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유산소 운동과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을 병행한 복합트레이닝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심박수 및 신체효율지수, 혈중지질 수준, 혈당 및 렙틴에 미치는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023401
대전 :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2003
학위논문(석사) --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 대체의학과 대체의학전공 , 2003. 8
2003
한국어
유산소 ; 복합운동 ; circuit weight training ; 비만
513.398 판사항(4)
대전
iv, 44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36-4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유산소 운동과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을 병행한 복합트레이닝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심박수 및 신체효율지수, 혈중지질 수준, 혈당 및 렙틴에 미치는 영...
이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유산소 운동과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을 병행한 복합트레이닝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심박수 및 신체효율지수, 혈중지질 수준, 혈당 및 렙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비만치료에 운동요법의 중요성을 일깨우며 성별, 연령별에 맞는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연령은 42±3.3(세), 신장은 159±4.5(㎝), 체중은 63.4±9.0(㎏), 체지방율은 31.7±2.7(%), 체지량지수는 24.7±2.1(㎏/㎡)인 30∼40대 비만 여성 8명을 선정하였다. 운동 처치 전 1차 채혈을 하여 혈중지질 수준 및 혈당, 렙틴 수준을 검사하였고, 8주간의 유산소 운동과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 복합운동을 실시한 후 2차 채혈을 하여 처치 전후를 비교 검사하였다.
유산소운동은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최대 심박수의 70∼80% 수준으로 주 4회 이상 30분씩 실시하였고,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은 중량을 이용한 기구운동을 1RM의 60∼70% 수준으로 주 4회 이상 20분씩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치를 산출하고 운동 처치 전과 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paired T-test)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운동 처치 전과 처치 후 체중,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제지방량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2. 운동 처치 전과 처치 후 안정시 심박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심박회복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Harvard Step Test 결과 신체효율지수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운동 처치 전과 처치 후 TC, LDL-C, TG 및 Glucose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며, HDL-C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4. 운동 처치 전과 처치 후 Leptin 농도는 다소 감소하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비만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8주간의 유산소 운동 및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의 복합운동이 신체조성, 심박회복 능력, 혈중지질 및 Leptin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으며 8주간의 짧은 기간 때문에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한 항목들은 장기간 꾸준히 지속될 경우 선행연구에 부합하는 결과들이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운동요법뿐만이 아니라 식이요법과 행동수정요법이 병행될 경우 더 빠른 긍정적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여겨지며 비만의 정도 및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복합운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