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육아와 육아지원 정책에 대한 국가.사회적 가치와 목적을 설정하고, 그 가치와 목적에 비추어 현재 도달한 상태를 종합적.체계적으로 판단 해 볼 수 있는 육아지표를 개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23676
2009
Korean
372
학술저널
71-91(2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육아와 육아지원 정책에 대한 국가.사회적 가치와 목적을 설정하고, 그 가치와 목적에 비추어 현재 도달한 상태를 종합적.체계적으로 판단 해 볼 수 있는 육아지표를 개발...
본 연구는 한국의 육아와 육아지원 정책에 대한 국가.사회적 가치와 목적을 설정하고, 그 가치와 목적에 비추어 현재 도달한 상태를 종합적.체계적으로 판단 해 볼 수 있는 육아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유아교육.보육 발전은 물론 부모의 양육과 아동의 복지 측면을 포함하는 육아지표를 선정하여 기초지표 6개, 유아교육·보육 분야 지표 58개, 자녀양육 및 영유아복지 분야 지표 46개 등 110개의 지표를 개발하여 선정하였다. 이번 개발된 지표는 정부(중앙/지방)입안자들과 유아교육.보육 전문가들이 현재 우리나라 육아 실태와 질적 수준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establish the national goals and valu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and develop indicators for ECEC in accordance with those goals and values in order to mak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diagnosis of the cur...
This study is aimed to establish the national goals and valu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and develop indicators for ECEC in accordance with those goals and values in order to mak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diagnosis of the current ECEC situation in Korea. For these purposes, in total, 110 indicators were developed in three domains: 6 for Basics, 58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and 46 for Parenting and Child Welfare. The indicators are expected to provide a useful guide for policy-makers and experts to analyze the reality and quality of the current ECEC of Korea and make informed decisions.
참고문헌 (Reference)
1 Landy S,
2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한국의 아동지표"
3 한국아동권리학회, "한국의 아동지표" 학지사 2001
4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체계 개편 연구"
5 통계청, "한국의 사회 지표"
6 이승희, "한국아동보육사업의 경제적 규모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연구" 한국아동학회 26 (26): 183-202, 2005
7 나정, "유아교육 지표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01
8 정미라, "유아교육 발전 종합계획 수립(비전 2010)"
9 강무섭, "교육지표의 체계화 연구"
10 Pivo, Gary, "Toward Growth Management Monitoring in Washington State"
1 Landy S,
2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한국의 아동지표"
3 한국아동권리학회, "한국의 아동지표" 학지사 2001
4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체계 개편 연구"
5 통계청, "한국의 사회 지표"
6 이승희, "한국아동보육사업의 경제적 규모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연구" 한국아동학회 26 (26): 183-202, 2005
7 나정, "유아교육 지표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01
8 정미라, "유아교육 발전 종합계획 수립(비전 2010)"
9 강무섭, "교육지표의 체계화 연구"
10 Pivo, Gary, "Toward Growth Management Monitoring in Washington State"
11 UNESCO, "Strong Foundations: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Summary)"
12 Friendly,M, "Quality by design: what do we know about quality in early learning and child care, and what do we think?. working document" Child Resource and Research Unit, University of Toronto 2006
13 Friendly, M, "Quality by design: What do we know about quality in early learning and child care, and what do we think? A literature review"
14 Dunn,William.N, "Public Policy Analysis" Prentice-Hall 1994
15 Friendly, M, "Elements of a high quality early learning and child care system"
16 Campaign 2000, "Diversity or Dispar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Canada(ECEC)" Community Indicators Project Report I II-, 2003
17 Unicef, "Child poverty perspective: An overview of child well-being in rich countries" UNICEF Innocenti Research Centre Report Card 7 2007
18 Illinois Department of Children and Family, "Child Welfare Services Practice Handbook"
19 Nicholas Zill, "Are all indicators created equal? Alternatives to an equal weighing strategy in the construction of a composite index of child wellbeing" 2006
20 장명림, "2004 한국의 교육ž인적자원 지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4 | 1.64 | 1.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1 | 1.61 | 1.952 | 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