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the digital culture is not just a ‘virtual reality,’ but a reality in its genuine sense. The digital culture is not a ‘fictional’ world which exists only in the human imagination or ideas, but a ‘real’ world that penetrates, structur...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73820
2021
-
200
KCI등재
학술저널
165-197(3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the digital culture is not just a ‘virtual reality,’ but a reality in its genuine sense. The digital culture is not a ‘fictional’ world which exists only in the human imagination or ideas, but a ‘real’ world that penetrates, structur...
Today the digital culture is not just a ‘virtual reality,’ but a reality in its genuine sense. The digital culture is not a ‘fictional’ world which exists only in the human imagination or ideas, but a ‘real’ world that penetrates, structures, and changes the entire world of human life. In this paper, taking seriously this noteworthy phenomenon of the digital culture, I seek to reflect from a Christian theological perspective on how to view and deal with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emergence and spread of the digital world. First, I briefly introduce a soc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digital culture, and then examine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digital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a Christian theology of creation. Finally, I suggest a few proposals as regards the need and direction for fostering and enjoying digital literacy from a Christian theological perspective.
참고문헌 (Reference)
1 손화철, "포스트휴먼과 기독교회의 과제"
2 판넨베르크,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조직신학 II" 새물결플러스 2018
3 김정형, "창조론 : 과학 시대 창조 신앙" 새물결플러스 2019
4 양정애, "인격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시민성 함양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언론중재위원회 3 (3): 85-125, 2017
5 색스, 데이비드, "아날로그의 반격: 디지털, 그 바깥의 세계를발견하다" 어크로스 2017
6 그레거슨, 닐스 헨릭, "새로움의 창발: 다섯 가지 신학적 모델의 탐구" 장로회신학대학교 (2) : 99-148, 2007
7 포스트코로나와 목회연구학회, "비대면 시대의 ‘새로운’ 교회를 상상하다" 대한기독교서회 2020
8 섀드볼트, 나이절, "디지털 유인원" 을유문화사 2019
9 권상희, "디지털 문화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10 피터스, 테드, "과학과 종교: 새로운 공명" 동연 2010
1 손화철, "포스트휴먼과 기독교회의 과제"
2 판넨베르크,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조직신학 II" 새물결플러스 2018
3 김정형, "창조론 : 과학 시대 창조 신앙" 새물결플러스 2019
4 양정애, "인격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시민성 함양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언론중재위원회 3 (3): 85-125, 2017
5 색스, 데이비드, "아날로그의 반격: 디지털, 그 바깥의 세계를발견하다" 어크로스 2017
6 그레거슨, 닐스 헨릭, "새로움의 창발: 다섯 가지 신학적 모델의 탐구" 장로회신학대학교 (2) : 99-148, 2007
7 포스트코로나와 목회연구학회, "비대면 시대의 ‘새로운’ 교회를 상상하다" 대한기독교서회 2020
8 섀드볼트, 나이절, "디지털 유인원" 을유문화사 2019
9 권상희, "디지털 문화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10 피터스, 테드, "과학과 종교: 새로운 공명" 동연 2010
11 "What is Digital Theology"
12 Teilhard de Chardin, Pierre, "The Phenomenon of Man" Harper & Brothers 1959
13 Hefner, Philip, "The Human Factor : Evolution, Culture, and Religion" Fortress 1993
14 Moltmann, Jürgen, "The Future of Creation" SCM 1979
15 Murphy, Nancey, "On the Moral Nature of the Universe : Theology, Cosmology, and Ethics" Augsburg 1996
16 Peter Phillips, "Defining Digital Theology: Digital Humanities, Digital Religion and the Particular Work of the CODEC Research Centre and Network" Walter de Gruyter GmbH 5 (5): 29-43, 2019
17 Phillips, Peter, "Defining Digital Theology"
18 Russell, Robert John, "Cosmology : From Alpha to Omega : The Creative Mutual Interaction of Theology and Science" Fortress 2008
19 lee aehwa,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Digital Competence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21 (21): 179-200, 2015
‘어머니-교회’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코로나-19 시대에 직면한 한국교회
기독론과 영성의 관계 연구 ― 고백자 막스무스와 슐라이어마허의 기독론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23 | 0.60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