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0년대 호스티스 수기의 영화화 연구 ―[O양의 아파트], [영아의 고백], [26x365=0(무(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ilmization of Hostesses’s Memoirs in 1970’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70년대에 수기를 원작으로 제작되었던 호스티스 영화 세 편, [O양의 아파트], [영아의 고백], [26X365=0(無)]를 분석한다. 이 세 편의 영화는 1970년대 한국사회에서 호스티스가 어떻게 ...

      이 논문은 1970년대에 수기를 원작으로 제작되었던 호스티스 영화 세 편, [O양의 아파트], [영아의 고백], [26X365=0(無)]를 분석한다. 이 세 편의 영화는 1970년대 한국사회에서 호스티스가 어떻게 상상되고 소비되었는지를 다른 호스티스 영화보다 더욱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자신의 경험을 문학적 글쓰기 과정을 통해 자기서사로 만들어낸 수기는 영화화되면서 다시 한 번 각색된다. 이 과정에서 수기를 통해 실제 호스티스가 드러내고자 했던 자신의 삶의 단면은 왜곡되고 변형될 수밖에 없다. 실제경험이 두 번의 각색작업을 거치며 영화에서 진짜 호스티스는 사라지고 상상된 호스티스만이 남겨진 것이다.
      그들은 자신의 수기를 통해 스스로의 삶을 재정의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수기에서는 매춘여성이 아니라 비록 한 때는 타락했었지만, 지금은 홍등가에서 벗어나는데 성공한 여성으로 그려진다. 혹은 실패했으나 호스티스의 세계에서 탈출하기 위해 노력했던 안타깝고 가련한 여성임을 독자들에게 고백한다. 이렇게 나름의 주체성을 갖고자 노력했던 오미영, 강영아, 최수희의 수기는 영화화되면서 통속적인 멜로드라마로 변질된다. 이 과정에서 그들의 노력은 삭제되고 타락한 삶 속에서 고통받으며 패배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전락한다. 이러한 각색은 영화라는 대중매체로의 전환과정 중에 70년대 검열과 대중의 욕망 등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이다. 그리고 1970년대 한국사회가 호스티스를 패배적이고 주변적인 인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들이 제공하는 향락을 즐긴 뒤에는 반드시 추방시켜야 하는 존재로 생각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ree hostess movies that were originally memoirs in the 1970s: Young-ah's Confession, Miss O's Apartment, and 26x 365=0. These films highlighted more clearly how hostesses were imagined and consumed in the 1970's Korean society th...

      This study analyzed three hostess movies that were originally memoirs in the 1970s: Young-ah's Confession, Miss O's Apartment, and 26x 365=0. These films highlighted more clearly how hostesses were imagined and consumed in the 1970's Korean society than other movies. These memoirs were dramatized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in the literary process. They were adapted once again into films. In this process, lives that hostesses desired to reveal were inevitably distorted and transformed.
      The authors attempted to redefine themselves as not prostitutes who used to be depraved but successful women escaping from the red-light district. Alternatively, they confessed that they were pathetic and pitiable who made an effort to break out of a vicious circle. Unfortunately, works of Omi Young, Kang Young-a, and Choi Soo-hee, who attempted to have their own subjectivity were transformed into a popular melodrama. In the cinematized process, their efforts were reduced to passive beings who suffered from degenerate lives. This confirmed that the 70s' Korean society regarded hostesses as defeated and peripheral ones who should be expelled after exploiting the pleasure that they provid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