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는 지식과 정보가 자원이 되고 새로운 힘의 원천이 되고 있다. 이런 시대적 변화에 가장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대상이 청소년들이다. 과거의 주입식 교육은 시대착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54109
2010
Korean
37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51-171(21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는 지식과 정보가 자원이 되고 새로운 힘의 원천이 되고 있다. 이런 시대적 변화에 가장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대상이 청소년들이다. 과거의 주입식 교육은 시대착오...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는 지식과 정보가 자원이 되고 새로운 힘의 원천이 되고 있다. 이런 시대적 변화에 가장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대상이 청소년들이다. 과거의 주입식 교육은 시대착오적이고 교사는 사명과 비전을 새롭게 해야 한다. 새로운 환경 속에서 변화된 행동양식을 보이는 청소년들을 교육하기 위한 획기적인 대안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교사는 획일적인 교육 보다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조직과 공동체의 가치를 공유하고 미래를 개척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학교교육은 대학입학이라는 현실적인 과제 이외에도 예비 사회인을 길러내야 할 사명이 있다. 교사의 셀프 리더십을 통해 교사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품성과 역량을 꾸준히 개발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사로서의 권위를 지키고, 사제 및 학생 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based 21st century, adolescents are the ones who have to confront this change and schools have a responsibility to educate them. Especially teachers are faced with a new challenge. Because cramming method of teaching a...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based 21st century, adolescents are the ones who have to confront this change and schools have a responsibility to educate them. Especially teachers are faced with a new challenge. Because cramming method of teaching and authoritarian teachers cannot educate the adolescent properly for this rapidly changing age. Teachers must help students to equipped with the ability and will to cope with the future by developing active teaching method and guiding voluntarily participation. Teacher is responsible for raising healthy members of society as well as helping the student to proceed to University. Self leadership of teacher suggests the alternative for this situation.
The new paradigm shift in leadership provides opportunities for anyone to become a leader, and to develop leadership abilitie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It means that a leader is not born, but made. The new paradigm shift requires new leadership abilities such as sensitivity, caring and gentle power to achieve the common good. The gentle power is based on the self leader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effective Youth Education to develop self leadership of teacher.
The self leadership education for the teacher helps students to improve their character and ability and set the relationships righ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mong students themselves, and teachers themselves. Indeed, it also help to recover the trus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built new relationships between them. Finally, the self leadership of teacher will contribute to restore the teacher's authority and privilege and fundamentally help to create both class and school cul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태, "현대조직론" 경세원 1985
2 "한국교육개발원 통계" 2004
3 문화관광부, "청소년육성 5개년계획" 1998
4 정진우, "청소년수련활동 정책방향과 발전과제 방향" 2000
5 권이종, "청소년 교육론" 양서원 1998
6 조병남, "조직생활과 여성의 셀프 리더십"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9
7 조병남, "조직내 리더십역량 모델의 개발. in: 21세기 여성리더십 모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32-, 2006
8 조병남, "우리아이 리더 만들기" 물푸례 2006
9 제닝스, "섬기는 리더" 넥서스BIZ 2004
10 제임스 헌터, "서번트 리더십" 시대의 창 1998
1 최종태, "현대조직론" 경세원 1985
2 "한국교육개발원 통계" 2004
3 문화관광부, "청소년육성 5개년계획" 1998
4 정진우, "청소년수련활동 정책방향과 발전과제 방향" 2000
5 권이종, "청소년 교육론" 양서원 1998
6 조병남, "조직생활과 여성의 셀프 리더십"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9
7 조병남, "조직내 리더십역량 모델의 개발. in: 21세기 여성리더십 모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32-, 2006
8 조병남, "우리아이 리더 만들기" 물푸례 2006
9 제닝스, "섬기는 리더" 넥서스BIZ 2004
10 제임스 헌터, "서번트 리더십" 시대의 창 1998
11 베니스, "리더와 리더십" 황금부엉이 2005
12 빌 하이벨스, "리더십의 용기" 두란노 2002
13 Peters, Tom, "tompeters Essentials" 21세기 북스 2005
14 Linden, J. A., "Youth Leadership: A Guide to Understanding Leadership Development in Adol;escents" Jossey-Bass Inc 1998
15 Drucker, P., "What makes an effective executive" 5 : 2004
16 Hogan, R. T., "What do we know about personality: Leadership and effectiveness?" 49 : 493-504, 1994
17 Merton, R. K., "The social nature of leadership" 69 : 2614-2618, 1969
18 Greenleaf, R. K., "The Power of Servant Leadership" Mahwah, N.J. 1998
19 Manz, C. C., "The New SuperLeadership. Leading Others to Lead them" BERRETT-KOEHLER PUBLISHERS. INC. 2001
20 Kouzes, J., "The Leadership Challenge" Jossey-Bass 2002
21 "The Kellog Foundation"
22 Drucker, P., "The Essential Drucker" Harper Business 2002
23 "The Center for ethical leadership"
24 "The Center for educational leadership, Youth Leadership Series. Youth's Guide"
25 McEwan, E. K., "Ten Traits of Highly Effective Teachers: How to Hire, Coach, and Mentor Successful Teachers" Corwin Press 2002
26 Ginnett, R. C., "Team effectiveness leadership model: Identifying leverage points for change" 1996
27 Munson, C. E., "Style and structure in supervision" 17 : 65-72, 1981
28 Greenleaf, R. K., "Servant Leadership. A Journey into the Nature of Legitimate Power and Greatness" Mahwah. N.J. 2002
29 Dalton, I., "Schools for the 21st Century" Pearson Education 2001
30 Goleman, D., "Primal Leadership"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2
31 Stogdill, R., "Personal factors associated with leadership: A survey of the literature" 25 : 35-71, 1948
32 Bennis, W., "On becoming a leader" Addison-Wesley 1989
33 Moon, B., "Lea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The Open University 2000
34 Hughes, R., "Leadership. Enhancing the Lessons of Experience. 4th ed" McGraw-Hill 2002
35 Riley, K. A., "Leadership for Change and School Reform" 2000
36 Bass, B. M.,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Charisma Entwickeln und Zielfuehrend Einsetzen 1985
37 Schwartz, M. K., "Leadership Education. A Source Book of courses and Programs,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Greensboro 1998
38 James, C., "Effective Change in Schools" 2000
39 Hollander, E. P., "Contemporary trends in the analysis of leadership processes" 71 : 179-89, 1969
40 Capowski, G., "Anatomy of a leader: Where are the leaders of tomorrow?" 12 : 1994
41 이경숙, "21세기 여성리더십. 세상을 바꾸는 부드러운 힘" 숙명여대 출판국 2005
PASS 읽기향상프로그램에 의한 인지기능 훈련이 정신지체학생의 문장 읽기에 미치는 효과
ISLLC 기준을 활용한 중등학교 교장의 직무 내용 분석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16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 2012-03-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교육포럼(아태교육학회) ->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영문명 : Korea Education Forum -> The Korean Educational Forum(The Asia-Pacific Society of Education) |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