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을 ‘노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실과교육의 성격에 맞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예시자료를 제안하여 실과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을 ‘노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실과교육의 성격에 맞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예시자료를 제안하여 실과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
본 연구의 목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을 ‘노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실과교육의 성격에 맞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예시자료를 제안하여 실과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성찰적으로 수용하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문헌고찰과 실제적 예시자료의 개발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개념은 실과 교육을 비롯한 교육 분야에서 ‘발전’의 개념 측면에서 이념적인 혼란을 가져왔고, 녹색성장전략과 혼동되어 ‘환경교육’의 차원에 머물렀으며, 교육주체에 있어서 혼동을 가져왔다. 따라서 ESD의 두 번째 정의인 ‘욕구’와 ‘한계’의 개념에 주목하여, 환경교육의 범주를 넘어서서 통합적인 관점을 반영해야 하고 실과교과를 포함하여 각 교과로부터 자발적으로 ESD의 가치를 내재화 할 수 있는 필요성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발전’과 ‘성장’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성장’의 결과인 일자리가 아니라 일하는 인간의 ‘노동’에서 ‘발전’과 ‘성장’의 지속가능성을 찾아야 한다. 이것은 단순한 환경교육이 아니라 인간 삶에 관한 인식과 실천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며, 실과교육의 고유한 본질임에도 지금까지 교육의 중심부에서 가려져 왔다. 교육은 형이상학적 지식체계가아니며 노동하는 인간의 삶에 대한 역사이다. 셋째, 2009실과교육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 예시자료를 제안하였다. 실과교과를 통해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환경교육 관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맥락들을 살펴 볼 필요가 있으며, ESD의 세 가지 국면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 제시된 국가․사회적요구, 핵심역량, ESD역량, 연구자가 제시한 준거(욕구, 노동, 사고과정) 등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념들은 서로 다층적으로 중첩된다. 따라서 기계적으로 뽑아낼 수는 없지만, 그러나 이러한 준거들은 어디까지나 ESD를 실천하고 연구하는 사람의 능력에 따라서 자유롭게 고려될 수 있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reflective acception on ES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by the critical review on the concept of ESD and by the suggestion of the Educational Example Materials on ESD. The results of this stu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reflective acception on ES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by the critical review on the concept of ESD and by the suggestion of the Educational Example Materials on ES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concepts of ESD were confused with ‘development' and ‘Carbon Green Growth Strategy', were understood ‘environment education', and confused in major educational player. So the concepts of 'needs' and 'limits' of ESD are important subconcept and the voluntarily acceptances of ESD in School Subject are needed. Second, from the view of 'labor' concept with relation human needs and desire, 'development' and 'growth' concepts are the results of human labor. So the concept of 'labor' are most important concept for understanding ESD from Hegel's viewpoint, Educational area, and Practical Arts Education area. Third, to practice ES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Subject voluntarily, there are various criterions are needed as to three areas of ESD, core ability and national·social needs on the curriculum, ESD core ability, and the criterion suggested by researcher(desire, labor, thinking process). From those criterions, example materials of ES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sugges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경부, "환경백서"
2 임석진, "헤겔에 있어서의 노동의 개념" 지학사 1981
3 김옥경, "헤겔과 아담 스미스에서 인간 욕구와 노동분업" 한국헤겔학회 (18) : 59-84, 2005
4 정미경,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녹색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89-308, 2012
5 이지현, "지속가능한 패션&텍스타일" 교문사 2011
6 박태윤,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7 김정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 대상 생물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6 (16): 161-182, 2010
8 이건남,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실과교육의 관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6 (16): 141-166, 2010
9 조우진, "지속가능발전교육: ‘발전’ 비판과 대안을 위한 렌즈"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7 (7): 39-69, 2012
10 김호석, "지속가능발전교육(ESD)강화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1 환경부, "환경백서"
2 임석진, "헤겔에 있어서의 노동의 개념" 지학사 1981
3 김옥경, "헤겔과 아담 스미스에서 인간 욕구와 노동분업" 한국헤겔학회 (18) : 59-84, 2005
4 정미경,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녹색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89-308, 2012
5 이지현, "지속가능한 패션&텍스타일" 교문사 2011
6 박태윤,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7 김정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 대상 생물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6 (16): 161-182, 2010
8 이건남,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실과교육의 관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6 (16): 141-166, 2010
9 조우진, "지속가능발전교육: ‘발전’ 비판과 대안을 위한 렌즈"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7 (7): 39-69, 2012
10 김호석, "지속가능발전교육(ESD)강화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11 김재진,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한 초등학교 학생의 문제해결력 신장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45-70, 2010
12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개발 프로젝트: 「초등학교 ESD 수업모듈」"
13 신은수,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의 재방향 설정" 한국육아지원학회 7 (7): 27-50, 2012
14 신상옥, "중학교 가정교과의 열린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업 모듈 및 웹 기반 교육자료 개발" 12 (12): 19-38, 2000
15 류영주,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을 통한 실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95-121, 2010
16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주5일제 대비 교육과정 개정시안 검토의견"
17 최지연, "적정기술을 활용한 초등학교 녹색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09-136, 2012
18 박은혜,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2
19 박은혜,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2
20 "유네스코 영문자료"
21 "유네스코 영문자료"
22 "유네스코 영문자료"
23 전세경, "실과 교과를 통한 초등학교 녹색성장교육의 적합성 및 타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259-279, 2011
24 이지현, "실과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단원에서 실천적 문제 해결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55-80, 2011
25 Baudillard, J, "소비의 사회: 그 신화와 구조" 문예출판사 1993
26 박선숙,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 인식, 태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87-105, 2012
27 정기섭, "독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생성 및 전개" 한독교육학회 15 (15): 153-173, 2010
28 정혁, "도심 하천 체험 환경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229-247, 2012
29 민은희,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녹색식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45-60, 2012
30 전세경, "녹색식생활교육" 양서원 2011
31 Berardi, F., "노동하는 영혼: 소외에서 자율로" 갈무리 2012
32 Schnapper, D, "노동의 종말에 반하여" 동문선 2001
33 박휴용, "교육과정 이념으로서의 다문화주의와 지속가능발전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26, 2012
34 윤지현, "‘생활양식’의 고찰을 통한 실과교육 목적의 재개념화" 13 (13): 2000
35 이상헌, "MB정부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고찰" 한국환경사회학회 13 (13): 7-41, 2009
36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11지속가능발전교육 개황"
37 오윤정, "2007 및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 분석 및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95-113, 2011
문제해결학습을 적용한 식생활교육이 초등학생의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초등학교 전통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ㆍ학습 자료 개발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 논문의 내용 분석
녹색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2-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 ![]()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94 | 0.94 | 1.07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1.06 | 1.03 | 1.387 | 0.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