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민참여예산제도에 관한 인식차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68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참여를 통한 자치의 투명성과 책임성의 제고라는 본래의 기대와 달리 참여의 형식화나 새로운 형태의 주민갈등이 나타나는 등 역기능도 공존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식 주민참여예산제 운영과정에서 관련 당사자로 부딪치는 공무원과 주민참여위원들 간에 어떤 인식적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확인코자 하였다. 그 결과 주민참여위원들은 주민참여의 활성화와 예산낭비의 억제 및 예방 등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반면 공무원들은 인기영합적 예산편성과 예산수요의 증가, 집행부 권한 약화와 의사결정의 곤란 및 참여의 형식화 등을 걱정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우선 공무원 집단의 경우 이 제도가 지방의회의 예산심의권을 침해 할 것이라는 인식에서 본 것처럼 제도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기존의 행정행태에 기반한 인식에 의존하고 있고, 주민참여위원의 경우도 제도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바로잡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는 점이다.
      번역하기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참여를 통한 자치의 투명성과 책임성의 제고라는 본래의 기대와 달리 참여의 형식화나 새로운 형태의 주민갈등이 나타나는 등 역기능도 공존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참여를 통한 자치의 투명성과 책임성의 제고라는 본래의 기대와 달리 참여의 형식화나 새로운 형태의 주민갈등이 나타나는 등 역기능도 공존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식 주민참여예산제 운영과정에서 관련 당사자로 부딪치는 공무원과 주민참여위원들 간에 어떤 인식적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확인코자 하였다. 그 결과 주민참여위원들은 주민참여의 활성화와 예산낭비의 억제 및 예방 등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반면 공무원들은 인기영합적 예산편성과 예산수요의 증가, 집행부 권한 약화와 의사결정의 곤란 및 참여의 형식화 등을 걱정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우선 공무원 집단의 경우 이 제도가 지방의회의 예산심의권을 침해 할 것이라는 인식에서 본 것처럼 제도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기존의 행정행태에 기반한 인식에 의존하고 있고, 주민참여위원의 경우도 제도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바로잡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는 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contrary to the expectation of which it has a role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and the responsibility of self-governing, the participatory budgeting even though aggravates perfunctoriness of participation and local conflicts in Korea. The problems are caused not from the institutional vices of participatory budgeting but from others which each part of people, participating in the budgeting process, have a misunderstanding on the participatory budgeting.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the misunderstandings of citizen and local officials are one of main reasons of a derailing of the participatory budgeting, the study aims to examine empirically the gap between the citizen's understanding on the participatory budgeting and the official's, focused on Daeduck-ku, Daejeon.
      번역하기

      In contrary to the expectation of which it has a role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and the responsibility of self-governing, the participatory budgeting even though aggravates perfunctoriness of participation and local conflicts in Korea. The probl...

      In contrary to the expectation of which it has a role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and the responsibility of self-governing, the participatory budgeting even though aggravates perfunctoriness of participation and local conflicts in Korea. The problems are caused not from the institutional vices of participatory budgeting but from others which each part of people, participating in the budgeting process, have a misunderstanding on the participatory budgeting.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the misunderstandings of citizen and local officials are one of main reasons of a derailing of the participatory budgeting, the study aims to examine empirically the gap between the citizen's understanding on the participatory budgeting and the official's, focused on Daeduck-ku, Daeje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설계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설계
      • Ⅳ. 실증분석
      • Ⅴ. 결론: 요약 및 제언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호, "풀뿌리 민주주의 실험, 참여예산제: 브라질 뽀르뚜 알레그리를 다녀오다" 환경과 생명 206-220, 2007

      2 장석준, "참여예산제: 대안사회를 향한 작은 한걸음" 2003

      3 김웅, "참여예산사례: 외국과 국내사례 소개" 2003

      4 이승종, "지방정부이론" 박영사 2003

      5 김태근, "주민참여예산제의 의미와 운영방안: 울산광역시 동구의 경험을 중심으로" 2-, 2007

      6 임동욱,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현실적 한계" 한국정책지식센터 2003

      7 문세영,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성공적 실시를 위한 고려 사항" 한국정책지식센터 2003

      8 곽채기,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기본모형과 운영시스템 설계방안" 한국지방재정학회 10 (10): 247-276, 2005

      9 곽재기, "주민참여예산제도와 지역 NGO의 역할" 23 (23): 2003

      10 안성민, "주민참여예산제도: 포르투 알레그레시의 사례" (134) : 139-148, 2005

      1 이호, "풀뿌리 민주주의 실험, 참여예산제: 브라질 뽀르뚜 알레그리를 다녀오다" 환경과 생명 206-220, 2007

      2 장석준, "참여예산제: 대안사회를 향한 작은 한걸음" 2003

      3 김웅, "참여예산사례: 외국과 국내사례 소개" 2003

      4 이승종, "지방정부이론" 박영사 2003

      5 김태근, "주민참여예산제의 의미와 운영방안: 울산광역시 동구의 경험을 중심으로" 2-, 2007

      6 임동욱,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현실적 한계" 한국정책지식센터 2003

      7 문세영,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성공적 실시를 위한 고려 사항" 한국정책지식센터 2003

      8 곽채기,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기본모형과 운영시스템 설계방안" 한국지방재정학회 10 (10): 247-276, 2005

      9 곽재기, "주민참여예산제도와 지역 NGO의 역할" 23 (23): 2003

      10 안성민, "주민참여예산제도: 포르투 알레그레시의 사례" (134) : 139-148, 2005

      11 안성민, "주민참여예산제도 사례분석:울산광역시 동구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201-222, 2008

      12 김도희, "울산지역 로컬 거버넌스(Local Governance)의 성과와 한계:주민참여예산제와 주민배심원제의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5 (15): 131-158, 2006

      13 윤영진, "새 재무행정학" 대영문화사 2005

      14 풀뿌리자치연구소, "뽀르뚜 알레그레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 뽀르뚜 알레그리 현장조사 보고회" 풀뿌리자치연구소 1-42, 2007

      15 하승우, "브라질 포르뚜 알레그리의 참여예산제 현황과 한국에 던지는 시사점" 풀뿌리연구소 이음ㆍ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07

      16 나중식, "브라질 알레그레시의 주민참여예산제도 - 성공요인과 한계 -" 한국정부학회 16 (16): 457-482, 2004

      17 김석준, "뉴거버넌스" 대영문화사 2000

      18 OECD, "Promise and Problems of E-Democracy: Challenges of Online Citizen Engagement"

      19 G. Baiocchi, "Militants and Citizens: The Politics of Participatory Democracy in Porto Alegr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20 OECD, "Citizens as Partners: OECD handbook on information" consult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2001

      21 OECD, "Citizens as Partners: Information" consult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2001

      22 O. David, "Banishing Bureaucracy" Jossey-Bass Inc.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