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하천/호수에 적용된 조류저감기술의 조사 및 평가 =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Algae Removal Technologies Applied in Domestic Rivers and Lak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실제 하천과 호소에서 적용된 상용화된 28개 조류저감기술의 현장적용 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평가(evaluation)․분석(analysis)하여 분류(classification)하였다. 분류 기준은 공법구분, 적용 수체의 ...

      실제 하천과 호소에서 적용된 상용화된 28개 조류저감기술의 현장적용 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평가(evaluation)․분석(analysis)하여 분류(classification)하였다. 분류 기준은 공법구분, 적용 수체의 유속, 적용 시점의 3가지 기준에 의해 분류하였으며, 각 조류저감기술은 경제성, 현장 적용성, 효과 지속성, 수생태 안전성을 기준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공법 원리별로 분류 시 물리적 공법이 32.2%, 화학적 공법이 25%, 생물학적 공법이 21.4%, 복합처리 공법이 21.4%를 차지하였다. 조사된 조류저감기술의 75%는 유속 0.2 m/s 이하의 정체된 호소, 저수지, 소형 하천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다. 가압부상장치와 컨베이어 벨트 및 탈수장치를 탑재한 이동식 녹조제거선과 광물기반 천연 부유응집제 기술이 타 기술 대비 현장 적용성은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발생현장에 적합한(site-specific) 맞춤형 조류저감기술의 도입은 pilot 규모의 장ㆍ단기 운전을 통해 효율을 검증 후 최종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수된 조류 바이오매스를 생물 자원화를 통해 에너지 회수형 조류저감기술 등의 신속한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mercial 28 algae removal technologies that have been applied in domestic rivers and lakes with green tide were investigated, analyzed and classified. The classification of algae removal technologies was based on the three criteria (i.e., principle,...

      Commercial 28 algae removal technologies that have been applied in domestic rivers and lakes with green tide were investigated, analyzed and classified. The classification of algae removal technologies was based on the three criteria (i.e., principle, flow rate of water body, and application period). Also, algae removal technologi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cost effectiveness, field applicability, effect durability, and eco friendliness. From the analysis results, technologies using physical, chemical, biological, and convergent controls were 32.2%, 25%, 21.4%, and 21.4%, respectively. The 75% of 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to stagnant water body (≤0.2 m/s). Also, algae harvesting ship with dissolved air flotation, conveyor belt and filtration processes and natural floating coagulant were found to have better field applicability, compared to other technologies. However, proper algae removal technology in specific rivers and lakes should be chosen after the evaluation of long-term pilot scale field test. Also, development of energy and resource recovery technologies from algae biomass is warran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약
      • 1. 서론
      • 2. 최근 조류저감기술 연구 및 개발 동향
      • 3. 국내 조류저감기술 현황 및 분류
      • Abstract
      • 요약
      • 1. 서론
      • 2. 최근 조류저감기술 연구 및 개발 동향
      • 3. 국내 조류저감기술 현황 및 분류
      • 4. 국내 조류저감기술의 기술평가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재기, "친환경적 녹조 제거용 특수선박 건조" 한국하천호수학회 42 (42): 404-406, 2009

      2 안치용, "유해 남조류의 세계적 발생현황 및 녹조제어를 위한 질소와 인-제한 전략" 한국환경생물학회 33 (33): 1-6, 2015

      3 신재기, "藻類제어를 위한 실용적 신기술 : K-water 녹조수상콤바인" 한국하천호수학회 47 (47): 214-218, 2014

      4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The Lake and Reservoir Restoration Guidance Manual" 1990

      5 KICT, "Technical report of algal removal technologies in field application" 2015

      6 Ministry of Environment, "Supply of safe water protecting from green tide"

      7 Cooke, G. D,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Lakes and Reservoirs"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2005

      8 KIPO, "Recent trends in patents of algae removal technology" 2014

      9 Ministry of Environment, "Improvement of algal management strategy through algal expert forum" 2013

      10 Korea Water Re1sources Corporation, "Engineering Technologies for High Efficiency Green-tide Harvesting System and Microalgal Biomass to Convert Renewable Resources at the Water-Bloom of Rive"

      1 신재기, "친환경적 녹조 제거용 특수선박 건조" 한국하천호수학회 42 (42): 404-406, 2009

      2 안치용, "유해 남조류의 세계적 발생현황 및 녹조제어를 위한 질소와 인-제한 전략" 한국환경생물학회 33 (33): 1-6, 2015

      3 신재기, "藻類제어를 위한 실용적 신기술 : K-water 녹조수상콤바인" 한국하천호수학회 47 (47): 214-218, 2014

      4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The Lake and Reservoir Restoration Guidance Manual" 1990

      5 KICT, "Technical report of algal removal technologies in field application" 2015

      6 Ministry of Environment, "Supply of safe water protecting from green tide"

      7 Cooke, G. D,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Lakes and Reservoirs"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2005

      8 KIPO, "Recent trends in patents of algae removal technology" 2014

      9 Ministry of Environment, "Improvement of algal management strategy through algal expert forum" 2013

      10 Korea Water Re1sources Corporation, "Engineering Technologies for High Efficiency Green-tide Harvesting System and Microalgal Biomass to Convert Renewable Resources at the Water-Bloom of Rive"

      11 오희균, "CVM을 이용한 수질개선의 경제적 가치평가 연구: 녹조현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23 (23): 115-135, 2015

      12 Ministry of Environment, "Algal removal master plan from domestic fresh water"

      13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lgae removal technologies for the healthiness of aquaculture"

      14 Gyeonggi Research Institute, "A Study on the Traveling Route and Control Method of Eutrophication Sources in Han River Basin" 2015

      15 Kim, M. K., "A Study on Production & Removal of Microcystin, Taste & Odor Compounds from Algal bloom in the Water" 52 : 33-42,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0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