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관적 정당화요소 불요론 = Über die Entbehrlichkeit des subjektiven Rechtfertigungselement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객관적 정당화상황만 존재하면 위법성이 조각된다는 주관적 정당화요소 불요설은 객관적 위법성론과 고전적 범죄체계론의 입장에서 주장되어왔다. 하지만 이원적·인적 불법론을 취하는 ...

      객관적 정당화상황만 존재하면 위법성이 조각된다는 주관적 정당화요소 불요설은 객관적 위법성론과 고전적 범죄체계론의 입장에서 주장되어왔다. 하지만 이원적·인적 불법론을 취하는 현대 형법학에서는 더 이상 받아들이기 어려운 학설로 취급된다. 따라서 위법성이 조각되기 위해서는 객관적 정당화상황에 대한 인식과 의사인 주관적 정당화요소가 필요하다는 학설이 다수에게 비판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원적·인적 불법론에서도 주관적 정당화요소 불요설이 타당하다는 것을 논증한다.
      그 주된 논변은 다음과 같다. 이원적·인적 불법론은 결과반가치와 행위반가치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 불법이 성립한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결과반가치와 행위반가치 중 어느 하나가 존재하지 않게 되면 그 행위는 위법하지 않다. 객관적 정당화상황은 결과반가치를 조각하지만 주관적 정당화요소는 행위반가치를 조각하지 못한다. 따라서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에 객관적 정당화상황이 존재한다면 위법성이 조각되지만, 주관적 정당화요소가 존재한다고 위법성이 조각될 수는 없다. 주관적 정당화요소가 위법성조각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다주지 못하기 때문에 주관적 정당화요소는 불요하다.
      주관적 정당화요소 불요설을 받아들이게 되면, 객관적 정당화상황이 구비되어 있으나 주관적 정당화요소에 흠결이 있는 경우 그 행위의 위법성은 조각된다. 과실범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의 경우에는 주관적 정당화요소가 불법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객관적 정당화상황이 존재하지 않는 한 불법은 인정된다. 다만 위법성의 인식이 결여된 행위이기 때문에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 금지착오로 책임이 조각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은 엄격책임설과 일치한다. 과실범에 있어서도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 사례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정당한 이유가 있다면 금지착오로 책임이 조각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 Theorie der Entbehrlichkeit des subjektiven Rechtfertigungselementes, der zufolge die objektive Rechtfertigungslage dafur schon allein genugt, dass eine Handlung gerechtfertigt wird, ist unter dem Aspekt der objektiven Rechtswidrigkeitstheorie und...

      Die Theorie der Entbehrlichkeit des subjektiven Rechtfertigungselementes, der zufolge die objektive Rechtfertigungslage dafur schon allein genugt, dass eine Handlung gerechtfertigt wird, ist unter dem Aspekt der objektiven Rechtswidrigkeitstheorie und dem klassischen Verbrechenssystem behauptet worden. Aber in der modernen Strafrechtswissenschaft, welche die dualistische-personale Unrechtslehre einnimmt, wird diese Theorie nicht mehr als haltbar betrachtet. Also nimmt die herrschende Meinung ohne Zweifel den Ansatz ein, dass das subjektive Rechtfertigungselement, d. h. der Wille und die Kenntnis uber die objektive Rechtfertigungslage fur die Rechtfertigung notwendig sind. Im vorliegenden Beitrag wird die Ansicht argumentiert, dass auch in der dualistischen-personalen Unrechtslehre die These der Entbehrlichkeit des subjektiven Rechtfertigungselementes stichhaltig ist.
      Das Hauptargument ist wie folgt. Laut der dualistischen-personalen Unrechtslehre kommt ein Unrecht zustande, wenn alle beide Erfolgsunwert und Handlungsunwert bestehen. Und daraufhin ist eine Handlung nicht rechtswidrig, wenn einer der beiden fehlt. Die objektive Rechtfertigungslage beseitigt den Erfolgsunwert, während das subjektive Rechtfertigungselement den Handlungsunwert nicht. Also wird eine tatbestandmäßige Handlung gerechtfertigt, wenn die objektive Rechtfertigungslage besteht. Aber sie kann nicht gerechtfertigt werden, wenn nur das subjektive Rechtfertigungselement besteht. Zum Schluss ist das subjektive Rechtfertigungselement entbehrlich, weil es keine Wirkung hat.
      Falls man die Theorie der Entbehrlichkeit annimmt, lässt sich eine Handlung straflos werden, wenn die objektive Rechtfertigungslage besteht und das subjektive Rechtfertigungselement jedoch fehlt. Das Gleiche gilt auch fur das fahrlässige Delikt. Noch dazu im Erlaubnistatbestandsirrtum wird ein Unrecht einer Handlung erkannt, sofern es keine objektive Rechtfertigungslage gibt, weil das subjektive Rechtfertigungselement dem Unrecht keine Wirkung ausubt. Aber die Schuld der Handlung kann durch Verbotsirrtum geleugnet werden, wenn man nicht umhin kann, es anzuerkennen, dass der Täter diesen Irrtum nicht vermeiden konnte. Dieser Schluss ist vereinbar mit der strengen Schuldtheorie. Das Gleiche gilt auch fur den Erlaubnistatbestandsirrtum beim fahrlässigen Delik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양균, "형사법학의 과제와 전망(성시탁선생화갑기념논문집" 한국사법행정학회 1993

      2 차용석, "형법총론강의 [1]" 고시연구사 1984

      3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2015

      4 배종대, "형법총론" 홍문사 2016

      5 박상기, "형법총론" 박영사 2012

      6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7

      7 신동운, "형법총론" 법문사 2015

      8 김성돈, "형법총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8

      9 오영근, "형법총론" 박영사 2018

      10 이용식, "형법총론" 박영사 2018

      1 신양균, "형사법학의 과제와 전망(성시탁선생화갑기념논문집" 한국사법행정학회 1993

      2 차용석, "형법총론강의 [1]" 고시연구사 1984

      3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2015

      4 배종대, "형법총론" 홍문사 2016

      5 박상기, "형법총론" 박영사 2012

      6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7

      7 신동운, "형법총론" 법문사 2015

      8 김성돈, "형법총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8

      9 오영근, "형법총론" 박영사 2018

      10 이용식, "형법총론" 박영사 2018

      11 심재우, "형법에 있어서 결과불법과 행위불법" 20 : 1982

      12 이재상, "형법각론" 박영사 2015

      13 신동운, "형법각론" 법문사 2018

      14 김성돈, "형법각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8

      15 임웅, "형법각론" 법문사 2015

      16 문채규, "형법 제27조(불능범)의 "위험성" 표지" 한국비교형사법학회 8 (8): 31-58, 2006

      17 김일수, "주관적 정당화요소의 흠결" 35 (35): 1991

      18 성낙현, "주관적 정당화요소의 성격과 기능" 14 : 2000

      19 이진권, "주관적 정당화요소와 위법성의 본질에 관한 고찰" 한국법학회 (39) : 247-268, 2010

      20 이용식, "주관적 정당화요소에 관한 고찰" 41 (41): 1996

      21 김준혁, "주관적 정당화요소를 결한 경우의 효과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22 (22): 71-89, 2014

      22 김재현, "주관적 정당화 요소를 결한 경우의 불법구조에 대한 재검토" 부설법학연구소 45 : 233-260, 2015

      23 김재봉, "정당방위와 방위의사의 내용" (9) : 1996

      24 이형국, "정당방위에 있어서의 방위의사에 관한 고찰"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10 : 2000

      25 정영일, "정당방위에 있어서 방위의사의 의미" 한국형사법학회 (23) : 67-86, 2005

      26 이훈동, "정당방위에 있어서 방위의사에 관한 연구" (1) : 1999

      27 조국, "절제의 형법학" 박영사 2015

      28 성낙현, "인적불법론에서의 불법내용" 법학연구소 (31) : 313-336, 2010

      29 이용식, "이중착오" 44 (44): 2003

      30 임마누엘 칸트, "윤리형이상학" 아카넷 2012

      31 강철하,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 - 독자적 착오 유형 규율을 위한 한국 형법의 개선방향 -" 법학연구소 (52) : 317-348, 2011

      32 허일태, "엄삼섭 선생의 형법사상과 형법이론" 한국형사법학회 (19) : 135-174, 2003

      33 최정학, "엄벌주의와 범죄예방 - 아동 성범죄의 사례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54) : 211-242, 2014

      34 홍영기, "불법평가에서 주관적 정당화요소의 의의" 한국형사법학회 27 (27): 25-60, 2015

      35 문채규, "불법과 책임의 구별 그리고 규범이론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59 (59): 41-82, 2018

      36 정영일, "불능미수의 불법구조에 관한 재검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61-85, 2009

      37 이용식, "부작위범의 불능미수 - 미수범의 객관적 구성요건 정립을 위한 생각의 작은 단초 -" 법학연구소 47 (47): 240-267, 2006

      38 로널드 드워킨, "법의 제국" 아카넷 2004

      39 체사레 벡카리아, "범죄와 형벌" 박영사 2011

      40 김일수, "미수의 불법귀속에 관한 연구 특히 불능미수를 중심으로" 40 : 2003

      41 김종원, "목적적행위론과 형법이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5

      42 프란츠 폰 리스트, "마르부르크 강령" 도서출판 강 2012

      43 엄상섭, "긴급행위에 대한 시론" 1 (1): 1949

      44 배종대, "교과서범죄에 대하여" 13 (13): 1986

      45 牧野英一, "刑法總論" 有斐閣 1954

      46 中山硏一, "刑法総論" 成文當 1982

      47 平野龍一, "刑法総論" 有斐閣 1975

      48 江家義男, "刑法 : 總論" 千倉書房 1952

      49 金在峯, "主觀的 正當化要素에 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50 이인영, "主觀的 正當化要素" 법학연구원 12 (12): 19-51, 2002

      51 Spendel, Günter, "§32, in Leipziger Kommentar" Walter de Gruyter 1992

      52 Mezger, Edmund, "Strafrecht Allgemeiner Teil" Verlag C. H. Beck 1968

      53 Haft, Fritjof, "Strafrecht Allgemeiner Teil" Verlag C. H. Beck 2004

      54 Frisch, Wolfgang, "Festschrift für Karl Lackner zum 70. Geburtstag" Walter de Gruyter 1987

      55 Kaufmann, Armin, "Festschrift für Hans Welzel zum 70. Geburtstag" Walter de Gruyter 1974

      56 Dreher, Eduard, "Festschrift für Ernst Heinitz zum 70. Geburtstag" Walter de Gruyter 1972

      57 Schultz, Hans, "Einfürung in den allgemeinen Teil des Strafrechts" Stämpfli & Cie 1982

      58 Welzel, Hans, "Das Deutsche Strafrecht" Walter de Gruyter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6-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0.8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