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지방의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규모 지하수개발이 무계획적으로 급속히 이루어졌다. 지하수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재해는 해수침투이다. 해수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40570
2013
-
350
KCI등재
학술저널
239-249(1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안지방의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규모 지하수개발이 무계획적으로 급속히 이루어졌다. 지하수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재해는 해수침투이다. 해수침...
연안지방의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규모 지하수개발이 무계획적으로 급속히 이루어졌다. 지하수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재해는 해수침투이다. 해수침투는 해안대수층의 지하수 평형이 붕괴되어 해수가 담수지하수계로 유입되어 지하수가 수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는 현상이다. 해수침투를 조사하는 기법으로 관측 및 탐사를 활용하고 있지만, 몇 개의 자료로 해수침투 양상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해수침투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3차원 유한요소 해석 모형인 FEMWATER 모형을 이용하여 분산지수에 따른 염분농도의 변화를 모의하였다. 실제 자연현상과 유사하게 강우에 의한 침투와 양수를 고려하여 실측자료가 존재하는 300일의 기간에 대해서 해수침투현상을 모의하였다. 해석결과 지표에 가까운 지층에서는 담수지하수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해수와 직접 맞닿아 있는 지층에서는 해수침투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를 개발할 때 대수층의 해수침투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심도가 깊은 지층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solve water shortage problem in coastal area, groundwater was developed and used. However, the unplanned groundwater development in coastal areas caused many problems, and the typical problem is seawater intrusion. Seawater intrusion where...
In order to solve water shortage problem in coastal area, groundwater was developed and used. However, the unplanned groundwater development in coastal areas caused many problems, and the typical problem is seawater intrusion. Seawater intrusion where saline water infiltrates into the fresh groundwater system along the coastal aqui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eawater intrusion at a selected coastal aquifer site. The variation of TDS concentration with dipersivity in coastal aquifer is simulated by using FEMWATER model, which is developed to simulate water flow and mass transport through saturated-unsaturated medi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우석, "해안대수층에서 양수에 의한 염분농도의 변화" 2011
2 박재성, "해안대수층에서 담수 취수에 따른 해수침투범위 산정"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6
3 건설교통부, "해남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0
4 한국수자원공사, "영산간-섬진강 권역 광역 지하수조사 요약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998
5 Xu, M., "Use of Weighted Least-Squares Method in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ersivity and Field Scale" 33 (33): 1529-1534, 1995
6 Kim, S., "Simulation of Seawater Intrusion Range in Coastal Aquifer Using the FEMWATER Model for Disaster Information" 30 (30): 210-221, 2012
7 Freeze, R. A., "Groundwater" Prentice-Hall 1979
8 Lin, HC. J., "FEWWATER: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Computer Models for Simulating Density-Dependent Flow and Transport in Variably Saturated Media"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97
9 김경호, "3D-FEMWATER 모델을 이용한 대창지역의 해수침투 범위추정" 한국농공학회 47 (47): 3-13, 2005
10 농립수산식품부, "2011 해수침투조사 보고서" 농립수산식품부 2011
1 배우석, "해안대수층에서 양수에 의한 염분농도의 변화" 2011
2 박재성, "해안대수층에서 담수 취수에 따른 해수침투범위 산정"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6
3 건설교통부, "해남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0
4 한국수자원공사, "영산간-섬진강 권역 광역 지하수조사 요약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998
5 Xu, M., "Use of Weighted Least-Squares Method in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ersivity and Field Scale" 33 (33): 1529-1534, 1995
6 Kim, S., "Simulation of Seawater Intrusion Range in Coastal Aquifer Using the FEMWATER Model for Disaster Information" 30 (30): 210-221, 2012
7 Freeze, R. A., "Groundwater" Prentice-Hall 1979
8 Lin, HC. J., "FEWWATER: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Computer Models for Simulating Density-Dependent Flow and Transport in Variably Saturated Media"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97
9 김경호, "3D-FEMWATER 모델을 이용한 대창지역의 해수침투 범위추정" 한국농공학회 47 (47): 3-13, 2005
10 농립수산식품부, "2011 해수침투조사 보고서" 농립수산식품부 2011
11 농업기반공사, "2004 해수침투조사 보고서" 농업기반공사 2004
해양경찰의 효율적 정책집행체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불법어로를 중심으로
Disaster Management and Rrole of Local Government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9-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5 | 0.86 | 1.09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