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개혁기 "사회복지의 사회화"의 정치경제 = Political economy of "socialization of social welfare" in China after the Re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65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개혁개방 이후 중국에서는 변화된 사회 환경에 따라 이전 시기의 사회제도들이 대부분 수정 및 개정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변화된 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제도와 시스템들이 창출되...

      개혁개방 이후 중국에서는 변화된 사회 환경에 따라 이전 시기의 사회제도들이 대부분 수정 및 개정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변화된 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제도와 시스템들이 창출되고 있다. 중국 사회복지체제에서의 변화는 최근 중국 사회가 겪고 있는 이러한 제도 환경 변화 중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혁기 중국 사회복지체제의 재편의 주요 방향을 복지의 사회화라고 규정하고 노령연금제도와 의료보장제도, 최저생활보장제도를 통해 그 핵심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개혁기 중국복지의 사회화는 결국 복지수혜자가 기여금을 분담하는 것 다시 말하면 이전에는 국가가 제공하는 복지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지 않았던 개인(가계)이 이제는 일정 비율의 비용을 지출해야 보장을 받을 수 있는 체제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결국 복지서비스의 상업화 또는 상품화로 귀결되는 속성을 띠게 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중앙(국가)이 성장우선 전략에 기초하여 도시 우선적 성향을 띤 발전주의 복지체제를 구현하고 있고, 이에 대해 농민과 농민공 등 사회 취약계층이 집단적ㆍ효과적 대항을 하고 있지 못 함으로 인해 도시와 농촌간에 차별적인 복지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물론 계획경제 시기에도 단위를 통해 도시 노동자에게 제공된 복지와 인민공사를 통해 농민에게 제공된 복지를 비교해 볼 때 도시가 보장 범위와 보장 수준에서 훨씬 앞서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농민들은 도시에 비해 낮은 수준의 사회보장을 받았지만 적어도 이를 위해 비용을 지출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지금은 이전에 비해 크게 나아지지 않은 사회보장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농민 개개인이 보험료를 내야만 하는 상황이 되었고, 도시와의 복지 환경 차이는 오히려 더 크게 벌어진 점을 감안하면 개혁시기에 사회화된 사회복지제도는 재분배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심지어는 역기능까지 하고 있는 것으로도 보인다. 한편 이러한 내용은 중국을 동아시아 복지레짐의 틀에서 볼 때 중국이 여타 동아시아 국가들과 공유하는 일종의 보편성과 중국적인 특수성을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관련 논의에 일정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의 복지체제 재구축에 대해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처럼 복지가 경제에 종속되는 발전주의 복지체제―복지 발전주의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발전주의 복지체제 설성으로 조성된 중국의 복지 환경은 도시와 농촌이라는 부문별 격차가 확연히 크다는 점에서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 선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중국이 사회구조가 도시와 농촌으로 이원화되어 있다는 것과 여전히 국가가 강한 사회주의 정치체제를 유지하고 있음으로 인해 사회세력이 아직 국가에 대항할 만큼 성장하지 못한 점 등 중국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has undergone a fundamental economic reform from socialist to market economy since the late 1970s. The social welfare system, which used to be an integral part of the socialist economy, has inevitably been subject to a drastic reform process. Th...

      China has undergone a fundamental economic reform from socialist to market economy since the late 1970s. The social welfare system, which used to be an integral part of the socialist economy, has inevitably been subject to a drastic reform process. This article examined the core parts of new welfare system through an old-age pension, medical insurance and the minimum living allowance system on the premise tha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reconstructing of welfare system in China after the Reform is socialization of social welfa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socialization of social welfare in the end means a beneficiary of welfare services now shares a duty on funds for welfare services that is chinese people who never paid for welfare services during planned economy period now have to pay for social security even though that is offered from the state, and it eventually means socialized social welfare has an attribute of commercialization or commodification. In this context new social welfare system in China after the Reform could be described as a developmental welfare regime considering that there are considerable welfare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it mainly is resulted from the state``s urban-oriented policy inclination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social welfare system for economic growth a superior goal and the peasants―the most vulnerable groups indeed need a care from the state in contemporary China do not have the force to achieve their interests. Changes on the stats``s preference on national goals and a capacity of the civil society will be major factors exerting an influence upon the frame of social welfare system in China after this, political democratization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mong the res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무권,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Ⅱ" 인간과 복지 2012

      2 남찬섭,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1" 인간과 복지 2002

      3 백승욱, "중국의 노동자와 노동정책: ‘단위 체제’의 해체" 문학과 지성사 2001

      4 김태성, "복지국가론" 나남 2011

      5 최영, "동아시아 사회복지와 사회투자전략 - 한중일 비교연구" 나눔의 집 2010

      6 박병천, "동아시아 사회복지연구" 공동체 2007

      7 曹艳春, "转型时期中国社会保障研究" 上海 社会科学院出版社 2010

      8 民政部, "社会服务发展统计公报"

      9 张邦辉, "社会保障的政府责任研究" 中国社 会科学出版社 2011

      10 江华, "普遍整合视角的东亚福利模式探 索" 5 : 2012

      1 정무권,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Ⅱ" 인간과 복지 2012

      2 남찬섭,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1" 인간과 복지 2002

      3 백승욱, "중국의 노동자와 노동정책: ‘단위 체제’의 해체" 문학과 지성사 2001

      4 김태성, "복지국가론" 나남 2011

      5 최영, "동아시아 사회복지와 사회투자전략 - 한중일 비교연구" 나눔의 집 2010

      6 박병천, "동아시아 사회복지연구" 공동체 2007

      7 曹艳春, "转型时期中国社会保障研究" 上海 社会科学院出版社 2010

      8 民政部, "社会服务发展统计公报"

      9 张邦辉, "社会保障的政府责任研究" 中国社 会科学出版社 2011

      10 江华, "普遍整合视角的东亚福利模式探 索" 5 : 2012

      11 杨宜勇, "收入差距为何拉大"

      12 姚云云, "我国社会福利发展诉求与政策 回应" 23 (23): 2013

      13 景天魁, "当代中国社会福利 思想与制度: 从小福利迈向大福利" 中国社 会出版社 2010

      14 中国城市社会救助体制改革课题组, "建立中国城市 居民最低生活保障线制度的研究报告" 6 : 1995

      15 胡湛, "发展型福利模式下的中国养老制 度安排" 9 (9): 2012

      16 周晓焱, "包容性增长与我国发展型社 会福利政策构建论析" 13 (13): 2013

      17 童星, "中国农村社会保障" 人民出版社 2011

      18 吕学静, "东亚福利模式普遍整合的背景与 基础探索" 2 : 2012

      19 Dorothy J. Solinger, "Welfare, Wealth and Poverty in Urban China : The Dibao and Its Differential Disbursement"

      20 Chak Kwan, "Welfare Rdform in East Asia : Towards workfare?" Routledge 2011

      21 Xiaoyuan Shang, "Welfare Provision for Vulnerable Children: The Missing Role of the State"

      22 Ian Holliday, "Welfare Capitalism in East Asia: Social Policy in the Tiger Economics" Palgrave macmillan 2003

      23 Roger Goodman, "The East Asian Welfare Model: Welfare Orientalism and the stat" Routledge 1998

      24 中國三星經濟硏究院, "SERI China 경영노트, 제 13-2호"

      25 Gyu-Jin Hwang, "New Welfare States in East Asia: Global Challenges and Restructuring" Edward Elgar 2011

      26 Geeta KOCHHAR, "Market and Migrants : Redefining China's Urban Social Welfare System" 8 : 2-, 2010

      27 Linda Wong, "Marginalization and social welfare in China" Routledge 1998

      28 Shi Li, "Issues and Options for Social Security Reform in China" 9 : 1-, 2011

      29 Bo Li, "How did China's Transitions Impact People's Welfare Benefits in the Reform Era?" 18 (18): 2009

      30 Christina S. HO, "Health Reform and De Facto Federalism in China" 8 : 1-, 2010

      31 Chack-Kie Wong, "Economic Reform and Social Welfare: the Chinese perspective portrayed through a social survey in Shanghai" 10 (10): 2001

      32 James Lee, "Crisis of Welfare in East Asia" Lexington Books 2007

      33 Guan, "China's Social Policy: Reform and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Marketization and Globalization, In Transforming the Developmental Wealfare State in East Asia" Palgrave macmillan 2005

      34 Beatriz Carrillo, "China's Changing Welfare Mix : Local perspectives" Routledge 2011

      35 Jennifer Adams, "Children's Social Welfare in China, 1989-1997 : Access to Health Insurance and Educ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0.72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