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국내 선수의 관점에서 본 외국인 선수의 특별귀화: 대한민국 남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사례를 중심으로 = The Korean Athletes’ Perspective on the Special Naturalization of Foreign Athletes: A Case Study of South Korean National Male Ice Hockey Te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51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특별귀화제도를 통해 귀화한 외국인 선수들에 대한 인식을 국내 선수들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외국인 선수를 특...

      이 연구는 특별귀화제도를 통해 귀화한 외국인 선수들에 대한 인식을 국내 선수들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외국인 선수를 특별귀화 시킨 남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소속이었던 선수 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국내 아이스하키 대표팀의 선수들의 경우 자신이 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제도에 의해서 특별귀화정책을 통해 귀화한 외국인 선수들의 대표팀 합류를 수용하게 되었다. 둘째, 더불어 이러한 과정에서 국가의 위상이나 대표팀의 성취를 우선시하면서 자신들에게 돌아올 불이익에 대해서 희생이라는 명목 아래 당연시하였다. 셋째, 국내 아이스하키 대표선수들은 그들의 희생이 결국 국내 아이스하키의 대중화에 공헌할 것이라는 낙수효과 또한 기대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특별귀화에 대한 이상과 현실 간의 괴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외국인 선수들의 특별귀화를 추진할 때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Korean ice hockey players perceive foreign athletes under the special naturalization law. Using the in-depth interviews with six Korean players in the national male ice hockey team, this study reveals that: (1) For Korea...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Korean ice hockey players perceive foreign athletes under the special naturalization law. Using the in-depth interviews with six Korean players in the national male ice hockey team, this study reveals that: (1) For Korean players in the national ice hockey team, they had to accept the foreign athletes who have been special naturalized through the system in their team even though they didn’t approve of it. (2) Furthermore, in its process, for their country (Korea)’s reputation and the team’s achievement; they had accepted the disadvantages and willingly sacrificed themselves. (3) They expected the Trickle-down effect that their sacrifice will contribute to popularizing ice hockey in the country. To sum up, the discrepancy between its ideal effect and reality of special naturalization was present and if there are future cases as such, this founding should be conside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충구, "한국인의 이민자 인식" 아산정책연구원 2014

      2 김흥순, "피겨 민유라-겜린 “한복·아리랑으로 한국을 자랑할게요”"

      3 맹이섭, "프로스포츠팬의 국가정체성과 귀화선수의 국가대표선발에 관한 인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7 (27): 155-178, 2014

      4 맹이섭, "프로스포츠선수의 국적이동에 대한 프로스포츠팬의 인식 연구" 한국체육학회 54 (54): 111-121, 2015

      5 고미혜, "평창행 예약한 아이스댄스민유라·겜린 “세계에 한국 문화를"

      6 하성룡, "평창 끝나자 ‘찬밥’... 비 새는빙상장, 설 곳 없는 선수들"

      7 이관우, "취약 종목 ‘메달 사냥’ 힘보태는 푸른눈의 태극전사들"

      8 김대희, "체육특기자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군복무제도개선방안"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8 (18): 51-73, 2015

      9 조영한, "월경하는 아시안 스포츠 셀러브리티와 유동적 시민권:한국과 중국의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7 (27): 217-241, 2014

      10 박성배, "용병을 국가 대표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227 : 153-165, 2017

      1 강충구, "한국인의 이민자 인식" 아산정책연구원 2014

      2 김흥순, "피겨 민유라-겜린 “한복·아리랑으로 한국을 자랑할게요”"

      3 맹이섭, "프로스포츠팬의 국가정체성과 귀화선수의 국가대표선발에 관한 인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7 (27): 155-178, 2014

      4 맹이섭, "프로스포츠선수의 국적이동에 대한 프로스포츠팬의 인식 연구" 한국체육학회 54 (54): 111-121, 2015

      5 고미혜, "평창행 예약한 아이스댄스민유라·겜린 “세계에 한국 문화를"

      6 하성룡, "평창 끝나자 ‘찬밥’... 비 새는빙상장, 설 곳 없는 선수들"

      7 이관우, "취약 종목 ‘메달 사냥’ 힘보태는 푸른눈의 태극전사들"

      8 김대희, "체육특기자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군복무제도개선방안"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8 (18): 51-73, 2015

      9 조영한, "월경하는 아시안 스포츠 셀러브리티와 유동적 시민권:한국과 중국의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7 (27): 217-241, 2014

      10 박성배, "용병을 국가 대표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227 : 153-165, 2017

      11 김호석, "외모는 달라도 목표는 하나 “평창서 메달”"

      12 정현, "외국인선수 특별귀화에 대한 (탈)민족주의 담론 분석: 올림픽 참가 외국인선수 특별귀화에 대한 미디어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2 (32): 73-88, 2019

      13 최현주,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여가스포츠 제약과 심리적 행복감 및 문화적응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6 (26): 185-199, 2017

      14 박종서,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사회경제적 수준, 문화변용태도가 여가스포츠 참여제약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15 이장원, "외국인 운동선수 특별귀화 관련 언론보도 프레임 분석" 한국융합학회 8 (8): 295-306, 2017

      16 김형준, "열악한 저변⋅적응 실패... 한국 떠난 ‘귀화 국가대표들’"

      17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연도별 인구대비체류외국인 현황" 법무부

      18 구창모, "스포츠의 일탈적 과잉동조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5 (25): 1-19, 2012

      19 김현수, "스포츠선수 귀화정책의 정당성과 다문화적 과제" 한국체육철학회 24 (24): 69-86, 2016

      20 이창섭, "스포츠사회학" 궁미디어 2009

      21 이현서, "스포츠 셀러브리티에 나타난 민족(국가)주의 대(對) 초국가주의 담론 경합: 빅토르 안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8 (28): 153-182, 2015

      22 정명의, "선수협, 용병 축소 등 ‘10가지제도 개선’ 요구"

      23 김관, "선수협 “생존권 위협” 대화도 거부"

      24 강국진, "상무 이어 하이원 해체 가닥... 설 자리 잃는 男 아이스하키"

      25 차은주, "사회학적 현상에서 무용일탈의 분석" 한국체육학회 52 (52): 459-470, 2013

      26 유다혜, "바이애슬론, 러시아 출신 랍신‘특별 귀화 통과’"

      27 황미경, "미디어를 통한 스포츠 인종주의의 구성: 프로스포츠 외국인 선수 보도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6 (26): 151-166, 2013

      28 이정일, "동계스포츠 귀화선수에 대한 국적이동 인식과 이미지 및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13 (13): 149-159, 2018

      29 이병기, "대기업 성장의 협력기업 낙수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원 4-62, 2012

      30 허진숙, "낙수효과 및 동반성장정책이 대기업 협력사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46 (46): 1599-1630, 2017

      31 이대호, "귀화 선택한 바이애슬론 ‘여전사’, 오직 올림픽이 목표"

      32 "국적법, 법률 제15249호"

      33 이남미, "국내 스포츠 노동이주 현상과 유연한 시민권의 발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3 (23): 155-178, 2010

      34 "국가법령정보센터"

      35 변재훈, "‘외국인 건설노동자 고용’ 놓고 노사갈등 심화"

      36 Chang, I. Y., "Transnationalism, return visits and identity negotiation : South Korean-New Zealanders and the Korean national sports festival" 52 (52): 314-335, 2017

      37 Royce, J., "The philosophy of loyalty" Vanderbilt University Press 1995

      38 Crouch, J. B., "Gender, sports, and the ethics of teammates : Toward on outline of a philosophy of sport in the American grain" 23 (23): 118-127, 2009

      39 안병수, "FA 대란에 가렸다... 외국인 선수 쿼터제한은?"

      40 Gang, I. N., "Economic strain, ethnic concentration and attitudes towards foreigners in the European Union" 2002

      41 Merriam, S. B.,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Jossey-Bass 1988

      42 Glesne, C.,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An introduction" Longman 2006

      43 서희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푸른 눈의 국가대표’ 관련 언론보도에 나타난 민족주의 담론"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0 (30): 1-23,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