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인도의 염소방목지역 식물상과 식생변화-전라남도 진도군 명도를 중심으로- =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Goats grazing Land in Uninhabited island - mainly on the Myeongdo, Jindogun Jeollanamdo, Kore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38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위치한 명도의 식물상과 식생조사를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 총 3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41과 76속 75종 1아종 13변종 총 89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위치한 명도의 식물상과 식생조사를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 총 3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41과 76속 75종 1아종 13변종 총 89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Ⅲ등급 5분류군, Ⅱ등급 1분류군, Ⅰ등급 15분류군으로 총 2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3.41%이었으며, 도시화지수는 0.93%로 산출되었다. 명도에서 조사된 주요식물로서는 홍도서털취(Saussurea polylepis Nakai)와 국내미기록종인 Veronica sieboldiana Miq(牧野, 1979)이다. Veronica sieboldiana(신칭:갯꼬리풀)은 2017년 4월 전라남도 진도군 명도(무인도) 주변에서 확인하였다. 본 종은 근연 분류군과 비교하여 국명은 해안 암벽 뜸새에서 자라고 있기 때문에 “갯꼬리풀”로 명명하였으며, 주요 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명도의 주요 식물군락은 목본으로는 곰솔군락, 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군락, 누리장나무군락, 돌가시나무군락이 자생하였고, 초본으로는 사철쑥군락, 이대군락, 억새군락, 밀사초군락 등이 나타났다. 명도의 식생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식생군락은 밀사초군락으로 총 37.86%, 15,632.1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억새군락이 2.59%, 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군락이 2.02%로 조사되었다. 향후 염소퇴치 사업에 따른 생태계 복원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식생변화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서 무인도서 생태계복원에 대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축척할 필요가 있다. 첫째, 명도에서 방목염소 퇴치후, 과거 염소들의 주요 휴식처인 남사면의 누리장나무군락지역으로 이곳은 바람이 적고, 햇볕과 그늘이 차단되어 염소들의 간섭이 심하게 일어난 지역이지만, 빠르게 자연식생이 회복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둘째, 도서지역 염소방목지역의 주요 식생교란 현상으로 일정기간 초본식생의 단순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염소가 접근 가능한 지역에서는 암벽식생의 단순화가 나타나고, 부분적으로 식생 훼손에 따른 토양유실과 암반노출이 확산되고 있는데, 토양유실을 방지하고, 자연식생회복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실토양주변을 중심으로 황마를 덮고, 호우시 토양유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적극적인 복원대책이 필요하다. 셋째, 명도에서는 식물지리학적 특성을 갖는 난온대성 식생인 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군락이 작은 면적이지만, 안정적으로 자생하고 있어서 중요한 생태적인 정보를 갖고 있다. 과거 방목된 염소로 인하여 하층식생인 관목층과 초본층에서 식생교란이 일어난 지역이지만, 군락내의 종구성의 자연적인 식생변화가 예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he flora and main vegetation change of the goats grazing land in the uninhabited island, Myeongdo.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June to September 2017.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89 taxa including 41 fam...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he flora and main vegetation change of the goats grazing land in the uninhabited island, Myeongdo.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June to September 2017.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89 taxa including 41 families, 76 genera, 75 species, 1 subspecies, 13 varieties. 21 taxa were listed as specific plants based on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exotic plant species were recorded as 3 taxa. The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ization Index were recorede as 3.41%, and 0.93%. Carex boottiana community accounted for the biggest among all the communities in Myeongdo with 37.86% or 15,632.14㎡. It was followed by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with 2.59%, Litsea japonica-Camellia japonica community with 2.02%. The importance plants are Saussurea polylepis and Veronica sieboldiana based on distribution in the investigated area. This is a report of an unrecorded species of Veronica from Korea, Veronica sieboldiana (Miq), found in Myeongdo, Jindo-gun, Jeollanam-do. the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Veronica species by trichomes that leaves slightly dilated and clasping at base; inflorescence and young branches with long-spreading multicellular hairs. The species was named after its findspot and is hence called “Gaet-ggoripul.” An illustration and key to the taxa related to Veronica are provi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양재,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 22 : 69-83, 1980

      2 임양재, "한라산국립공원 식물군집의 식물사회학적 분류" 한국생태학회 13 (13): 101-130, 1990

      3 김태정, "한국의 야생화와 자원식물" 서울대학교출판부 1-500, 2008

      4 정태현, "한국식물도감(목․초본류)" 삼화출판사 1-1824, 1965

      5 박수현,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1-178, 2001

      6 김세훈, "한국 특정도서 내 식생현황 및 관리방안" 2014 (2014): 37-38, 2014

      7 환경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8 환경부, "제2차 특정도서 보전 기본계획(2015-2024)" 1-71, 2014

      9 전라남도, "전남의 섬" 1-896, 2002

      10 환경부,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 1-2, 2001

      1 임양재,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 22 : 69-83, 1980

      2 임양재, "한라산국립공원 식물군집의 식물사회학적 분류" 한국생태학회 13 (13): 101-130, 1990

      3 김태정, "한국의 야생화와 자원식물" 서울대학교출판부 1-500, 2008

      4 정태현, "한국식물도감(목․초본류)" 삼화출판사 1-1824, 1965

      5 박수현,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1-178, 2001

      6 김세훈, "한국 특정도서 내 식생현황 및 관리방안" 2014 (2014): 37-38, 2014

      7 환경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8 환경부, "제2차 특정도서 보전 기본계획(2015-2024)" 1-71, 2014

      9 전라남도, "전남의 섬" 1-896, 2002

      10 환경부,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 1-2, 2001

      11 이우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1-624, 1996

      12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하)" 향문사 1-914, 2003

      13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상)" 향문사 1-901, 2003

      14 이영노, "원색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1247, 1998

      15 김하송, "신안군 칠발도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4 (24): 231-240, 2012

      16 환경부,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Ⅳ)" 197-205, 2010

      17 김하송, "무인도서의 식생과 식생보전가치등급" 한국자연보전협회 160 : 34-45, 2012

      18 내무부, "도서통계"

      19 국립수목원, "국가표준식물목록"

      20 김유신, "강원도 괘병산과 갈미봉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산림과학회 101 (101): 226-235, 2012

      21 淸水建美, "日本의歸化植物" 平凡社 14-15, 2003

      22 牧野富太郞, "新日本植物圖鑑" 北陸館 1137-, 1979

      23 寺崎留吉, "寺崎日本植物圖譜" 平凡社 1181-, 1977

      24 Ohwi Jisaburo, "Flora of Japan" 1066-, 1984

      25 Melchior, H.,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Ⅱ" Gebruder Borntraeger 1-666, 196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