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자기과신성향이 어닝 프라이즈와 어닝 쇼크의 상황에서 시장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최고경영자의 자기과신성향이(CEO overconfidence)가 어닝 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자기과신성향이 어닝 프라이즈와 어닝 쇼크의 상황에서 시장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최고경영자의 자기과신성향이(CEO overconfidence)가 어닝 서...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자기과신성향이 어닝 프라이즈와 어닝 쇼크의 상황에서 시장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최고경영자의 자기과신성향이(CEO overconfidence)가 어닝 서프라이즈와 어닝 쇼크의 상황에서 수익률(return)과 누적초과수익률(CAR)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Campbell et al. 2011; Galasso and Simcoe. 2011; Bharati et al. 2016)들은 경영자의 성향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나 본 연구는 경영자의 성향에 따른 시장의 기업의 비기대이익에 따른 반응을 살펴보는 것에 주안점을 둔다.
본 연구는 2010년에서 2016년 동안 경영자의 옵션정보가 공시된
기업을 대상으로 최고경영자의 자기과신성향이 시장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고경영자의 자기과신성향은 수익률에 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누적초과수익률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의 자기과신성향이 경영자가 이익 조정 등을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황국재 외 2015) 재무보고에 신뢰성이 없다고 시장이 판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는 최고경영자의 자기과신성향에 따라 시장이 비기대이익에 다르게 반응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시장은 경영자의 특성을 알고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반응한다는 것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