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만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성 =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Obe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4881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영양 과잉과 운동 부족으로 날로 늘어만 가는 비만 인구가 사회 문제화 되고 있다.
      고혈압, 심장병, 그리고 당뇨병 등 여러 가지 성인병의 원인이 비만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는 보고가 있으므로 비만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성을 알아보기 위해 우리나라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식습관, 비만지식, 신체활동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04년 3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이었고, 조사대상은 부산시와 경북에 거주하는 320명중 부적절한 응답자와 회수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3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χ^(2)-검정 그리고 분산분석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 대상자들의 성별 분포는 남성이 34.4%, 여성이 65.5%였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정도는 정상체중이 63.6%, 과체중이 17.4%, 비만이 11.8%, 저체중이 6.6%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 분포별 분석 결과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이 많을 수록, 과체중과 비만이 많았다. 연구 대상자의 식습관 분석 결과 연구 대상 대부분이 외식을 자제하려는 노력이 많았으며, 연령배가 높을수록 외식을 자제하는 노력과 규칙적인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연령대 일수록 간식과 과식, 인스턴트식품 및 당분섭취와 채식위주의 식사를 하는 것으로 높개 나타났으며, 성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음주와 저녁식사 후 야식을 많이 한다고 했고, 여성은 남성보다 군것질을 많이 하며 과식할때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스턴트 및 당분섭취 그리고 채식위주의 식사도 여성이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외식 회수가 많았고, 대체로 규칙적인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가 높은 인구 대상자일수록 음식섭취시 빠르게 먹으며, 과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대상자 대부분이 샤워와 목욕을 자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많이 했다. 40대에 비해 30대와 50대 이상에서 수면을 8시간 이상 취한다는 것에 더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추울 때나 더울 때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V시청은 학력이 낮을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이 유전적 소인이 있다는 인식도와 당분섭취는 비만과 관련이 있다는 인식도는 낮게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비만지식과 인식을 올바르게 하고 있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체중조절을 위한 식이요법이 비만예방에 중요하다고 더 높게 인식하였다. 규칙적인 운동을 선호하는 30대에 비해 50대 이상에서는 인식을 낮게 한 반면, 실제적으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었다. 또한, 당뇨병과 비만이 밀접한 관계라는 것을 대부분이 인식하였다. 체질량지수의 분포별 비만지식 및 신체활동을 분석한 결과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비만이 유전적 소인이 있다는 인식도와 비만의 예방, 관리는 성인병을 줄일수 있다는 인식도가 낮았다. 신체활동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연구 대상자의 비만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성을 알아보기 위한 식습관과 비만지식, 신체활동은 비만의 예방, 관리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비만예방을 위하여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잡힌 식사 등 좋은생활 습관이 이루어져야 되겠다. 비만지식이 부족한 비만인과 노년층 인구를 위해 비만지식 함양교육 프로그램과 홍보가 요망된다.
      번역하기

      오늘날 영양 과잉과 운동 부족으로 날로 늘어만 가는 비만 인구가 사회 문제화 되고 있다. 고혈압, 심장병, 그리고 당뇨병 등 여러 가지 성인병의 원인이 비만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는 보고...

      오늘날 영양 과잉과 운동 부족으로 날로 늘어만 가는 비만 인구가 사회 문제화 되고 있다.
      고혈압, 심장병, 그리고 당뇨병 등 여러 가지 성인병의 원인이 비만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는 보고가 있으므로 비만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성을 알아보기 위해 우리나라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식습관, 비만지식, 신체활동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04년 3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이었고, 조사대상은 부산시와 경북에 거주하는 320명중 부적절한 응답자와 회수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3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χ^(2)-검정 그리고 분산분석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 대상자들의 성별 분포는 남성이 34.4%, 여성이 65.5%였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정도는 정상체중이 63.6%, 과체중이 17.4%, 비만이 11.8%, 저체중이 6.6%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 분포별 분석 결과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이 많을 수록, 과체중과 비만이 많았다. 연구 대상자의 식습관 분석 결과 연구 대상 대부분이 외식을 자제하려는 노력이 많았으며, 연령배가 높을수록 외식을 자제하는 노력과 규칙적인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연령대 일수록 간식과 과식, 인스턴트식품 및 당분섭취와 채식위주의 식사를 하는 것으로 높개 나타났으며, 성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음주와 저녁식사 후 야식을 많이 한다고 했고, 여성은 남성보다 군것질을 많이 하며 과식할때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스턴트 및 당분섭취 그리고 채식위주의 식사도 여성이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외식 회수가 많았고, 대체로 규칙적인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가 높은 인구 대상자일수록 음식섭취시 빠르게 먹으며, 과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대상자 대부분이 샤워와 목욕을 자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많이 했다. 40대에 비해 30대와 50대 이상에서 수면을 8시간 이상 취한다는 것에 더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추울 때나 더울 때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V시청은 학력이 낮을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이 유전적 소인이 있다는 인식도와 당분섭취는 비만과 관련이 있다는 인식도는 낮게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비만지식과 인식을 올바르게 하고 있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체중조절을 위한 식이요법이 비만예방에 중요하다고 더 높게 인식하였다. 규칙적인 운동을 선호하는 30대에 비해 50대 이상에서는 인식을 낮게 한 반면, 실제적으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었다. 또한, 당뇨병과 비만이 밀접한 관계라는 것을 대부분이 인식하였다. 체질량지수의 분포별 비만지식 및 신체활동을 분석한 결과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비만이 유전적 소인이 있다는 인식도와 비만의 예방, 관리는 성인병을 줄일수 있다는 인식도가 낮았다. 신체활동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연구 대상자의 비만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성을 알아보기 위한 식습관과 비만지식, 신체활동은 비만의 예방, 관리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비만예방을 위하여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잡힌 식사 등 좋은생활 습관이 이루어져야 되겠다. 비만지식이 부족한 비만인과 노년층 인구를 위해 비만지식 함양교육 프로그램과 홍보가 요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eating habits, practice to the obesity in Koeran adults,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on the eating habits, physical activities and the knowledge of obesity of the Korean adult males and females.
      The period of investigation was two weeks from March 1, 2004 to March 14, 2004.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based on random sampling and it was carried out by 303 the Korean adults in Busan City and Gyongbuk Province.
      The significance of the questionnaires was examined by carrying out t-test, chi-square surrey and dispersion analysis with SPSS version 10.1 program with the gathered materi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x distribution was male 34.4% vs. female 65.5%. Body mass index(BMI) is a tool for Indicating weight status in adults. It is a measure of weight for height. O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was normal weight 63.6%, overweight 17.4%, obese 11.8%, underweight 6.6%. Females and older ages are more belong to the group of overweight and obese. The most people of this study don't like to eat outside and control themselves. Older ages have more self-control of eating and rare breakfast. Younger ages like to have snacks, habits of overeating, convenience foods, sugar-contained foods and vegetarian foods. Males like to drink 리cohol and eat after normal dinner time than females. Females have more tendency to have snacks, overeating, convenience foods, sugar-contained foods and vegetarian foods. Higher academic backgrounds have more tendency to eat outside 3nd regular breakfast. Higher rankers of BMI have tendency of fast-eating and overeating. Most of the objectives have taking shower and bathing often, and older ages have regular body exercises and activities. 30's and over-50's have deeper sleep over 8hours contrast to 40's and males are more likely to have regular exercise than females. Lower academic backgrounds like watching TV contrast to highers. They have low understanding about genetical cause of obesity and the relationships of obesity and ingestion of sugar. High educational backgrounds have more knowledge and recognition about obesity. Females have more and higher recognition about the dietary treatments for prevention about obesity. Over-50's have lower knowledge and recognition about obesity than well-educated 30's, but they prefer to have regular exercises practically. And they recogni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diabetes. High BMI rankers have low recognition that there are some genetical causes on obesity and prevention activity about obesity can diminish geriatric diseases. These are no similar statistical differences on physical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close and intimate relationships between objetives' habit of eating, knowlege of obesity, physical activity and prevention of obesity. And to prevent obesity, good habits of living are needed like regular exercise and nutritional balanced meal, etc. Also educational programs about obesity are hopely needed for low educated and olds.
      번역하기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eating habits, practice to the obesity in Koeran adults,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on the eating habits, physical activities and the knowledge of obesity of the Korean adult males and females. The period of investi...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eating habits, practice to the obesity in Koeran adults,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on the eating habits, physical activities and the knowledge of obesity of the Korean adult males and females.
      The period of investigation was two weeks from March 1, 2004 to March 14, 2004.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based on random sampling and it was carried out by 303 the Korean adults in Busan City and Gyongbuk Province.
      The significance of the questionnaires was examined by carrying out t-test, chi-square surrey and dispersion analysis with SPSS version 10.1 program with the gathered materi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x distribution was male 34.4% vs. female 65.5%. Body mass index(BMI) is a tool for Indicating weight status in adults. It is a measure of weight for height. O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was normal weight 63.6%, overweight 17.4%, obese 11.8%, underweight 6.6%. Females and older ages are more belong to the group of overweight and obese. The most people of this study don't like to eat outside and control themselves. Older ages have more self-control of eating and rare breakfast. Younger ages like to have snacks, habits of overeating, convenience foods, sugar-contained foods and vegetarian foods. Males like to drink 리cohol and eat after normal dinner time than females. Females have more tendency to have snacks, overeating, convenience foods, sugar-contained foods and vegetarian foods. Higher academic backgrounds have more tendency to eat outside 3nd regular breakfast. Higher rankers of BMI have tendency of fast-eating and overeating. Most of the objectives have taking shower and bathing often, and older ages have regular body exercises and activities. 30's and over-50's have deeper sleep over 8hours contrast to 40's and males are more likely to have regular exercise than females. Lower academic backgrounds like watching TV contrast to highers. They have low understanding about genetical cause of obesity and the relationships of obesity and ingestion of sugar. High educational backgrounds have more knowledge and recognition about obesity. Females have more and higher recognition about the dietary treatments for prevention about obesity. Over-50's have lower knowledge and recognition about obesity than well-educated 30's, but they prefer to have regular exercises practically. And they recogni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diabetes. High BMI rankers have low recognition that there are some genetical causes on obesity and prevention activity about obesity can diminish geriatric diseases. These are no similar statistical differences on physical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close and intimate relationships between objetives' habit of eating, knowlege of obesity, physical activity and prevention of obesity. And to prevent obesity, good habits of living are needed like regular exercise and nutritional balanced meal, etc. Also educational programs about obesity are hopely needed for low educated and ol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표차례 = ⅲ
      • 국문요약 = ⅳ
      • Ⅰ. 서론 = 1
      •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3
      • 목차 = ⅰ
      • 표차례 = ⅲ
      • 국문요약 = ⅳ
      • Ⅰ. 서론 = 1
      •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3
      • 1. 연구 대상 = 3
      • 2. 자료 수집 방법
      • 3. 체격지수에 의한 비만의 판정 = 5
      • 4. 자료 분석 = 5
      • Ⅲ. 연구 결과 = 7
      •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7
      •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체질량지수별 분석 = 8
      • 3. 연구 대상자의 연령에 따른 식습관 분석 = 9
      • 4. 성별에 따른 식습관 분석 = 11
      • 5. 학력에 따른 식습관 분석 = 12
      • 6. 연구 대상자의 체질량지수별 식습관 분석 = 13
      • 7. 연령에 따른 신체활동 분석 = 15
      • 8.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 분석 = 17
      • 9. 학력에 따른 신체활동 분석 = 18
      • 10. 성별에 따른 비만지식 분석 = 19
      • 11. 연구 대상자의 연령에 따른 비만지식 분석 = 21
      • 12. 학력에 따른 비만지식 분석 = 23
      • 13. 체질량지수 분포에 따른 비만지식 분석 = 25
      • 14. 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활동 분석 = 26
      • Ⅳ. 고찰 = 27
      • Ⅴ. 결론 = 29
      • 참고문헌 = 30
      • Abstract = 32
      • 부록 = 3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