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La position de Mallarme chez Valery : l'abandon d'un idole = 우상 말라르메의 신봉과 포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발레리는 위스망(Huysmans)의 작품을 통해서 1889년경 헤로디아(Herodiade)의 일부분을 탐미하였으며, 이 때 말라르메의 이름을 처음 알았다. 이후 말라르메는 순수 언어표현의 단애를 오르는 순교...

      발레리는 위스망(Huysmans)의 작품을 통해서 1889년경 헤로디아(Herodiade)의 일부분을 탐미하였으며, 이 때 말라르메의 이름을 처음 알았다. 이후 말라르메는 순수 언어표현의 단애를 오르는 순교자의 모습으로 포우(Poe)와 더불어 발레리의 신당에 상징주의 시작업의 구현으로서 머무른다. 스승 말라르메의 사후 발레리가 발표한 다수의 논고와 발레리의 정신연마 기록이라고 부를 수 있는 까이에(Cahiers)에서 반추된 말라르메를 살펴보면, 발레리에게 있어서 말라르메의 위상은 초기 만남의 시기와는 다른 성격을 띄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둘 사이의 본질적인 상이점이 표면적으로 드러난 시기는 언제인가?
      말라르메에게 보낸 세 편의 서한은 이것에 대한 해답이 될 것이다. 1890.91년의 편지가 상징주의의 시적 구현이라는 과제에 경도되어 있는, 말라르메의 신비체험 전수자와도 같은 모습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는데 반해서, 1984년의 세번째 편지는 정신의 보편체계 탐구라는 발레리의 궁극적 관심사를 시사하는 여러 표현을 담고 있다.
      이같은 변화는 제노아의 밤이 동인이된 지적 위기의 절망적인 상태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발레리가 까이에를 시작하고 있으며 이어 레오나르(Leonard)와 테스트(Teste)를 창조하고 있다는 점은 말라르메라는 우상 또한 기존의 다른 모든 우상제거 과정에서 예외가 아니었다는 사실을 말하는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Ⅱ. Deux lettres a Mallarme
      • Ⅲ. Une lettre du Ⅰ5 janvier Ⅰ 894
      • Ⅳ. conclusion
      • Ⅰ. Introduction
      • Ⅱ. Deux lettres a Mallarme
      • Ⅲ. Une lettre du Ⅰ5 janvier Ⅰ 894
      • Ⅳ. conclu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