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 영어교사 성찰에 나타난 문제해결 역량의 다층적 분석: 성찰-폭과 성찰-깊이 = Multi-layered Analysi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Reflection Performed for Problem Solving: Breadth- and Depth- Levels of Refl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663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 영어교사가 영어지도 과정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차원의 성찰 역량을 다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 측면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예비 영어교사 20명이 ...

      본 연구는 예비 영어교사가 영어지도 과정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차원의 성찰 역량을 다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 측면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예비 영어교사 20명이 한 학기 동안 작성한 94개의 성찰일지에 나타난 성찰 역량을 성찰-폭과 성찰-깊이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성찰-폭(breadth) 수준은 성찰일지에 나타난 문제해결의 절차적 단계의 개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문제 정립(PD: Problem Determination), 문제 분석(PA: Problem Analysis), 해결책(RS: Resolution). 다음으로, 성찰-깊이(depth) 수준은 각 절차적 단계에 나타난 인지적 사고유형(기술(description), 정교화(elaboration), 근거 제시(justification), 평가(evaluation))의 조합이나 성찰자가 문제에 접근하는 관점(교사-관점(Teacher-view), 학생-관점(Student-view), 제3-관점(Alternative view))의 조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제해결 절차와 관련된 성찰-폭은 수준-1 (PD: 문제를 기술만 하는 수준)부터 수준-4 (PD+PA+RS: 문제를 기술, 분석, 결론까지 이르는 수준)까지로 나타났다. 이어서 문제를 정의하는 단계의 성찰-깊이는 PD-1부터 PD-4까지, 문제를 분석하는 단계의 성찰-깊이는 PA-0부터 PA-3까지, 그리고 해결책 제시 단계에서 성찰-깊이는 RS-0부터 RS-3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영어교사의 문제해결 성찰 역량 신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level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reflection performed for problem-solving from a multi-layered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94 teaching journals were analyzed, written by 20 prospective English teachers wh...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level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reflection performed for problem-solving from a multi-layered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94 teaching journals were analyzed, written by 20 prospective English teachers who reflected on their mentoring according to semi-structured problem-solving guidelines. The level of reflection shown in the teacher's journal of the participants was analyzed in terms of ‘reflection-breadth’ and ‘reflection-depth.’ First, the level of ‘reflection-breadth’ in each journal was analyzed based on the type of combination of procedural steps of problem-solving: Problem Determination (PD), Problem Analysis (PA), and Resolution (RS). Next, the ‘reflection-depth’ level refers to the types of combination of cognitive purposes (description, elaboration, justification) in each procedural step of problem-solving or the combination type of viewpoints from which the reflector approaches the problem (Teacher-view, Student-view, and Alternative view).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flection-breadth related to the problem-solving procedure ranged from level 1 (PD: the level of reflection where problems are described) to level 4 (PD+PA+RS: the level of reflection where problems are described, analyzed, and conclusions are drawn). In contrast, for each breadth-level, the reflection-depth is from PD-1 to PD-4 in the stage of determining the problem, the reflection-depth is from PA-0 to PA-3 in the stage of analyzing the problem, and the reflection-depth in the stage of reflection conclusion varied from RS-0 to RS-3.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ability regarding problem-solving were discuss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