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사찰음식의 가치를 선사상과, 음양오행사상에 기초한 건강식임을 확인해보고, 사찰음식의 문화관광상품화의 가능성을 한국의 불교콘텐츠와 함께 제시하는 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016521
서울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학위논문(석사)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 문화콘텐츠학과 , 2010. 2
2010
한국어
641.5951
서울
Sachal eumsik and cultural tourism : a study of enhancement plan for the values of Sachal eumsik and cultural tourism of cultural contens
103 p. : 삽도 ; 26 cm.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재영.
참고문헌 : p. 97-10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사찰음식의 가치를 선사상과, 음양오행사상에 기초한 건강식임을 확인해보고, 사찰음식의 문화관광상품화의 가능성을 한국의 불교콘텐츠와 함께 제시하는 데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사찰음식의 가치를 선사상과, 음양오행사상에 기초한 건강식임을 확인해보고, 사찰음식의 문화관광상품화의 가능성을 한국의 불교콘텐츠와 함께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합리주의적 사고의 한계와 인간성 상실의 위기에 당면하면서 서양 사람들은 동양사상과 선(禪)문화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사찰음식에는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동양의 선(禪)사상이 깃들여있다. 이처럼 사찰음식은 한식의 원형이자 한 스타일(Han-style)의 대표브랜드이며, 동시에 대한민국이 지키고 알려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찰음식에 내재된 정신적 가치를 강조하는 문화관광상품화 전략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선(禪)사상은 인도에서 시작하여 중국을 통하면서 중국의 고유사상과 혼합된 뒤 한국, 일본에 전파된 불교사상의 한 종류인데, 세계적으로 젠(Zen)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예술분야에서는 회화, 인테리어, 산업디자인, 음악, 건축양식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음식에서는 자연식, 유기농, 채식 등을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보통 불교음식이라고 인식되고 있는 젠푸드(Zen food)는 중국, 베트남, 홍콩, 싱가포르, 타이완에서는 쨔이차이(Zhaicai)라고 부르며, 일본에서는 쇼진요리(Shojin ryori), 한국에서는 사찰음식(Sachal eumsik)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불교의 음식이 존재하는 나라는 북방불교 권역에 속하며 이 권역의 불교는 공통적으로 불가의 가르침에 따라 음식을 조리하고 먹는 것을 수행의 일환으로 여기고 있지만, 나라마다 조리법이 달라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사찰음식의 또 다른 정신적 가치는 음양오행설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인도에서 중국으로 건너간 불교는 중국 전통 신앙인 도교의 영향을 받아,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음식의 원형에서 벗어나 육식을 완전히 금하고 순수채식주의로 변할 뿐 아니라, 중국음식 속에 내포된 음양오행사상의 영향을 받아 철학이 깃든 음식으로 변했다. 따라서 중국을 통해 유입된 한국과 일본의 불교 음식에는 중국 불교음식의 채식주의와 음양오행사상의 영향이 짙게 스며있다. 사찰음식의 특징 중 하나인 약용식물의 섭생은 먹는 것에 초점을 두지 않고 자기관리의 연장선에서 음식을 통해 건강을 증진 시키는 원리를 그대로 담고 있는 것인데 모두 음양오행설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찰음식에 내재된 동양사상과 더불어 사찰음식의 문화관광상품화의 가능성은 관광지 매력성에 비춰봤을 때 사찰의 자연환경, 금기 및 규범에 따른 사찰음식의 문화적 특징, 다양한 사찰음식의 종류, 불교의 문화자원 등 내재된 무형적, 유형적 가치를 모두 갖추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사찰음식을 관광 상품화하는 것은 사찰음식을 계속 계승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이를 관광 상품화하는 것에 커다란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이상과 같은 한국의 사찰음식이 문화관광 상품으로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바탕으로 사찰음식 문화관광을 활성화하기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사찰운영 사찰음식전문점, 템플스테이의 음식 메뉴를 현대화된 사찰음식으로 보완, 기내식 상품으로 개발, 글로벌 호텔 체인에서 특정 사회계층에 집중적인 홍보와 사찰음식의 약리작용, 음양오행의 특징으로 관광객들에게 홍보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사찰음식의 문화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한국의 선(禪)음식, 한국의 조화로운 자연식, 한국의 여유(餘裕)식으로 사찰음식의 브랜드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the values of korean traditional Sachal eumsik as the healthy food based on Zen ideology and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proposing the potentialities of the Sachal eumsik to be cultural tourism pro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the values of korean traditional Sachal eumsik as the healthy food based on Zen ideology and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proposing the potentialities of the Sachal eumsik to be cultural tourism products along with Korean Buddhist contents.
Facing the limit of rational thought and the crisis of humanity loss in the complicated modern society, they take a great deal of interest in Eastern thought and Zen culture, and the Eastern Zen ideology which currently attracting world attention is saturated in the Sachal eumsik. Like this, temple food is the representative brand of original Korean food and Han-style, and precious cultural legacy Korea should preserve and introduce to the whole world simultaneously. Nevertheless, no study has been carried out about the strategy for the Sachal eumsik to be cultural tourism products vis which the spiritual value inherent in the Sachal eumsik could be highlighted.
Zen thought is a kind of Buddhist thought generated in India and spread to China where it mixed with Chinese unique thought and then propagated to Korea, Japan and the world call it the Zen, and in art field, it's expressed variously in painting, interior, industrial design, music, architectural form, and as the food, it is preferred as natural food, organic food, vegetarian diet. The Zen food, generally known to be as Buddhist food is called 'Zhaicai' in China, Vietnam, Hong Kong, Singapore, Taiwan, 'Shojin ryori' in Japan, and 'Sachal eumsik' in Korea. Those nations with Buddhist foods belong to northen Buddhism area, and those nations commonly make it as part of asceticism to cook and eat food following the Buddhism teachings, and they have distinctive cooking way and characteristics from each other.
Another spiritual value of Sachal eumsik is the soak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 Buddhism from India to China changed fully in its food deviating from the original pattern of Buddhism food that started from India and being influenced by China traditional faith Taoism which prohibits meat eating and only eat vegetable and then changed into the Zen ideology and Yin-Yang and Five Elements imbued food. Eventually Koran and Japanese Buddhist foods are imbued with the vegetarianism of Chinese Buddhism and Zen ideology and Yin-Yang and Five Elements imbued food thickly. The intake of medicinal plant is a trait of Sachal eumsik, the principle of which is its focus on health improvement with food rather than on eating itself fully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Like this, the possibility of Sachal eumsik to be the cultural tourism products with the Oriental thought imbued in it, have all the intangible and tangible values such as temple's natural environment, its cultural trait to the prohibition & rules, its various varieties and the Buddhist cultural resources considering the attraction of the tourist resorts. Besides, the great significance of the Korea traditional Sachal eumsik to be tourism products lies in its succession and consistent development.
On the basis of potentialities of the Korean Sachal eumsik to be cultural tourism products, the following are proposed as the menus of temple Sachal eumsik restaurants, temple stay need to be shifted to modernized Sachal eumsik, develop as airline food and publicize intensively in the global hotel chains to the special social stratum, and to the tourists its medicinal function, Yin-Yang and Five Elements traits, and proposed the brand of Sachal eumsik which includes Korean Zen food, harmonious natural food, Korean slow food based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achal eumsik.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