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인여성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이 안면피부유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food eating habits on women's skin 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4493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식습관에 나타나는 현상과 더불어 영양지식 및 식이 내용의 차이가 안면 피부유형과 피부미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 하고자 하였으며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 올바른 영양지식을 토대로 한 영양섭취의 중요성과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모색하고 그 실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서울지역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영양 지식, 식습관 실태, 영양지식과 피부유형의 관계, 식습관과 피부유형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자료 처리를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x^(2) 검증과 t-test 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 분석)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지식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이, 월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고졸 이하보다 대졸 이상이 영양지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식습관에 대한 조사에서 연령별로는 40세 이상이 아침을 꼭 먹었으며, 세 가지 이상의 잡곡을 먹는 여성이 많았다. 미혼보다는 기혼이, 고졸보다는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여성이 매일 일정하게 영양제를 섭취하였다. 채식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대졸 이상이, 건강상태와 영양상태가 좋은 여성들이 더 많이 섭취하였다. 자극적인 음식은 연령대가 높거나, 기혼보다는 미혼이, 건강상태가 나쁜 여성이 더 선호하였으며 영양상태의 좋고 나쁨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피부 건강을 위해 신경 써서 섭취하는 식품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미혼이, 고졸이하인 여성인 경우에 과일류 섭취가 많았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대졸 이상인 경우 해조류 섭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지식과 피부 유형의 관계에 대한 조사에서 영양지식 정도에 큰 차이 없이 피부상태가 보통인 여성이 많았다. 피부유형은 영양지식이 높은 경우 중성이거나 여드름성 피부유형이 비교적 많았으며 영양지식이 낮은 경우는 건성이거나 지성인 피부가 많았다.
      식습관과 피부 유형의 관계에 대한 조사에서 피부유형은 건성인 여성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복합성이었으며, 복합성 피부와 건성 피부유형은 음주, 채식 섭취량에서 차이가 있었고, 영양제를 먹지 않는 경우는 지성피부 유형에서 많았다. 섭취식품의 종류에 따라 여드름이 나는 정도가 달랐다. 복합성과 이상적인 피부유형인 중성은 마사지를 주 2회 이상 하는 경우에서 많았고, 예민성 피부는 마사지를 안 하는 경우에서 많았다.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고 피험자들의 생각을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이 사실을 일반화 시켜 확대 해석하기에는 신중을 기해야 하며 또한 식품의 종류뿐만 아니라 어떠한 성분이 직접적인 관계를 유발시켰는지에 대한 성분 분석 등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식습관에 나타나는 현상과 더불어 영양지식 및 식이 내용의 차이가 안면 피부유형과 피부미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 하고자 하였으며 건강한 피부를 유지...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식습관에 나타나는 현상과 더불어 영양지식 및 식이 내용의 차이가 안면 피부유형과 피부미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 하고자 하였으며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 올바른 영양지식을 토대로 한 영양섭취의 중요성과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모색하고 그 실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서울지역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영양 지식, 식습관 실태, 영양지식과 피부유형의 관계, 식습관과 피부유형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자료 처리를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x^(2) 검증과 t-test 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 분석)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지식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이, 월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고졸 이하보다 대졸 이상이 영양지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식습관에 대한 조사에서 연령별로는 40세 이상이 아침을 꼭 먹었으며, 세 가지 이상의 잡곡을 먹는 여성이 많았다. 미혼보다는 기혼이, 고졸보다는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여성이 매일 일정하게 영양제를 섭취하였다. 채식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대졸 이상이, 건강상태와 영양상태가 좋은 여성들이 더 많이 섭취하였다. 자극적인 음식은 연령대가 높거나, 기혼보다는 미혼이, 건강상태가 나쁜 여성이 더 선호하였으며 영양상태의 좋고 나쁨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피부 건강을 위해 신경 써서 섭취하는 식품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미혼이, 고졸이하인 여성인 경우에 과일류 섭취가 많았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대졸 이상인 경우 해조류 섭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지식과 피부 유형의 관계에 대한 조사에서 영양지식 정도에 큰 차이 없이 피부상태가 보통인 여성이 많았다. 피부유형은 영양지식이 높은 경우 중성이거나 여드름성 피부유형이 비교적 많았으며 영양지식이 낮은 경우는 건성이거나 지성인 피부가 많았다.
      식습관과 피부 유형의 관계에 대한 조사에서 피부유형은 건성인 여성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복합성이었으며, 복합성 피부와 건성 피부유형은 음주, 채식 섭취량에서 차이가 있었고, 영양제를 먹지 않는 경우는 지성피부 유형에서 많았다. 섭취식품의 종류에 따라 여드름이 나는 정도가 달랐다. 복합성과 이상적인 피부유형인 중성은 마사지를 주 2회 이상 하는 경우에서 많았고, 예민성 피부는 마사지를 안 하는 경우에서 많았다.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고 피험자들의 생각을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이 사실을 일반화 시켜 확대 해석하기에는 신중을 기해야 하며 또한 식품의 종류뿐만 아니라 어떠한 성분이 직접적인 관계를 유발시켰는지에 대한 성분 분석 등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patterns of women affect their skin type as well as their cosmology. The reason behind this study is to show that for the best skin care, one needs to have a stable basis of nutritional knowledg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food intake, and must control their eating habits.
      In conducting this study, women of Seoul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on their nutritional knowledge, their present eating habits, opin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and skin type,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eating habits on cosmology.
      For gathering as well as analyzing the compiled statistics, the SPSS program, the (x^(2)) and t-test verifications were used. In addition, after analyzing the data with the One-way ANOVA verification, the Scheffe verification was further consul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nutritional knowledge, the woman who were married, paid higher salaries, and healthier, were better aware of nutritional knowledge. Furthermore, university graduates ranked higher in score than people who had no more than a highschool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questions on eating habits:
      In relation to age, the women in their 40s always ate breakfast and there were more woman who ate their rice with at least 3 types of grains. In relation to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married women and university graduates took them on a regular basis. In relation to eating vegetables, those women who were in good health and/or nutritional condition were older, married, and university graduates who ate more vegetables than their counterparts. The older, single, women in bad health preferred spicy foods (hotter, sweeter, saltier, more bitter, etc.) while those women in both good and bad nutritional statuses enjoyed eating spicier foods. In relation to food intake for skin care, those women who were younger, single, and high-school graduates and below, generally liked eating fruits, while those women who were older and university graduates enjoyed eating seaweed for taking care of their skin.
      In taking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and skin types, since the different degrees of nutritional knowledge did not make that big of a difference for the healthiness of women's skin, most women were of standard skin status. However, those women with better nutritional knowledge had skin types that were normal or acne-ridden. On the other hand, those women with less nutritional knowledge had skin types that were dry or oil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ques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habits and skin type:
      In relation with skin types, the largest number of women had dry skin, the next largest number of women had combination skin. For combination and dry skinned wome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ir alcohol and vegetable intake. Many oily skinned women were found not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The degree or severity of acne depended the type of food consumed. For those women that massaged their skin at least twice per week, the majority of them had normal or combination skin types. For those who did not massage their skin, they generally had sensitive skin.
      In regards to the sample and its results, this study examined a localized region as well as the test subjects' thoughts. For this reason, one must use careful discretion when interpreting and generaliz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Moreover, not only the types of food products, but the analysis of whether or not certain components had direct relationship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in the support of this study.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patterns of women affect their skin type as well as their cosmology. The reason behind this study is to show that for the best skin care, one needs to have a stable basis of nut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patterns of women affect their skin type as well as their cosmology. The reason behind this study is to show that for the best skin care, one needs to have a stable basis of nutritional knowledg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food intake, and must control their eating habits.
      In conducting this study, women of Seoul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on their nutritional knowledge, their present eating habits, opin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and skin type,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eating habits on cosmology.
      For gathering as well as analyzing the compiled statistics, the SPSS program, the (x^(2)) and t-test verifications were used. In addition, after analyzing the data with the One-way ANOVA verification, the Scheffe verification was further consul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nutritional knowledge, the woman who were married, paid higher salaries, and healthier, were better aware of nutritional knowledge. Furthermore, university graduates ranked higher in score than people who had no more than a highschool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questions on eating habits:
      In relation to age, the women in their 40s always ate breakfast and there were more woman who ate their rice with at least 3 types of grains. In relation to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married women and university graduates took them on a regular basis. In relation to eating vegetables, those women who were in good health and/or nutritional condition were older, married, and university graduates who ate more vegetables than their counterparts. The older, single, women in bad health preferred spicy foods (hotter, sweeter, saltier, more bitter, etc.) while those women in both good and bad nutritional statuses enjoyed eating spicier foods. In relation to food intake for skin care, those women who were younger, single, and high-school graduates and below, generally liked eating fruits, while those women who were older and university graduates enjoyed eating seaweed for taking care of their skin.
      In taking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and skin types, since the different degrees of nutritional knowledge did not make that big of a difference for the healthiness of women's skin, most women were of standard skin status. However, those women with better nutritional knowledge had skin types that were normal or acne-ridden. On the other hand, those women with less nutritional knowledge had skin types that were dry or oil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ques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habits and skin type:
      In relation with skin types, the largest number of women had dry skin, the next largest number of women had combination skin. For combination and dry skinned wome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ir alcohol and vegetable intake. Many oily skinned women were found not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The degree or severity of acne depended the type of food consumed. For those women that massaged their skin at least twice per week, the majority of them had normal or combination skin types. For those who did not massage their skin, they generally had sensitive skin.
      In regards to the sample and its results, this study examined a localized region as well as the test subjects' thoughts. For this reason, one must use careful discretion when interpreting and generaliz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Moreover, not only the types of food products, but the analysis of whether or not certain components had direct relationship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in the support of this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ⅰ
      • 목차 = ⅲ
      • List of Tables = ⅴ
      • Figure of Contents = ⅵ
      • Ⅰ. 서론 = 1
      • 논문개요 = ⅰ
      • 목차 = ⅲ
      • List of Tables = ⅴ
      • Figure of Contents = ⅵ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4
      • 1. 피부의 구조와 기능 = 4
      • 2. 피부의 유형 = 6
      • 3. 피부와 영양 = 9
      • 4. 식생활과 영양지식, 식습관의 관계 = 11
      •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 14
      • 1. 조사대상 및 기간 = 14
      • 2. 조사 내용 및 방법 = 14
      • 3. 자료 분석 = 14
      •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 15
      • 1. 일반적인 특성 = 15
      • 2. 영양 지식 = 18
      • 3. 식습관 상태 = 20
      • 4. 영양 지식과 피부유형의 관계 = 42
      • 1) 얼굴 피부 건강 상태 = 42
      • 2) 피부 유형 = 42
      • 3) 여드름 정도 = 43
      • 4) 피부 색소의 종류와 원인 = 44
      • 5. 식습관과 피부유형의 관계 = 46
      • 1) 얼굴 피부 건강 상태 = 46
      • 2) 피부 유형 = 48
      • 3) 여드름 정도 = 52
      • 4) 피부 색소의 종류 = 55
      • 5) 피부 색소가 생긴 원인 = 58
      • 6) 마사지 횟수에 따른 피부 유형 = 61
      • 7) 수면 시간에 따른 피부 유형 = 62
      • Ⅴ. 요약 및 결론 = 63
      • 참고문헌 = 66
      • Abstract = 73
      • 설문지 =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