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佔畢齋 金宗直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 A Study on the spiritual sphere in Jumpiljae KimJongjik's poetr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poems of Jumpiljae KimJongjik's (佔畢齋 金宗直: 1431-1492) are linked with life, and what the spiritual sphere in his poetry is.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things.
      The styles of his poems are much using of an ancient event. It's based on the spirit of worship of things classical.
      In his poems, he described with the relm of a classical scholar and the chosen elitism. The genius of these are situated in his 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and subconsciousness. He made Yaeun Giljae(冶隱 吉再) and Mokeun Leesaek(牧隱 李穡) stand for an example of the classical scholar.
      H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Confucian ethics and literary composition. Between these two things, he emphasized the Confucian ethics.
      He was a classical scholar and poet. But he made friend with many Buddhist priest. It's means the boundary of his spirit sphere was not stopped one point, but magnanimous.
      He hope pursuit learning himself to his studies with his amusement. Even if he advocated moral philosophy at political affairs, he exhibited his sportive instinct in his poetry. Several his poems involved dualistic of ethics and amusement.
      He accomplished from the fundamental property of human beings through filial piety and loyalty. He promoted practical morals. He emphasized practice filial piety toward his wife. He was a man of intimate or a warm hearted person.
      His home of spirit was the virtual idealism. An ultimate goal of his life was unity of nature and man. It is the expression of the simple spirit of the classical scholar. Lastly, he put superior to the spirit rather than reason and character. In his innermost feelings are overflowing with consciousness of distresses and worries. He pursued maintaining of universality the spirit of humanity. He earnestly desired putting moralistic idealism in the realities of life.
      번역하기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poems of Jumpiljae KimJongjik's (佔畢齋 金宗直: 1431-1492) are linked with life, and what the spiritual sphere in his poetry is.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things. The styles of h...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poems of Jumpiljae KimJongjik's (佔畢齋 金宗直: 1431-1492) are linked with life, and what the spiritual sphere in his poetry is.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things.
      The styles of his poems are much using of an ancient event. It's based on the spirit of worship of things classical.
      In his poems, he described with the relm of a classical scholar and the chosen elitism. The genius of these are situated in his 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and subconsciousness. He made Yaeun Giljae(冶隱 吉再) and Mokeun Leesaek(牧隱 李穡) stand for an example of the classical scholar.
      H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Confucian ethics and literary composition. Between these two things, he emphasized the Confucian ethics.
      He was a classical scholar and poet. But he made friend with many Buddhist priest. It's means the boundary of his spirit sphere was not stopped one point, but magnanimous.
      He hope pursuit learning himself to his studies with his amusement. Even if he advocated moral philosophy at political affairs, he exhibited his sportive instinct in his poetry. Several his poems involved dualistic of ethics and amusement.
      He accomplished from the fundamental property of human beings through filial piety and loyalty. He promoted practical morals. He emphasized practice filial piety toward his wife. He was a man of intimate or a warm hearted person.
      His home of spirit was the virtual idealism. An ultimate goal of his life was unity of nature and man. It is the expression of the simple spirit of the classical scholar. Lastly, he put superior to the spirit rather than reason and character. In his innermost feelings are overflowing with consciousness of distresses and worries. He pursued maintaining of universality the spirit of humanity. He earnestly desired putting moralistic idealism in the realities of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점필재의 시 가운데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는 용사(用事)를 많이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상고정신(尙古精神)에 입각해서 용사(用事)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살았던 시대를 혁신하려 하지 않았다. 그 당시의 체제를 지키면서 잘못된 점을 고치려 하였다. 점필재는 현실에 있어서는 온건주의를 추구하였다. 그는 선비로서의 선비의 의리와 신하로서 충성을 강조하였다.
      점필재는 평소 따뜻한 마음씨를 가진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의 머릿속에는 자신이 보통 사람과는 다르다는 선민의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는 선비의 표본으로 야은 길재와 목은 이색을 내세우고 있다.
      점필재는 선비로 관리의 신분이었지만 가족을 사랑하는 마음은 그 누구보다 더 깊었다. 그는 가슴이 따뜻하고 다정다감(多情多感)한 선비였다.
      유학자들은 우환의식(憂患意識)을 지니고 있다. 점필재도 예외가 아니다. 그가 공무를 수행하고 있을 때는 일처리가 대단히 엄정하였다. 그는 춘추사관을 바탕으로 난신적자들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그가 공무를 수행하고 있지 않을 때는 참으로 낭만적이었다. 점필재의 또 다른 모습은 낭만적 삶과 낙관주의의 소유자이다.
      점필재의 의식은 보편성을 가지고 인문정신을 견지하였다. 그는 비록 현실에서는 다소 거리가 있겠지만, 그의 머릿속에는 도덕적 이상주의를 실천하기를 간절히 바랐다.
      번역하기

      본고는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점필재의 시 가운데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는 용사(用事)를 많이 하고 있다는 ...

      본고는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점필재의 시 가운데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는 용사(用事)를 많이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상고정신(尙古精神)에 입각해서 용사(用事)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살았던 시대를 혁신하려 하지 않았다. 그 당시의 체제를 지키면서 잘못된 점을 고치려 하였다. 점필재는 현실에 있어서는 온건주의를 추구하였다. 그는 선비로서의 선비의 의리와 신하로서 충성을 강조하였다.
      점필재는 평소 따뜻한 마음씨를 가진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의 머릿속에는 자신이 보통 사람과는 다르다는 선민의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는 선비의 표본으로 야은 길재와 목은 이색을 내세우고 있다.
      점필재는 선비로 관리의 신분이었지만 가족을 사랑하는 마음은 그 누구보다 더 깊었다. 그는 가슴이 따뜻하고 다정다감(多情多感)한 선비였다.
      유학자들은 우환의식(憂患意識)을 지니고 있다. 점필재도 예외가 아니다. 그가 공무를 수행하고 있을 때는 일처리가 대단히 엄정하였다. 그는 춘추사관을 바탕으로 난신적자들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그가 공무를 수행하고 있지 않을 때는 참으로 낭만적이었다. 점필재의 또 다른 모습은 낭만적 삶과 낙관주의의 소유자이다.
      점필재의 의식은 보편성을 가지고 인문정신을 견지하였다. 그는 비록 현실에서는 다소 거리가 있겠지만, 그의 머릿속에는 도덕적 이상주의를 실천하기를 간절히 바랐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목, "?畢齋 金宗直의 密陽 관련 詩에 대하여" 우리한문학회 9 (9): 37-59, 2003

      2 李鍾建, "金宗直의 詩文學 考" 수원대 국문학회 3 : 1989

      3 金永峯, "金宗直 詩文學 硏究" 이회문화사 2000

      4 金永峯, "金宗直 詩 硏究" 연세대학교 1989

      5 김영봉, "회당고에 나타난 김종직의 초기 시 연구" 한국한문학회 24 : 1999

      6 정시열, "점필재 김종직의 영남 제영 고" 한민족어문학회 39 : 2001

      7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역주 점필재집 (Ⅰ․Ⅱ)"

      8 이희목, "김종직의 「부」에 반영된 유자 의식"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3 : 2002

      9 정석용, "김종직의 「遊頭流錄」소재 한시 연구" 근역한문학회 6 : 1988

      10 이원걸, "김종직의 연작 기속시에 형상 된 관풍역속 이념"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4 : 2004

      1 이희목, "?畢齋 金宗直의 密陽 관련 詩에 대하여" 우리한문학회 9 (9): 37-59, 2003

      2 李鍾建, "金宗直의 詩文學 考" 수원대 국문학회 3 : 1989

      3 金永峯, "金宗直 詩文學 硏究" 이회문화사 2000

      4 金永峯, "金宗直 詩 硏究" 연세대학교 1989

      5 김영봉, "회당고에 나타난 김종직의 초기 시 연구" 한국한문학회 24 : 1999

      6 정시열, "점필재 김종직의 영남 제영 고" 한민족어문학회 39 : 2001

      7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역주 점필재집 (Ⅰ․Ⅱ)"

      8 이희목, "김종직의 「부」에 반영된 유자 의식"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3 : 2002

      9 정석용, "김종직의 「遊頭流錄」소재 한시 연구" 근역한문학회 6 : 1988

      10 이원걸, "김종직의 연작 기속시에 형상 된 관풍역속 이념"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4 : 2004

      11 홍성욱, "김종직의 악부시 일고찰-기속악부와 영사악부를 중심으로" 한문교육학회 8 : 1994

      12 정종대, "김종직의 시와 사림의식"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6 : 1998

      13 이희목, "김종직의 기속시에 반영된 민족 생활상과 풍속미" 우리한문학회 5 : 2001

      14 韓國古典飜譯院, "국역점필재선생집"

      15 金成圭, "佔畢齋의 歷史․風俗詩에 대하여" 27 : 1990

      16 啓明漢文學硏究會, "佔畢齋先生全書"

      17 이구의, "佔畢齋 金宗直의 「和陶淵明述酒」 詩에 나타난 자아의 정신" 한국사상문화학회 52 (52): 7-41, 2010

      18 金容珏, "佔畢齋 金宗直의 詩文學 考"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88

      19 유병석, "佔畢齋 詩文學의 寫實性 考察" 한국어문학회 47 : 1986

      20 鄭景柱, "佔畢齋 紀俗詩의 文明意識에 대하여" 동아대학교 16 :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