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화산업단지에서 주요 휘발성유기물질의 시간적, 공간적 농도 파악을 위한 능동식과 수동식 시료채취기 비교 = Comparison of Active and Passive Sampler for Determining Temperal and Spatial Concentration Assessment of the Main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centration in Shihwa Industrial Compl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525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시화지구의 공단과 주거 지역에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를 능동식과 수동식 시료채취기를 이용해 측정하고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TVOC의 평균농도는 패시브샘플러(...

      본 연구에서는 시화지구의 공단과 주거 지역에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를 능동식과 수동식 시료채취기를 이용해 측정하고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TVOC의 평균농도는 패시브샘플러(passive sampler)의 경우 공단지역이 주거지역보다 1.86배 더 높게 나타났다. 능동식 시료채취기의 경우 공단지역이 주거지역보다 1.07배 더 높게 나타났다. Passive sampler를 이용하였을 경우 공단지역이 주거지역보다 대부분의 물질에서 농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열탈착 흡착 튜브(thermal desorption tube)를 이용했을 경우는 트리클로로에틸렌,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등 일부 물질의 농도에 있어서 주거지역이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전체 BTEX 비율 중에서 전반적으로 톨루엔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컸으며, passive sampler의 경우 공단지역이 주거지역보다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의 상대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열탈착 흡착 튜브의 경우는 오히려 주거지역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대기오염 목적성분의 시간적, 공간적 농도 특성 파악을 위한 passive sampler를 이용하면 오염관리 혹은 역학적 연구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시료채취 방법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Shiwha area by using active and passive sampler. We di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 sampler and passive sampler. In the case of the p...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Shiwha area by using active and passive sampler. We di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 sampler and passive sampler. In the case of the passive sampler, the average TVOC concentration of the industrial area was 1.86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residential area. In the case of the active sampler, the average TVOC concentration of the industrial area was 1.07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residential area. When using the passive sampler, the concentration of VOCs in the industrial area was noted to be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found in the residential area. However, when we used the thermal desorption tube, the concentration of residential area was higher rather than that of industrial area in some substances such as trichloroethyl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Toluene was a larger percentage of the overall BTEX ratio. In case of the passive sampler, the relative ratio of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was higher in the industrial area than in the residential area. In contrast in case of the thermal desorption tube, the ratio of these substances was higher in the residential area rather than in the industrial area. The passive sampling in this study showed an appropriate method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concentrations of air contaminants. This assessment would prove to be useful for its observance of standards or epidemical stud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남, "우리 나라 VOC 발생 현황과 대책" 2004

      2 성민기, "신축공동주택의 실내 화학오염물질 측정 사례" 24 (24): 594-597, 2004

      3 김진용, "시화지구에서 발생되는 VOCs 농도분포 특성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21 (21): 613-624, 2005

      4 변상훈, "시화산업단지의 블록 별 악취유발물질 특성" 대한환경공학회 31 (31): 1161-1168, 2009

      5 조덕희, "반월・시화산업단지의 화학공장을 대상으로 한 악취물질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 5 (5): 207-216, 2006

      6 김종국, "도심 및 공단지역 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포 특성" 5 (5): 217-224, 2002

      7 백성옥, "도시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변동 및 영향인자" 대한환경공학회 24 (24): 8-1404, 2002

      8 이강봉, "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 측정을 통한 군포시 대기 오염 특성 규명" 한국분석과학회 15 (15): 556-566, 2002

      9 김조천,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15 (15): 407-417, 2003

      10 김선태, "기타화학제품 제조업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 4 (4): 223-233, 2005

      1 박성남, "우리 나라 VOC 발생 현황과 대책" 2004

      2 성민기, "신축공동주택의 실내 화학오염물질 측정 사례" 24 (24): 594-597, 2004

      3 김진용, "시화지구에서 발생되는 VOCs 농도분포 특성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21 (21): 613-624, 2005

      4 변상훈, "시화산업단지의 블록 별 악취유발물질 특성" 대한환경공학회 31 (31): 1161-1168, 2009

      5 조덕희, "반월・시화산업단지의 화학공장을 대상으로 한 악취물질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 5 (5): 207-216, 2006

      6 김종국, "도심 및 공단지역 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포 특성" 5 (5): 217-224, 2002

      7 백성옥, "도시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변동 및 영향인자" 대한환경공학회 24 (24): 8-1404, 2002

      8 이강봉, "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 측정을 통한 군포시 대기 오염 특성 규명" 한국분석과학회 15 (15): 556-566, 2002

      9 김조천,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15 (15): 407-417, 2003

      10 김선태, "기타화학제품 제조업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 4 (4): 223-233, 2005

      11 Lee, S. C.,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in urban atmosphere of Hong Kong" 48 (48): 375-382, 2002

      12 Anjali Srivastava, "Volatile organic chemicals in industrial area of Mumbai-India" 40 (40): 892-903, 2006

      13 Zabiegala, B., "Permeation passive sampling as a tool for the evaluation of indoor air quality" 36 (36): 2907-2916, 2002

      14 Kim, S. T., "Evaluation of a passive air sampler for measuring indoor formaldehyde" JAPAN SOC ANALYTICAL CHEMISTRY 23 (23): 497-500, 2007

      15 Thammakhet, C., "Cost effective passive sampling device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monitoring" 40 (40): 4589-4596, 2006

      16 KMOE, "Annual Environmental Report. Malodor regulation" 2005

      17 Shooter, D., "A passive sampler for hydrogen sulfide" 38 : 11-23,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0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