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완진동 증후군에서 신경장해의 조기진단을 위한 객관화된 방법 = Early Objectified Detection Method of Sensorineural Component in Hand Arm Vibration Syndro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12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통각과 진동감각 역치검사 및 수부와 수지의 악력, 그리고 수지의 운동기능검사(태평) 등과 근로자들이 호소했던 증상에 대한 HAVS의 스톡홀름 워크샵 분류와의 관련성을 통해 좀 더 객...

      목적: 통각과 진동감각 역치검사 및 수부와 수지의 악력, 그리고 수지의 운동기능검사(태평) 등과 근로자들이 호소했던 증상에 대한 HAVS의 스톡홀름 워크샵 분류와의 관련성을 통해 좀 더 객관화된 신경학적 조기검사 방법을 찾고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수부진동에 폭로되고 수부의 불편함을 호소하여 진동 장해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 497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차적으로 문진을 통해 직업력에 대해 알아보고 과거력을 조사했다. 대상자들의 스톡홀름 워크샵 분류에 따른 소견을 확인하고 수부의 말초 순환기능 검사(손톱압박, 수지피부 온도), 신경기능 검사(통각과 진동각 역치), 운동기능 검사(악력, 태평) 등을 시행하였다. 다른 질환의 감별을 위한 몇 가지 이학적 검사를 실시하고 스톡홀름 워크샵 분류에 따른 검사 결과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사용 도구는 그라인더 단독 사용이 265명 (67.3%)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노출 연수는 14.8년이었다.
      통각과 진동감각에서 스톡홀름 워크샵 분류 단계에 따른 역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각은 양측 모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고, 진동감각은 125와 250 Hz에서 양측 모두 유의했다(p=0.006-0.038). 수부와 수지의 악력은 단계가 올라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수부와 수지 모두 우측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p=0.041, p<0.01, p=0.034). 태평 첫수는 단계가 올라 가면서 전반적으로 태핑 첫수가 감소하였으며 좌측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02-0.019).
      결론: 본 연구는 수부 진동 노출자들의 수부 불편함에 대한 신경계통을 초기에 정량적으로 객관화하여 진단할 수 있는 단일 방법은 아직 없으며 일상생활의 불편함과 스톡홀름 워크샵 분류 등을 통한 주관적인 증상에 더하여 수지 통각과 진동감각 역치검사, 수부와 수지 악력검사, 운동기능검사(태핑) 등을 통합하면 초기에 객관적으로 진단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In order to determine find out the best methods for a more objective detection of neurologic abnormality in early hand ann vibration syndrome(HAVS), early with analyzing the validity of each of the detection methods was analyzed. We evalua...

      Objectives: In order to determine find out the best methods for a more objective detection of neurologic abnormality in early hand ann vibration syndrome(HAVS), early with analyzing the validity of each of the detection methods was analyzed.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nsorineural stage of Stockholm-revised vibration syndrome classification and the results of several tests.
      Methods: 497 workers were investigated for symptom, exposure duration, the types of tools used, and medical history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7. Pain sense threshold, vibrotactile threshold, hand grasp force, finger grasp force, and a finger tapping frequency test were performed by the workers.
      Results: The grinder(67.3%) was the most commonly used tool and the mean exposure duration was 14.8 years. Although the pain sense and vibrotactile threshold level tended to increase according to sensorineural stage of the Stockholm classific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brotactile threshold of 125, 250 Hz (P=0.006~0.038) but not in the pain sense threshold. Hand and finger grasp force tended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sensorineural stage of Stockholm classification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41, <0.001, 0.034) only on the right hand side. The tapping frequency also general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sensorineural stage of the Stockholm classification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2~0.019) only on the left hand side.
      Conclusions: Although there is no single standardized method that can objectively diagnose the Sensorineural component of early HAVS early, the combination of subjective symptoms, the sensorineural stage of Stockholm classification, the pain and vibrotactile threshold test, the hand and finger grasp force, and the finger agility (tapping) test can objectively detect sensorineural component of HAVS earl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