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民法總則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726981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세종, 1999

      • 발행연도

        199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46 판사항(22)

      • ISBN

        8979432305 9336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民法總則 / 金又德 著.

      • 형태사항

        x, 674 p. ; 23cm.

      • 일반주기명

        권두에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서대학교 민석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법학
      • Ⅰ. 법학의 개념 = 1
      • Ⅱ. 법학의 분과 = 3
      • 1. 서설 = 3
      • 목차
      • 제1장 법학
      • Ⅰ. 법학의 개념 = 1
      • Ⅱ. 법학의 분과 = 3
      • 1. 서설 = 3
      • 2. 법철학 = 3
      • 3. 법해석학 = 5
      • 4. 법사학(法史學) = 6
      • 5. 법사회학 = 7
      • 6. 법정책학 = 7
      • 7. 비교법학 = 8
      • Ⅲ. 법학의 발달 = 10
      • 1. 서설 = 10
      • 2. 고대(古代)의 법학의 사상 = 10
      • 3. 중세법학의 사상 = 12
      • 4. 근대법학의 사상 = 14
      • 제2장 법학의 기초연구
      • Ⅰ. 법의 기본문제 = 21
      • 1. 자연적 법칙과 규범적 법칙 = 21
      • 2. 법의 의의 = 22
      • 3. 법의 기초문제 = 24
      • 4. 법의 개념 = 27
      • Ⅱ. 법과 다른 규범과의 구별 = 30
      • 1. 법과 도덕 = 30
      • 2. 법과 관습 = 31
      • 3. 법과 종교 = 32
      • 4. 법과 정치 = 34
      • 5. 법과 경제 = 35
      • Ⅲ. 법의 이념 = 36
      • 1. 서설 = 36
      • 2. 정의 = 36
      • 3. 합목적성 = 38
      • 4. 법적 안정성 = 39
      • 5. 법이념의 상호관계 = 40
      • Ⅳ. 법의 발달과 법의 계통 = 41
      • 1. 법의 발생 = 41
      • 2. 법의 발달 = 44
      • 3. 법의 계통 = 50
      • Ⅴ. 법원(法源) = 55
      • 1. 법원의 개념 = 55
      • 2. 법원의 종류 = 55
      • Ⅵ. 법의 분류 = 66
      • 1. 서설 = 66
      • 2. 자연법과 실정법 = 67
      • 3. 공법과 사법 = 68
      • 4. 시민법과 사회법 = 72
      • 5. 실체법과 절차법 = 74
      • 6. 강행법과 임의법 = 75
      • 7. 일반법과 특별법 = 77
      • 8. 원칙법과 예외법 = 79
      • 9. 조직법과 행위법 = 80
      • 10. 국내법과 국제법 = 81
      • Ⅶ. 법의 효력 = 83
      • 1. 의의 = 83
      • 2. 법의 규범적 타당성과 사실적 실효성 = 83
      • 3. 법의 규범적 타당성에 대한 근거 = 85
      • 4. 법의 형식적 효력 = 93
      • 제3장 법률관계
      • Ⅰ. 법률관계 = 101
      • 1. 법률관계와 사실관계 = 101
      • 2. 법률관계와 권리와 의무 = 102
      • 3. 권리와 의무의 관계 = 103
      • Ⅱ. 권리 = 105
      • 1. 권리의 의의 = 105
      • 2. 권리의 본질 = 107
      • 3. 권리의 종류 = 109
      • Ⅲ. 의무 = 115
      • 1. 의무의 의의 = 115
      • 2. 의무의 종류 = 116
      • Ⅳ. 권리와 의무의 주체와 객체 = 118
      • 1. 권리와 의무의 주체 = 118
      • 2. 권리와 의무의 객체 = 120
      • Ⅴ. 권리행사의 자유와 제한
      • 1. 서설 = 121
      • 2. 권리행사의 자유 = 122
      • 3. 권리행사의 제한 = 122
      • 제4장 통칙
      • Ⅰ. 민법의 의의 = 127
      • 1. 형식적 민법 = 127
      • 2. 실질적 민법 = 129
      • 3. 민법의 성격 = 129
      • Ⅱ. 민법의 법원(法源) = 132
      • 1. 법원의 의의 = 132
      • 2. 성문민법 = 133
      • 3. 불문민법 = 136
      • Ⅲ. 민법의 기본원리 = 144
      • 1. 의의 = 144
      • 2. 사적자치의 원칙 = 144
      • 3. 근대법의 원칙의 수정 = 146
      • 4. 신의성실의 원칙 = 147
      • Ⅳ. 민법의 효력과 적용 및 해석 = 156
      • 1. 민법의 효력 = 156
      • 2. 민법의 적용 = 158
      • 3. 민법의 해석 = 159
      • Ⅴ. 민법의 권리와 의무 = 164
      • 1. 법률관계 = 164
      • 2. 권리와 의미 = 167
      • 3. 사권 = 170
      • 4. 권리의 경합과 충돌 = 176
      • 5. 사권보호 = 178
      • 제5장 권리의 주체
      • Ⅰ. 총설 = 181
      • 1. 권리주체 = 181
      • 2. 민법상의 능력 = 182
      • Ⅱ. 자연인 = 186
      • 1. 권리능력의 시기(始期)와 종기(終期) = 186
      • 2. 행위능력과 무능력자 = 193
      • 3. 주소 = 211
      • 4. 부재자와 실종 = 215
      • Ⅲ. 법인 = 226
      • 1. 법인의 의의 = 226
      • 2. 법인의 본질 = 227
      • 3. 법인의 종류 = 230
      • 4. 법인의 설립 = 239
      • 5. 법인의 능력 = 246
      • 6. 법인의 기관 = 253
      • 7. 법인의 주소 = 262
      • 8. 정관의 변경 = 262
      • 9. 법인의 소멸 = 265
      • 10. 법인의 등기와 감독 및 벌칙 = 271
      • Ⅳ. 권리의 객체 = 274
      • 1. 권리의 객체 = 274
      • 2. 물건 = 275
      • 3. 부동산과 동산 = 279
      • 4. 주물(主物)과 종물(縱物) = 285
      • 5. 원물(元物)과 과실(果實) = 287
      • 제6장 법률행위
      • Ⅰ. 권리의 변동 = 291
      • 1. 권리변동의 의의 = 291
      • 2. 권리변동의 모습 = 292
      • 3. 권리변동의 원인 = 294
      • Ⅱ. 법률행위의 요건 = 299
      • 1. 법률행위 = 299
      • 2. 법률행위자유의 원칙 = 300
      • 3. 법률행위의 요건 = 300
      • Ⅲ. 법률행위의 종류 = 303
      • 1. 의사표시의 수와 방향에 따른 법률행위 = 303
      • 2. 내용에 따른 법률행위 = 306
      • 3. 일정한 방식의 필요성에 따른 법률행위 = 307
      • 4. 효력 발생시기에 따른 법률행위 = 308
      • 5. 재산 증감 여부에 따른 법률행위 = 308
      • 6. 출연행위에서 그 원인과 관계에 따른 분류 = 310
      • Ⅳ. 법률행위의 목적 = 313
      • 1. 의의 = 313
      • 2. 요건 = 313
      • Ⅴ. 법률행위의 해석 = 325
      • 1. 의의 = 325
      • 2. 법률행위 해석의 방법 = 326
      • 3. 법률행위 해석의 표준 = 329
      • 4. 법률행위의 해석의 성질 = 334
      • 제7장 의사표시
      • Ⅰ. 의사표시 = 335
      • 1. 의사표시의 의의 = 335
      • 2. 의사표시의 구성요소 = 336
      • 3. 의사주의 이론과 표시주의 이론 = 339
      • Ⅱ. 의사와 표시의 불일치 = 341
      • 1. 의의 = 341
      • 2. 진의 아닌 의사표시 = 342
      • 3. 허위표시 = 344
      • 4. 착오에 의한 의사표시 = 347
      • 5. 하자(瑕疵) 있는 의사표시 = 350
      • 6. 의사표시의 효력발생 = 352
      • 7. 의사표시의 수령능력 = 356
      • 제8장 법률행위의 대리
      • Ⅰ. 대리제도의 의의 = 359
      • 1. 대리의 개념 = 359
      • 2. 대리제도의 기능 = 359
      • 3. 대리의 본질 = 361
      • 4. 대리가 인정되는 범위 = 363
      • 5. 대리의 종류 = 367
      • Ⅱ. 대리권 = 369
      • 1. 대리권의 개념 = 369
      • 2. 대리권의 발생 = 370
      • 3. 대리권의 범위 = 373
      • 4. 대리권의 제한 = 376
      • 5. 대리권의 남용 = 379
      • 6. 대리권의 소멸 = 381
      • Ⅲ. 대리행위의 요건 = 384
      • 1. 대리의사의 표시 = 384
      • 2. 대리행위의 하자 = 386
      • 3. 대리인의 능력 = 388
      • 4. 대리의 효과 = 389
      • Ⅳ. 복대리(復代理) = 391
      • 1. 복대리의 의의 = 391
      • 2. 복임권과 대리인의 책임 = 392
      • 3. 복대리인의 지위 = 393
      • 4. 복대리권의 소멸 = 395
      • Ⅴ. 무권대리 = 396
      • 1. 무권대리의 의의 = 396
      • 2. 표현(表見)대리 = 397
      • 3. 협의의 무권대리 = 402
      • 제9장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 Ⅰ. 서설 = 407
      • 1. 무효와 취소의 의의 = 407
      • 2. 민법상 무효와 취소 = 408
      • 3. 무효와 취소의 차이 = 408
      • Ⅱ. 법률행위의 무효 = 410
      • 1. 법률행위무효의 의의 = 410
      • 2. 무효인 법률행위의 효과 = 411
      • 3. 무효행위의 종류 = 411
      • 4. 무효행위의 전환 = 413
      • 5. 무효행위의 추인 = 415
      • Ⅲ. 법률행위의 취소 = 417
      • 1. 취소의 개념 = 417
      • 2. 취소권 = 418
      • 3. 취소의 방법 및 효과 = 419
      • 4. 취소할 수 있는 행위의 추인 = 422
      • 5. 법정추인 = 423
      • 6. 취소권 단기소멸 = 425
      • 제10장 법률행위의 부관(附款)
      • Ⅰ. 부관 = 427
      • 1. 부관의 의의 = 427
      • 2. 광의의 부관과 협의의 부관 = 428
      • 3. 법률행위의 부관제도 = 428
      • 4. 부관의 종류 = 428
      • Ⅱ. 조건 = 429
      • 1. 조건의 의의 = 429
      • 2. 조건의 종류 = 429
      • 3. 조건을 붙일 수 없는 법률행위 = 432
      • 4. 조건의 성취의제와 불성취의제 = 434
      • 5. 조건부 법률행위의 효력 = 435
      • Ⅲ. 기한 = 438
      • 1. 기한의 의의 = 438
      • 2. 기한의 종류 = 438
      • 3. 기한을 붙일 수 없는 법률행위 = 439
      • 4. 기한부 법률행위의 효력 = 439
      • 5. 기한의 이익 = 440
      • 제11장 기간과 소멸시효
      • Ⅰ. 기간 = 443
      • 1. 기간의 의의 및 성질 = 443
      • 2. 기간의 적용범위 = 444
      • 3. 기간의 계산방법 = 444
      • Ⅱ. 소멸시효 = 446
      • 1. 소멸시효의 의의 = 446
      • 2. 취득시효와 소멸시효 = 446
      • 3. 시효제도의 근거 = 447
      • 4. 시효제도에 관한 입법례 = 447
      • 5. 시효의 성질 = 448
      • 6. 소멸시효와 제척기간의 구별 = 448
      • 7. 소멸시효의 요건 = 450
      • 8. 소멸시효의 기산점 = 452
      • 9. 소멸시효기간 = 454
      • 10. 소멸시효의 중단 = 456
      • 11. 소멸시효의 정지 = 461
      • 12. 소멸시효의 효력 = 4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