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학술지의 논문 검색
권혁세(Hyuck-Se Kwon), 신현경(Hyun-Kyung Shin),권상오(Sang-O Kwon),여경목(Kyung-Mok Yeo),김상무(Sang-Moo Kim),김복남(Bok Nam Kim),김진경(Jin-Ky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p.1289-1294
김수현(Soo-Hyun Kim), 최현진(Hyun-Jin Choi),정미자(Mi Ja Chung),최승필(Cheng-Bi Cui),함승시(Seung-Shi H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p.1295-1301
하진옥(Jin Ok Ha), 하태만(Tae Man Ha),이재준(Jae Joon Lee),김아라(Ah Ra Kim),이명렬(Myung Yu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p.1302-1309
당유자 과피 발효물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변화 및 항산화 활성
현재석(Jae-Seok Hyon), 강성명(Sung-Myung Kang),한상원(Sang-Won Han),강민철(Min-Cheol Kang),오명철(Myung-Cheol Oh),오창경(Chang-Kyung Oh),김동우(Dong-Woo Kim),전유진(You-Jin Jeon),김수현(Soo-Hy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p.1310-1316
당유자 과피 추출물에 의한 HL60 세포의 Apoptosis 유도
현재석(Jae-Seok Hyon), 강성명(Sung-Myung Kang),김아름다슬(Areum-Daseul Kim),오명철(Myung-Cheol Oh),오창경(Chang-Kyung Oh),김동우(Dong-Woo Kim),전유진(You-Jin Jeon),김수현(Soo-Hy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p.1317-1323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 잎 70% 에탄올 추출물의 단회와 14일 반복투여 독성시험의 안전성 평가
홍충의(Chung-Oui Hong), 서문영(Young Seomun),구윤창(Yun-Chang Koo),남미현(Mi-Hyun Nam),이현아(Hyun Ah Lee),김지훈(Ji-Hoon Kim),왕증(Wang-Zeng),양성용(Sung Yong Yang),이성희(Sung-Hee Lee),노수환(Su Hwan No),이광원(Kwang-Wo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p.1324-1330
약용식물 물 추출물이 Goto-Kakizaki 흰쥐의 간 세포액에서 당대사 관련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대중(Dae-Jung Kim), 정미자(Mi Ja Chung),유진균(Jin-Kyoun You),서동주(Dong-Joo Seo),김정미(Jeong-Mi Kim),최면(Myeon Cho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p.1331-1335
뽕잎오디쌀이 흰쥐의 혈당농도와 체지방 및 혈청지질 분획에 미치는 영향
한찬규(Chan-Kyu Han), 김성수(Sung-Soo Kim),최상윤(Sang Yoon Choi),박주헌(Ju-Hun Park),이복희(Bog-Hieu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p.1336-1341
최지은(Jieun Choi), 김지영(Jiyoung Kim),정보영(Boyoung Jeong),박금덕(Geumduck Park),이인숙(Insook Lee),조남지(Namji Jo),정윤화(Yoonhwa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p.1342-1346
만성 알코올 급여 흰쥐에서 보리 추출물 섭취가 Cytochrome P450 효소 조절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이유현(Yoo-Hyun Lee), 이정민(Jeongmin Lee),임은정(Eun-Jeong Im),전우진(Woojin Jun),조홍연(Hong Yon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p.1347-1352
SJR(SCImago Journal Rank)는 스페인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ntificas의 Felix de Moya 교수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모든 인용은 동등하지 않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둔 학술지의 영향력 지수입니다.
구글의 Page Rank 알고리즘의 영향을 받아 전체 인용 네트워크에서 노드에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명성이 높은 저널에서의 인용은 고득점으로 평가되어 같은 인용이라도 보다 높게 평가 됩니다. 또한 저널의 주제분야, 질과 명성이 모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평가 지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Scopus 데이터의 인용정보를 활용하여 산출되며, Scopus에 등재되지 않은 OA 저널평가에도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