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지역학의 교양교육 방법론에 대해서 연구한다. 지역학은 지역성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연구를 통칭한다. 공간적인 범위에서 지역학은 국내지역을 연구하는 지역학과 해외지역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21874
김상욱, 이혁구 (배재대학교 중국학과)
2016
Korean
"지역학" ; "교양교육" ; "방법론" ; "지역성" ; "지역연구" ; "Area Studies" ; "Liberal Education" ; "Methodology" ; "Regionality" ; "Regional Studies"
KCI등재
학술저널
5-35(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논문은 지역학의 교양교육 방법론에 대해서 연구한다. 지역학은 지역성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연구를 통칭한다. 공간적인 범위에서 지역학은 국내지역을 연구하는 지역학과 해외지역을 ...
본 논문은 지역학의 교양교육 방법론에 대해서 연구한다. 지역학은 지역성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연구를 통칭한다. 공간적인 범위에서 지역학은 국내지역을 연구하는 지역학과 해외지역을 연구하는 지역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내지역을 연구하는 지역학은 외국어 조건이 필요하지 않지만 해외지역을 연구하는 지역학은 외국어 조건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지역학은 언어 즉 외국어와도 관련이 깊다. 외국어는 해외지역학의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다. 대학의 전공 교육에서 지역학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에서 지역학을 개설할 경우 어떠한 교육방법론이 필요한가에 대해서 고민한다. 전공은 관련 외국어 기반을 필수적으로 요구할 수 있지만 교양에서는 이러한 요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양에서의 지역학 특히 해외지역학은 외국어보다는 지역성에 더욱 중점을 두는 것을 제안하다. 지역성은 해당 지역을 설명할 수 있는 특성을 말한다. 이러한 특성에는 지역사회, 지역경제, 지역문화, 지역관계, 지역역사, 지역지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지역학은 개념적으로도 융⋅복합적인 학문의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교양으로서의 지역학은 이와 같은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특히 교양교육에서는 이들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지역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liberal education methodology in area studies. In general, the area studies means the area research which based on the regional specification. From spatial viewpoint, the area studies can divide the domestic area studies and the...
This paper studies the liberal education methodology in area studies. In general, the area studies means the area research which based on the regional specification. From spatial viewpoint, the area studies can divide the domestic area studies and the global area studies. The former don’t need the foreign language, but the latter needs the foreign language, and then the area studies related to the language, especially the foreign language. This paper studies the liberal education methodology when th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open the area studies. The major’s area studies necessarily need the foreign language, but the liberal education’s area studies don’t need.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liberal education’s area studies not emphasis on the foreign language, not on the regional specifications. The regional specification can explain the region’s characteristics, includes regional society, regional economies, regional culture, regional relation, regional history, and regional geography.
목차 (Table of Contents)
면대면 토익 수업에서 온라인 퀴즈 활동에 대한 효과 및 학습자의 인식 연구
취업역량 관점에서 대학생과 취업자⋅인사 담당자 간의 인식비교와 대학교의 진로교육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