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거노인의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653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돌봄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노인돌봄서비스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북 J시의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돌봄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노인돌봄서비스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북 J시의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받고 있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30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독거노인의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리사 요인, 서비스 요인, 기관 요인, 소득수준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관리사, 서비스 요인, 기관 요인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낮은 독거노인 일수록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활관리사 요인이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기관요인, 서비스요인, 소득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생활관리사들의 전문성 증진과 처우개선, 둘째, 기관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지원과 사회안전망 강화, 셋째, 노인돌봄서비스의 품질향상을 위한 적절성 · 접근성 · 지속성 강화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atisfaction of care service o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1 elderly people aged 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atisfaction of care service o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1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ho were receiving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J city, Chungbuk provi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elderly care servic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the manager factor, service factor, institutional factor, and income level. This shows that the higher the life manager, service factor, and institution factor,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low income level,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are service. Especially, the factors of life manager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elderly care service, followed by institutional factors and service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and treatment of life managers, second,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ervice support and strengthening of social safety net, and third, improvement of appropriateness, accessibility and persistence for quality improvement of elderly care serv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ABSTRACT
      • I.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References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용, "지각된 주간보호시설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후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139-158, 2013

      2 조성희, "저소득 독거노인의 사회활동참여가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독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5-59, 2016

      3 김용희,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 및 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및 서비스만족도"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161-190, 2012

      4 류만희, "자활근로사업단 참여자의 만족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2) : 51-72, 2007

      5 주경희, "은둔형 독거노인 지역돌봄지지망 구축 경험- 『 별들에게 물어봐』 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2) : 121-160, 2017

      6 김순양, "여성복지서비스에 대한 수혜자 만족도 비교분석: 서브퀼(SERVQUAL) 기법의 적용" 한국정책학회 13 (13): 213-245, 2004

      7 네이버, "어학사전"

      8 양난주,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의 영리·비영리성이 이용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4 (14): 27-52, 2012

      9 강현주, "사회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7 (27): 67-90, 2016

      10 정진경,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의 선택경험과 돌보미와의 관계의 질이 서비스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67) : 7-32, 2015

      1 이진용, "지각된 주간보호시설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후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139-158, 2013

      2 조성희, "저소득 독거노인의 사회활동참여가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독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5-59, 2016

      3 김용희,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 및 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및 서비스만족도"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161-190, 2012

      4 류만희, "자활근로사업단 참여자의 만족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2) : 51-72, 2007

      5 주경희, "은둔형 독거노인 지역돌봄지지망 구축 경험- 『 별들에게 물어봐』 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2) : 121-160, 2017

      6 김순양, "여성복지서비스에 대한 수혜자 만족도 비교분석: 서브퀼(SERVQUAL) 기법의 적용" 한국정책학회 13 (13): 213-245, 2004

      7 네이버, "어학사전"

      8 양난주,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의 영리·비영리성이 이용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4 (14): 27-52, 2012

      9 강현주, "사회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7 (27): 67-90, 2016

      10 정진경,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의 선택경험과 돌보미와의 관계의 질이 서비스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67) : 7-32, 2015

      11 R. M. Morgan, "The Commitment 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58 (58): 20-38, 1994

      12 R. L. Oliver,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McGraw-HILL 1997

      13 정윤옥, "SERVQUAL이 서비스만족과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6 (26): 1011-1036, 2014

      14 D-I. Park, "Influence of elderly visiting care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s mediation effect that influences re-use" Kyonggi Univ 2010

      15 I-J. Joo, "Effects of Integrated Elderly Care Service Quality on Intention to Reuse" Seonam Univ 2014

      16 C-S. Rim,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for the Suicide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22 : 192-223, 2013

      17 J-W. Bae,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ser’s Satisfaction of Elderly Care Service" Kyeongnam National Univ 2012

      18 보건복지부, "2019년 노인돌봄서비스 사업안내"

      19 통계청, "2018년 고령자 통계"

      20 보건복지부,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7 0.78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