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욕창 예방 방석 디자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48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휠체어와 착석 시스템에 대한 정의를 보면 보행이 어려운 사람의 이동을 지원하고 적절한 자세의 앉기가 가능하도록 수정하거나 조절해주는 보조기구로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여전히 많은 수의 장애인이 욕창으로 인한 합병증이 발병하고 있으며, 휠체어 사용 시 가장 불편한 신체 부위로 엉덩이와 허리를 선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욕창 예방 방석을 사용하고 있으나 여전히 발병률이 감소되지 않고 있으며, 앉기 자세에 대한 불편함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대표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해 맞춤형 욕창 예방 방석의 디자인을 의학적 이론기반 융합 연구를 통해 제안하고 이를 제작하였다. 디자인에 대한 제안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특징과 욕창 발생에 대한 의학적 배경, 앉기 자세에 대한 해부학적인 요소를 근거로 디자인 하였다. 또한 욕창 예방방석과 휠체어 프레임의 인체 공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욕창 예방 방석을 제작하였다. 욕창 예방 방석 디자인의 기본적 개념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엉덩이 좌면에 발생하는 압력을 감소시키고 적절하게 분배하며, 바른 앉기 자세가 가능하도록 골반과 체간을 지지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맞춤형 욕창 예방방석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피실험자의 좌면을 스캔하여 방석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맞춤형 방석과 현재 상용화되어 판매중인 조절형 욕창 예방 방석 2개 제품과 비교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수행한 결과, 궁둥뼈에 나타나는 최대압력지수 값이 3개 제품중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압력을 분포시키는 분산지수도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엉덩이 좌면 전체에 나타나는 평균 압력은 다른 제품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 추후 연구에서 이런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향후 진행될 연구에서는 좌면의 전반적인 평균 압력 감소를 위한 디자인의 추가적인 설계가 요구되며, 이에 대한 테스트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휠체어와 착석 시스템에 대한 정의를 보면 보행이 어려운 사람의 이동을 지원하고 적절한 자세의 앉기가 가능하도록 수정하거나 조절해주는 보조기...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휠체어와 착석 시스템에 대한 정의를 보면 보행이 어려운 사람의 이동을 지원하고 적절한 자세의 앉기가 가능하도록 수정하거나 조절해주는 보조기구로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여전히 많은 수의 장애인이 욕창으로 인한 합병증이 발병하고 있으며, 휠체어 사용 시 가장 불편한 신체 부위로 엉덩이와 허리를 선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욕창 예방 방석을 사용하고 있으나 여전히 발병률이 감소되지 않고 있으며, 앉기 자세에 대한 불편함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대표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해 맞춤형 욕창 예방 방석의 디자인을 의학적 이론기반 융합 연구를 통해 제안하고 이를 제작하였다. 디자인에 대한 제안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특징과 욕창 발생에 대한 의학적 배경, 앉기 자세에 대한 해부학적인 요소를 근거로 디자인 하였다. 또한 욕창 예방방석과 휠체어 프레임의 인체 공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욕창 예방 방석을 제작하였다. 욕창 예방 방석 디자인의 기본적 개념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엉덩이 좌면에 발생하는 압력을 감소시키고 적절하게 분배하며, 바른 앉기 자세가 가능하도록 골반과 체간을 지지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맞춤형 욕창 예방방석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피실험자의 좌면을 스캔하여 방석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맞춤형 방석과 현재 상용화되어 판매중인 조절형 욕창 예방 방석 2개 제품과 비교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수행한 결과, 궁둥뼈에 나타나는 최대압력지수 값이 3개 제품중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압력을 분포시키는 분산지수도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엉덩이 좌면 전체에 나타나는 평균 압력은 다른 제품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 추후 연구에서 이런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향후 진행될 연구에서는 좌면의 전반적인 평균 압력 감소를 위한 디자인의 추가적인 설계가 요구되며, 이에 대한 테스트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ackground and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definition of a wheelchair and the seating system are a type of adaptive device that supports mobility of those who have difficulty ambulating and modifies or adjusts appropriate sitting.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recent study on wheelchair users in Korea, a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y have complications from pressure ulcers, and pointed out hips and waist as the most uncomfortable parts of the body when using a wheelchair. These results present that although ulcer preventive cushions are used, incidence has not been on a decline, and the discomfort of the sitting posture is the main factor that disrupts every day lif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the design of customized cush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prevents pressure ulcers. The proposals for the design was made considering the features of a wheelchair user, medical backgrounds for the occurrence of pressure ulcers, and the anatomical designs of the sitting posture. In addition, the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 was built on a rationale based on the ergonomic features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 and the wheelchair frame. The basic concept of the design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 is to reduce and appropriately distribute the pressure caused from the eating surface and support pelvis and trunk for correct sitting posture.
      Customized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s were designed and produced based on this rationale.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cushions were produced by scanning the seat-contacted area of the subjects. A comparison test was performed on 1) tailor-made cushions and 2) commercially-shaped cushions that customize or adjust to prevent pressure ulcers.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peak pressure index of ischial tuberosity values appeared the lowest of the three products, and the dispersion index also measured the lowest. However, since the average pressure index of the seat-contacted area presented higher values than other product, it wa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in the further researches.
      Additional adjustments to the design to reduce the overall average of pressure on the seating-contacted area and the necessary test will be done in future researches. Measuring not only pressure, but also shear force and blood flow that affects the occurrence of pressure ulc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alue data to the results is need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
      번역하기

      The background and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definition of a wheelchair and the seating system are a type of adaptive device that supports mobility of those who have difficulty ambulating and modifies or adjusts appropriate sitti...

      The background and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definition of a wheelchair and the seating system are a type of adaptive device that supports mobility of those who have difficulty ambulating and modifies or adjusts appropriate sitting.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recent study on wheelchair users in Korea, a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y have complications from pressure ulcers, and pointed out hips and waist as the most uncomfortable parts of the body when using a wheelchair. These results present that although ulcer preventive cushions are used, incidence has not been on a decline, and the discomfort of the sitting posture is the main factor that disrupts every day lif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the design of customized cush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prevents pressure ulcers. The proposals for the design was made considering the features of a wheelchair user, medical backgrounds for the occurrence of pressure ulcers, and the anatomical designs of the sitting posture. In addition, the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 was built on a rationale based on the ergonomic features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 and the wheelchair frame. The basic concept of the design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 is to reduce and appropriately distribute the pressure caused from the eating surface and support pelvis and trunk for correct sitting posture.
      Customized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s were designed and produced based on this rationale.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cushions were produced by scanning the seat-contacted area of the subjects. A comparison test was performed on 1) tailor-made cushions and 2) commercially-shaped cushions that customize or adjust to prevent pressure ulcers.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peak pressure index of ischial tuberosity values appeared the lowest of the three products, and the dispersion index also measured the lowest. However, since the average pressure index of the seat-contacted area presented higher values than other product, it wa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in the further researches.
      Additional adjustments to the design to reduce the overall average of pressure on the seating-contacted area and the necessary test will be done in future researches. Measuring not only pressure, but also shear force and blood flow that affects the occurrence of pressure ulc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alue data to the results is need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욕창 예방 방석 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고찰
      • Ⅲ. 맞춤형 욕창 예방 방석 디자인 설계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욕창 예방 방석 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고찰
      • Ⅲ. 맞춤형 욕창 예방 방석 디자인 설계
      • Ⅳ. 시제품 제작과 사용성 평가 연구
      • Ⅴ. 결론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영식, "휠체어 시트쿠션의 접촉압력 특성 비교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9 (49): 183-196, 2010

      2 유은영, "직업재활을 위한 장애 유형별 보조공학기기 수요도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 15 (15): 25-36, 2007

      3 정민예, "장애인의 수행능력향상을 위한 보조공학기기 제공과 인간공학적 접근의 필요성"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6 (16): 27-48, 2006

      4 안나연, "욕창방지용 쿠션 종류와 등받이 각도에 따른 착석 압력분포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 19 (19): 105-115, 2011

      5 "http://www.usmedicalsupplies.com"

      6 "http://www.alignforhealth.com"

      7 "http://alexanderteachingstudio.com"

      8 Tanimoto, Y., "The study of pressure distribution in sitting position on cushions for patient with spinal cord injury" 47 (47): 1998

      9 Brienza, 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ulcer incidence and buttock-seat cushion interface pressure in at-risk elderly wheelchair users" 82 : 2001

      10 Tasker, L., "The effect of seat shape on the risk of pressure ulcers using discomport and interface pressure measurements" 38 (38): 2014

      1 강영식, "휠체어 시트쿠션의 접촉압력 특성 비교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9 (49): 183-196, 2010

      2 유은영, "직업재활을 위한 장애 유형별 보조공학기기 수요도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 15 (15): 25-36, 2007

      3 정민예, "장애인의 수행능력향상을 위한 보조공학기기 제공과 인간공학적 접근의 필요성"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6 (16): 27-48, 2006

      4 안나연, "욕창방지용 쿠션 종류와 등받이 각도에 따른 착석 압력분포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 19 (19): 105-115, 2011

      5 "http://www.usmedicalsupplies.com"

      6 "http://www.alignforhealth.com"

      7 "http://alexanderteachingstudio.com"

      8 Tanimoto, Y., "The study of pressure distribution in sitting position on cushions for patient with spinal cord injury" 47 (47): 1998

      9 Brienza, 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ulcer incidence and buttock-seat cushion interface pressure in at-risk elderly wheelchair users" 82 : 2001

      10 Tasker, L., "The effect of seat shape on the risk of pressure ulcers using discomport and interface pressure measurements" 38 (38): 2014

      11 Korea Consumer Agency, Consumer safety team, "The Actual Condition Survey on safety accident of wheelchair" Korea Consumer Agency 2011

      12 Akins, J., "Interface shear and pressure characteristics of wheelchair seat cushions" 48 (48): 2011

      13 Lala, D., "Impact of pressure ulcers on individuals living with a spinal cord injury" 95 : 2014

      14 Hong, J. H., "Fuzzy logic controlled seat cushion orthosis to prevent decubitus ulcer" 20 (20): 2003

      15 Taule, T., "Factors influencing optimal seating pressure after spinal cord injury" 51 : 2013

      16 Lim, D., "Evaluation of a new sitting concept designed for prevention of pressure ulcer on the buttock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45 (45): 2007

      17 Luboz, V., "Biomechanical modeling to prevent ischial pressure ulcers" 47 : 2014

      18 Rodrigo, V., "A prospective, longitudinal, descriptive study of the effect of a customized wheelchair cushion on clinical variables, satisfaction, and functionality among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61 (61): 2015

      19 Sonenblum, S., "3D anatomy and deformation of the seated buttocks" 24 : 2015

      2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The Actual Condition Survey on People with Disabilit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