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열성경련과 열성경련플러스(GEFS+)에서 GABRG2의 단일염기다형성 = Single Nucleotide Ploymorphisms of GABRG2 in Febrile Seizures and GEF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7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열성경련은 불완전한 침투를 보이는 상영색체우성 질환으로 이질적인 표현형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에 열성경련과 특발성 전신간질을 보이는 가계와 소아기의 결신발작과 열성경련...

      목 적 : 열성경련은 불완전한 침투를 보이는 상영색체우성 질환으로 이질적인 표현형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에 열성경련과 특발성 전신간질을 보이는 가계와 소아기의 결신발작과 열성경련이 동반된 가계에서 독립적으로 γ-aminobutyric acid(GABA)receptor γ2 subunit gene(GABRG2)에 돌연변이가 있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한국의 열성경련 환아와 GEFS+ 환아에서 GABRG2 유전자의 다형성이 질환의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 법 :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및 성모자애병원 소아과에서 진단받은 열성경련 환아 66명, GEFS+ 환아 20명 및 건강한 대조군 94명, 총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GABRG2의 SNP211037은 D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DHPLC에서 변이를 보인 DNA조각에 대해서는 염기서열법을 시행하였다. 세 군에서 GABRG2유전자 다형성의 유전형 분포와 대립유전자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열성경련 환아에서 GABRG2(SNP211037)-CC유전자형을 가진 소아의 수는 건강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많았다. 열성경련 환아에서 GABRG2(SNP211037)-C 대립유전자 빈도가 건강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높았다. GABRG2(SNP211037)-CC 유전자형을 가진 소아에서 열성경련으로 발전할 수 있는 교차비(odds ratio)는 GABRG2(SNP211037)-TT 유전자형을 가진 소아에 비하여 5.96배 높았다(P<0.001). 반면에 GEFS+환아에서 GABRG2(SNP211037) 유전자 분포는 건강한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는 GABRG2의 유전체 변이가 한국의 열성경련에 감수성을 일으키는 인자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Febrile seizures are characterized by a heterogenous phenotype segregating as an autosomal dominant trait with incomplete penetrance. Mutations in GABRG2 gene were identified in two families with generalized epilepsy and febrile seizures plu...

      Purpose : Febrile seizures are characterized by a heterogenous phenotype segregating as an autosomal dominant trait with incomplete penetrance. Mutations in GABRG2 gene were identified in two families with generalized epilepsy and febrile seizures plus(GEFS+) and with absence epilepsy and febrile seizures(FS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role of GABRG2 gene in FSs and GEFS+ of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66 FSs, 20 GEFS+ and 94 healthy control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out a collaborative study of Catholic Child Neurology Research Group. The SNP211037 of GABRG2 was screened by DHPLC. DNA fragments showing variant chromatograms were subsequently sequenced. Genotypes and allelic frequencies for GABRG2 gene polymorphism in three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 The number of individuals with the GABRG2(SNP211037)-C/C genotype in patients with FSs was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with that in healthy control subjects and the GABRG2(SNP211037)-C allele frequency in patients with F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healthy control subjects. The odds ratio for developing FSs in individuals with the GABRG2(SNP211037)-CC genotype was 5.96 compard with individuals with the GABRG2(SNP211037)-T/T genotype. In contrast, the GABRG2(SNP211037) gene in GEFS+ and control grou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 theses data suggest that genomic variations of GABRG2 might be one of the susceptibility factors for FSs in the Korean popul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