factors was the best predictor of brand equity while SENSE and THINK had no relationship with brand equ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theoretical foundation of building brand equity by using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길홍, 가인디자인 그룹 125 : 1999

      2 번트 H. 슈미트, "체험마케팅" 세종서적 2003

      3 권현수, "체험 마케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2002

      4 홍성준, "이동통신매장에서 체험요소와 매장성과간의 관계" 한국상품학회 27 (27): 109-121, 2009

      5 홍성용, "스페이스 마케팅" 삼성경제연구소 50-53, 2007

      6 김우성, "소비자 체험마케팅의 핵심적 특성들과 기여에 대한 고찰" 한국생활과학회 16 (16): 89-102, 2007

      7 전수영, "브랜드개성강화를 위한 공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획득되는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3 (13): 180-187, 2004

      8 이진용, "브랜드 경험에 대한 개념적 고찰과 실무적 시사점" 한국소비자학회 14 (14): 10-242, 2003

      9 박성연, "매장 내 감각적 체험이 매장태도와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감정과 만족의 매개적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1 (11): 1-13, 2006

      10 고정순, "경험마케팅" 대명 2004

      1 김길홍, 가인디자인 그룹 125 : 1999

      2 번트 H. 슈미트, "체험마케팅" 세종서적 2003

      3 권현수, "체험 마케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2002

      4 홍성준, "이동통신매장에서 체험요소와 매장성과간의 관계" 한국상품학회 27 (27): 109-121, 2009

      5 홍성용, "스페이스 마케팅" 삼성경제연구소 50-53, 2007

      6 김우성, "소비자 체험마케팅의 핵심적 특성들과 기여에 대한 고찰" 한국생활과학회 16 (16): 89-102, 2007

      7 전수영, "브랜드개성강화를 위한 공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획득되는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3 (13): 180-187, 2004

      8 이진용, "브랜드 경험에 대한 개념적 고찰과 실무적 시사점" 한국소비자학회 14 (14): 10-242, 2003

      9 박성연, "매장 내 감각적 체험이 매장태도와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감정과 만족의 매개적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1 (11): 1-13, 2006

      10 고정순, "경험마케팅" 대명 2004

      11 박성신, "‘제3의 공간’ 개념을 적용한 공간디자인의 마케팅 효과 - 이동통신사 체험매장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6) : 175-186, 2007

      12 Pine, B. J.,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76 (76): 97-105, 1998

      13 Holbrook, M. B., "The Experiment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 and Fun" 9 : 1982

      14 Pine, B. J., "The Experience Economy: Work Is Theater & Every Every Business a Sta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9

      15 Park, C. W., "Strategic Brand Concept-Image Management" 50 : 135-145, 1996

      16 Rem Koolhass, "Space is a marketing tool, in Project for Prada, part.1" 2001

      17 Zeithaml, V. A., "Services Marketing" McGraw-Hill 2000

      18 Hoffman, D. L.,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 60 (60): 50-68, 1996

      19 Nelson, P., "Information and Consumer Behavior" 78 : 311-329, 1970

      20 Hirschman, E. C.,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46 : 92-101, 1982

      21 Darby, M. R., "Free Competition and the Optimal Amount of Fraud" 16 : 67-88, 1973

      22 Schmitt, B. H., "Experiential Marketing: How to Get Customers to Sense, Feel, Think, Act, Relate to Your Conpany and Brands" The Free Press 1999

      23 O'Sullivan, E., "Experience Marketing" Venture Publishing 1998

      24 Robinette, S., "Emotion Marketing" 2003

      25 번트 H. 슈미트, "CRM을 넘어 CEM으로" 한언출판사 2004

      26 Keller, K. L., "Brand Synthesis: The Multidimensionality of Brand Knowledge" 29 (29): 595-600, 2003

      27 Kotler P., "Atmospherics as a Marketing Tool" 49 (49): 1973

      28 Singh, M., "A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Communication Formats: Advertising Versus Direct Experience When Both Search and Experience Attributes are Present" 21 (21): 708-718, 2000

      29 현소은, "21C세기의 차별화 전략, 체험마케팅" 12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4 1.477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