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주거지원 서비스에 대한 실태조사 및 방향성 = Proposing a Direction for Smart Housing Services Supporting the Elderly in China - Focused on the Elderly’ Living Conditions in Luoyang Prefecture-level Cit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931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has already entered the aging society and is predicted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in 2020. The recent studies identified that the elderly has more interest in ‘Aging-in-Place’ which emphasizes deinstitutionalization since welfare facilit...

      China has already entered the aging society and is predicted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in 2020. The recent studies identified that the elderly has more interest in ‘Aging-in-Place’ which emphasizes deinstitutionalization since welfare facilities such as care homes and silver towns have separated the elderly from their local communities where they used to live in.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promising way for smart housing services who support the elderly’s living in their homes, China.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lderly’s life and to identify their demands on housings for implementing such smart services. The elderly’s living in apartments in Luoyang city, China,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show that smart housing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support the elderly’s health, safety, leisure activities, comfortable living, and social relationships sustainably. In addition, such smart housing services should be intuitive since the elderly need to use easily smart services for their autonomous life in their homes. The smart housing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elderly’s healthy and desirable life, and lessening their discomforts due to ag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분석결과
      • 4. 결론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분석결과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許加明, "호조 서비스와 지능 서비스: 도시 독거노인 대상으로 ‘Aging In Place’ 에 대한 창의적 연구" 남경대 2015

      2 서종균, "주거지원서비스" (90) : 2011

      3 齊婷婷, "주거단지 ‘Aging In Place’ 서비스 분석" 네이멍구대학교 공공관리악원 2012

      4 趙黎暢, "사용자 체험 기준으로 ‘Aging In Place’ 스마트 제품 설계에 관한 연구" 북경체신대 2014

      5 李超, "도시배경으로 커뮤니티 양로 서비스의 지능화 연구" 상하이 공성기술대 2015

      6 李晨漪, "‘Aging In Place’에 대한 국내외 사례 연구" 2009

      7 任少鹏, "‘Aging In Place’를 적응된 현대 스마트 노인주거건축 설계 연구" 허베이대 2014

      8 陳磊, "‘Aging In Place’기반으로 주거설계관한 연구" 동복 림업 대 2009

      9 華政, "‘Aging In Place’ 서비스 산업화 건설 새로운 탐색 연구" 3 : 69-71, 2015

      10 薛慧, "‘Aging In Place’ 노인의 건강관리 연구" 중국보건영양순간 2013

      1 許加明, "호조 서비스와 지능 서비스: 도시 독거노인 대상으로 ‘Aging In Place’ 에 대한 창의적 연구" 남경대 2015

      2 서종균, "주거지원서비스" (90) : 2011

      3 齊婷婷, "주거단지 ‘Aging In Place’ 서비스 분석" 네이멍구대학교 공공관리악원 2012

      4 趙黎暢, "사용자 체험 기준으로 ‘Aging In Place’ 스마트 제품 설계에 관한 연구" 북경체신대 2014

      5 李超, "도시배경으로 커뮤니티 양로 서비스의 지능화 연구" 상하이 공성기술대 2015

      6 李晨漪, "‘Aging In Place’에 대한 국내외 사례 연구" 2009

      7 任少鹏, "‘Aging In Place’를 적응된 현대 스마트 노인주거건축 설계 연구" 허베이대 2014

      8 陳磊, "‘Aging In Place’기반으로 주거설계관한 연구" 동복 림업 대 2009

      9 華政, "‘Aging In Place’ 서비스 산업화 건설 새로운 탐색 연구" 3 : 69-71, 2015

      10 薛慧, "‘Aging In Place’ 노인의 건강관리 연구" 중국보건영양순간 2013

      11 向娟, "‘Aging In Place’ 기반 노인 주거 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중남림업과학기술대 2014

      12 "https://ko.wikipedia.org/wiki/뤄양_시"

      13 Raad, M., "Ubiquitous Smart Home for Elderly" 11 : 2009

      14 Frank, J.B, "The paradox of aging in place in assisted living" Berdin & Garvey 2002

      15 권현주, "Aging-in-Place를 지원하는 고령친화 디지털홈 계획방향 요구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21-2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75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