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배우 석금성(石金星)의 연기 변모 양상 연구 = A Study of Seok Kuem-seong of The Actress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71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re-illuminating the life and performance of Seok Kuem-seong, and her status in theatrical performance history. Recordings and data about her are usually written according to writers' private tastes.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reliable documents do not exist. This problem led to the distortion of drama history, causing biased interpretations about the actress. Thereupon, this work is to restore Seok Kuem-seong's life on a basis of objective historical materials, and to reconstruct the trustworthy data about properties of her performance and her theatrical career. Examining the position of Seok Kuem-seong pioneering the role of an actress in the history of theater, I have found the trouble early actresses must have been faced with and problems in the theatrical and cinematical world. This study will also serve as supplementing some part of the history of actors, which is the weakest point in the Korean dramatical history.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at re-illuminating the life and performance of Seok Kuem-seong, and her status in theatrical performance history. Recordings and data about her are usually written according to writers' private tastes.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

      This paper aims at re-illuminating the life and performance of Seok Kuem-seong, and her status in theatrical performance history. Recordings and data about her are usually written according to writers' private tastes.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reliable documents do not exist. This problem led to the distortion of drama history, causing biased interpretations about the actress. Thereupon, this work is to restore Seok Kuem-seong's life on a basis of objective historical materials, and to reconstruct the trustworthy data about properties of her performance and her theatrical career. Examining the position of Seok Kuem-seong pioneering the role of an actress in the history of theater, I have found the trouble early actresses must have been faced with and problems in the theatrical and cinematical world. This study will also serve as supplementing some part of the history of actors, which is the weakest point in the Korean dramatical histo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형식에 구애할 것 업노라」" 1931년11월

      2 "한국 문예영화 이야기" 살림 48-51, 2003

      3 "풍자극과 아리랑고개" 1932년1월29일

      4 "토월회와 잔여극단」" 1965년7월

      5 "토월회공연을 보고」" 1929년11월3일

      6 "태양극장 8회 공연을 보고」" 동아일보 1932년3월9일

      7 "태양극장 8회 공연을 보고" 동아일보 1932년3월11일

      8 "태양극장 7회 공연을 보고」" 1932년3월17일

      9 "태양극장 7회 공연을 보고」" 1932년3월16일

      10 "조선극계의 화형―여우 석금성씨」" 1932년1월3일

      1 "형식에 구애할 것 업노라」" 1931년11월

      2 "한국 문예영화 이야기" 살림 48-51, 2003

      3 "풍자극과 아리랑고개" 1932년1월29일

      4 "토월회와 잔여극단」" 1965년7월

      5 "토월회공연을 보고」" 1929년11월3일

      6 "태양극장 8회 공연을 보고」" 동아일보 1932년3월9일

      7 "태양극장 8회 공연을 보고" 동아일보 1932년3월11일

      8 "태양극장 7회 공연을 보고」" 1932년3월17일

      9 "태양극장 7회 공연을 보고」" 1932년3월16일

      10 "조선극계의 화형―여우 석금성씨」" 1932년1월3일

      11 "저승에 맷는 사랑(정사애화)" -3, 1997.3

      12 "의 연출을 보고서」" 1930년9월20일

      13 "을 각색 공연」" 동아일보 1929년11월22일

      14 "웃음 속에 눈물생활―무대배우 석금성 여사」" 1930년10월3일

      15 "우리시대의 연극운동사" 단국대학교출판부 1989

      16 "연극으로 계몽한 신여성」 내가 겪은 20세기" 1974

      17 "여배우 이월화 연구" 민족어문학회 50 : 2004

      18 "에 나타나는 배우의 연기와 촬영기교」" 조선일보 1929년4월4일

      19 "벌 밧는 어머니" -2, 19341930년대1997년3월

      20 "배우 전옥 연구" 한국연극학회 13 : 1999

      21 "배우 김선영 연구" 한국연극학회 (24) : 2004

      22 "명우제씨의 인품기」" 1940년10월

      23 "말못할 사정" -1, 1997.3

      24 "를 중심삼고」" 동아일보 1929년11월30일

      25 "를 가는 전옥의 예도」" 조선일보 1939년6월7일

      26 "극단의 일우" 1925년5월17일

      27 "극계의 일년을 회고함」 신동아 3권 12호" 1933년12월

      28 "간난이의 설움」" 동아일보 1929년11월16일

      29 "‘지식’과 ‘돈’이 잇는 흥행사가 잇스면」" 조선일보 1932년6월27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1 1.13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