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섬유판(纖維板)의 증강(增强)사이즈제(齊)가 재질(材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 Effect of Strength Increasing Sizes on the Quality of Fiberboa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598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습식(濕式) 경질섬유판(硬質纖維板) 제조(製造)를 위(爲)한 보강용(補强用) 사이징제(劑)로서 실험실(實驗室) 제조(製造)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 요소수지(尿素樹脂)(음(陰)이온 형(型), 양(...

      습식(濕式) 경질섬유판(硬質纖維板) 제조(製造)를 위(爲)한 보강용(補强用) 사이징제(劑)로서 실험실(實驗室) 제조(製造)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 요소수지(尿素樹脂)(음(陰)이온 형(型), 양(陽)이온 형(型)),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와 일본(日本) M사(社)의 변성(變性)메라민수지(樹脂)(P-6100)와 변성(變性) 양(陽)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P-1500)등을 사용(使用)하여 섬유판(纖維板) 재질(材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였다. 공시재(供試材)는 라왕(20%)+소나무(80%)로 사용(使用)하였고 침착제(沈着劑)는 황산알미늄을 사용(使用)하였으며 열압조건(熱壓條件)은 전기가열(電氣加熱) 푸레스로 $180^{\circ}C$, $50-6-50kg/cm^2$, 시간(時間)은 1-2-7분(分)으로 S-1-S 경질섬유판(硬質纖維板)을 제조(製造)하여 일주일 기건(氣乾)시킨 후(後) 그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섬유판(纖維板)의 비중(比重)은 각(各) 보강제(補强劑)의 처리량(處理量)에 따른 비중(比重)의 차(差)는 없으나 보강제(補强劑) 간(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어 변성(變性)메라민수지(樹脂)가 제일 높고 양(陽)이온형(型), 음(陰)이온형(型) 및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가 중간(中間)이며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가 제일 낮았다. 2. 섬유판(纖維板)의 함수율(含水率)은 보강제(補强劑) 간(間)의 차(差)와 보강제(補强劑) 처리량(處理量)에 따른 함수율(含水率)의 차(差)가 전부(全部)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며 전체적(全體的)으로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할 수록 함수율(含水率)은 떨어지나 2%와 3% 처리(處理) 간(間)의 함수율(含水率) 차(差)는 없었다. 3. 섬유판(纖維板)의 흡수율(吸水率)은 보강제(補强劑) 간(間) 및 파라핀 왁스유탁액(乳濁液) 처리량(處理量) 간(間) 모두 다 유의차(有意差)를 보이고 있다. 파라핀 왁스유탁액(乳濁液) 처리량(處理量)을 늘일수록 흡수율(吸水率)은 떨어져 내수성(耐水性)이 증가(增加)함을 보이고 있으며 P-6100 및 P-1500은 무처리(無處理)에도 표준규격(標準規格)을 만족시켜 주며 음(陰)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 양(陽)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의 산(酸)콜로이드는 내수제(耐水劑)를 1% 요구하고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는 2%에 합격(合格)되고 있었다. 4. 섬유판(纖維板)의 곡강도(曲强度)는 보강제(補强劑) 간(間) 및 보강제(補强劑) 처리량(處理量) 간(間)에 모두 유의차(有意差)가 있으며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할 수록 곡강도(曲强度)는 증가(增加)하였다. P-6100이 가장 곡강도(曲强度)가 높고 P-1500, 양(陽)이온형(型) 및 음(陰)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의 산(酸)콜로이드등(等)이 중간(中間)이며,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가 곡강도(曲强度)는 제일 낮았다. 5. 섬유판(纖維板)의 품질(品質)과 경제적(經濟的)인 면(面)을 고려한다면 석탄산수지(石炭酸樹指)의 대체(代替)로서 산(酸)콜로이드 방법(方法)에 의한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와 양(陽)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들 변성수지(變性樹脂)에 대(對)한 개선(改善) 연구(硏究)가 계속 필요(必要)하다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berboard and paper mills in this country are much affected by the price hikes and shortage of phenolic resins, since phenolic acid as a raw material depends on imported good. It is prerequisite to fiberboard industry to help replace with other s...

      The fiberboard and paper mills in this country are much affected by the price hikes and shortage of phenolic resins, since phenolic acid as a raw material depends on imported good. It is prerequisite to fiberboard industry to help replace with other sized and stabilize the prices and supply of them, improving the quality of boards. Thu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strength increasing sized such as urea formaldehyde resin (anion and cation type) and urea melamine copolymer resin, on the quality of the wet forming hardboard, and comparing them with two types of proprietary modified melamine resins, and ordinary size, phenol resin. The Asplund pulp was prepared from wood wastes mixed with 20 percent of lauan and 80 percent of pines as a fibrous material. After sizing agents were added at a pH of 4.5 for 10 minutes with alum in the beater, the stock was made in the form of wet sheet, prepared, and then performed by hot pressing cycle: $180^{\circ}C$, $50-6-5kg/cm^2$, 1-2-7 minutes. The properties of hardboard were examined after air conditioning.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among hardboards that were treated with strength increasing resins, but no difference is effected by the increase in the resin content. In the case of modified melamine resin, its specific gravity is highest. The middle group comprises cation type of urea resin, anion type of urea resin, and acid colloid of urea-melamine copolymer resin. The lowest is phenolic resin. 2. The difference of the moisture content of hardboard both by the resins and by the amount of each resin applied is significant. The moisture content of hardboard becomes lower along with the increase of each resin content,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2 and 3 percent. 3. For water absorp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oth in the adhesives used and in the amount of paraffin wax emulsion. The water resistance becomes higher inn proportion to the content of the paraffin wax emulsion. To satisfy KS F standards of the water resistance, a proprietary modified melamine resin (p-6100) and modified cation type of urea resin (p-1500) do not require any paraffin wax emulsion, but in the case of anion type of urea resin, cation type of urea resin, and urea-melamine copolymer resin, 1 percent of paraffin wax emulsion is needed, and 2 percent of paraffin wax emulsion in the case of phenolic resin. 4. The difference of flexural strength of hardboard both by the resins and by the amount of each resin is significant. Modified melamine resin shows the highest degree of flexural strength. Among the middle group are urea-melamine copolymer resin, p-1500, anion type of urea resin, and cation type of urea resin. Phenolic resin is the lowest. The cause may be attributable to factors combined with the pressing temperature, sizing effect, and thermal efficiency of press platens heated electrically. 5. Considering the economic advantages and properties of hardboard, it is proposed that urea-melamine copolymer resin and cation type of urea resi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berboard industry. It is desirable to further develop the modified urea-melamine copolymer resin and cation type of urea resin through continuous stud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