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13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을 해석하고, 개정 누리과정을 성격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교사의 역량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개정 누리과정이 추구하는 ‘유아중...

      이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을 해석하고, 개정 누리과정을 성격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교사의 역량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개정 누리과정이 추구하는 ‘유아중심’을 ‘유아의 교육과정’과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의 의미로 풀이하였으며, ‘놀이중심’은 ‘놀이기반 교육과정’과 ‘놀이를 통한 배움’이라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교육공동체의 교육과정 참여’와 ‘자율적 교육과정 실천’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해석에 기초하여 연구자는 개정 누리과정 실천을 위해 교사의 비판적 사유와 윤리적 실천 역량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교사는 교육과정의 권리와 힘에 대해 그리고 배움∼가르침의 관계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귀 기울이기와 회절하기의 윤리적 행위를 통해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 자율성을 실천해야 함을 제시하면서, 교사교육의 현실에 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ssay was to interpret the latent meanings of the 「2019 Nuri Curriculum」 and to explore the teacher s competences for the curricular praxis. The researcher understood meanings of the child-centered’ as curriculum of young children and the cu...

      The essay was to interpret the latent meanings of the 「2019 Nuri Curriculum」 and to explore the teacher s competences for the curricular praxis. The researcher understood meanings of the child-centered’ as curriculum of young children and the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nd play-centered as playful learning and play-based curriculum , and the autonomy of curriculum as curriculum with communal involvement and becoming the curriculum . Accordingly, it was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have competencies for critical awareness and ethical act. Furthermore, it was explained that teachers constantly should put the questions about the rights and powers in the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and teaching, and actualize the child-centered, the play-centered, and the curriculum autonomy through listening and diffr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서론 Ⅱ.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 자율성의 의미 Ⅲ.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 요약 Ⅰ. 서론 Ⅱ.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 자율성의 의미 Ⅲ.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연선, "회절과 회절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실험하기" 한국교육인류학회 21 (21): 193-224, 2018

      2 임부연, "학교교육에서 놀이교육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8

      3 박민정,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교육과정 논의의 쟁점"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37-57, 2005

      4 Freire, P., "페다고지" 그린비 2002

      5 우정길, "탄생적 상호주관성과 교육 - 비에스타(G. Biesta)의 아렌트(H. Arendt)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53-72, 2014

      6 이경란, "초록유치원의 교사학습공동체 이야기 : 유아의 몸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천의 변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253-277, 2015

      7 반미령, "초록반 아이들의 놀이-되기: 나무동산에서 펼쳐지는 놀이의 의미 해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283-303, 2018

      8 Deleuze, G.,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9 박남기,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패러다임 탐색" 한국교육학회 55 (55): 211-240, 2017

      10 권귀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유아교사의 역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7-72, 2018

      1 이연선, "회절과 회절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실험하기" 한국교육인류학회 21 (21): 193-224, 2018

      2 임부연, "학교교육에서 놀이교육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8

      3 박민정,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교육과정 논의의 쟁점"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37-57, 2005

      4 Freire, P., "페다고지" 그린비 2002

      5 우정길, "탄생적 상호주관성과 교육 - 비에스타(G. Biesta)의 아렌트(H. Arendt)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53-72, 2014

      6 이경란, "초록유치원의 교사학습공동체 이야기 : 유아의 몸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천의 변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253-277, 2015

      7 반미령, "초록반 아이들의 놀이-되기: 나무동산에서 펼쳐지는 놀이의 의미 해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283-303, 2018

      8 Deleuze, G.,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9 박남기,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패러다임 탐색" 한국교육학회 55 (55): 211-240, 2017

      10 권귀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유아교사의 역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7-72, 2018

      11 오채선, "자율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415-443, 2018

      12 박소연, "음악 감상활동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교사의 실천지식 쌓아가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35-664, 2019

      13 문복진, "유치원 교원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연수 모형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4 박지희,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기초한 현직교사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07-228, 2014

      15 임부연,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65-287, 2019

      16 Moss, P., "유아교육과 의무교육: 관계를 재개념화 하기" 창지사 2017

      17 이정금, "유아교실에서 교사 상상력에 관한 경력유아교사들의 이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35-62, 2017

      18 조운주, "예비유아교사의 초임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및 핵심역량의 타당성"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93-116, 2015

      19 이경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육봉사활동의 현황과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93-310, 2016

      20 안지령,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 역량”에 대한 이해" 열린부모교육학회 9 (9): 245-264, 2017

      21 이경화, "영유아교육기관 평가의 현실과 개선 방향 탐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7 (17): 49-73, 2018

      22 Sellers, M.,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리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창지사 2018

      23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이기’와 ‘되기’" 창지사 2017

      24 류승오, "수업혁신을 위한 『배움중심의 거꾸로 수업』 개념 논의" 20 (20): 67-80, 2014

      25 김병찬, "사범대학 교육 경험의 의미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105-137, 2008

      26 김한길, "배움 및 학습자를 우선시하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비에스타(G. Biesta)의 상호주관성 논의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7 (57): 629-641, 2018

      27 임부연, "미래사회 준비를 위한 ‘놀이’중심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개정방향 모색" 교육발전연구소 27 (27): 59-78, 2017

      28 곽노의, "멘토링을 통한 초임 남자유아교사의 교직적응과정 탐색: 관계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1-60, 2012

      29 Lenz Taguchi, H.,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 넘어서기" 창지사 2018

      30 Olsson, L. M.,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운동과 실험" 살림터 2016

      31 Villani, A., "들뢰즈 개념어" 갈무리 2012

      32 곽향림, "누리과정에 따른 단위유치원 교육과정설계: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333-359, 2019

      33 손연주, "누리과정에 드러난 놀이 이미지의 해체를 넘어서: 차이생성의 놀이로 나아가며" 한국육아지원학회 14 (14): 109-140, 2019

      34 오채선, "누리과정, 놀이와 교육의 변증법적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279-305, 2019

      35 박창현, "누리과정 질 제고를 위한 운영 다양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6

      36 최윤경, "누리과정 성과 제고를 위한 교사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7

      37 정낙림, "놀이와 형이상학 - 니체, 하이데거, 핑크의 놀이 사유" 한국니체학회 (29) : 7-47, 2016

      38 강은영,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의 배움 중심 수업 구현을 위한 백워드 설계의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2 (62): 49-72, 2019

      39 박창현,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 성격에 부응하는 누리과정 운영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7

      40 이경화,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기관평가의 평가지표에 대한 비판적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41 (41): 107-137, 2014

      41 박영숙,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35 (35): 165-188, 2018

      42 Pinar, W., "교육과정 이론이란 무엇인가?" 문음사 2005

      43 김대현,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2005

      44 조부경, "교육·보육과정으로서 누리과정의 성과와 내실화 방안" 유아교육연구소 19 (19): 1-22, 2017

      45 허주, "교사전문성에 대한 재고: 교직특성 및 교사의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1-18, 2019

      46 성병창,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조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1 (21): 78-95, 2009

      47 김선영, "교사들이 기대하는 ‘교육과정 자율권’ 탐색" 교육연구소 15 (15): 55-79, 2014

      48 정선아, "‘어린이는 놀이로 세상을 배운다’에 대한 비판적 성찰: “세계-내-존재”와 “세계-의-존재” 관점에서"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6 (6): 5-21, 2016

      49 이선희, "‘아동으로부터 출발’의 교육적 재논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17-241, 2018

      50 이유나, "‘교육공동체’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교육종합연구소 14 (14): 153-185, 2016

      51 Andrew, Y, "The sociology of early childhood young children’s lives and worlds" Routledge 2019

      52 Murris, K., "The posthuman child: Educational transformation through philosophy with picturebooks" Routledge 2016

      53 hooks, b., "Teaching to Transgress: Education as the Practice of freedom" Routledge 1994

      54 Van Oers, B., "Teaching in a play-based curriculum: Theory, practice and evidence of develop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45 (45): 511-534, 2013

      55 Giroux, H. A., "Teachers as intellectuals: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learning" Bergin & Garvey Publishers 1988

      56 Van Manen, M., "Reflectivity and the pedagogical moment: The normativity of pedagogical thinking and acting" 23 : 507-536, 1991

      57 Ljubetić, M., "New competencies for the pre-school teacher: A successful response to the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2 (2): 82-90, 2012

      58 Barad, K., "Meeting the universe halfway: Quantum physics and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meaning" Duke University Press 2007

      59 McLaren, P., "Life in schools: An introduction to critical pedagogy in the foundation of education" Allyn & Bacon 2003

      60 Mangwaya, E., "Knowledge, skills and abilities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student teachers: A focus group approach" 4 (4): 719-723, 2013

      61 Rinaldi, C., "In dialogue with Reggio Emilia: Listening, researching, and learning" Routledge 2006

      62 Bogue, R., "Immanent ethics. In Deleuze's way: Essays in transverse ethics and aesthetics" Ashgate 2007

      63 Biesta, G. J. J., "Giving teaching back to education. Responding to the disappearance of the teacher" 6 (6): 35-49, 2012

      64 Souto-Manning, M., "Freire, teaching, and learning: Culture circles across context" Peter Lang Pub 2010

      65 Cannella, G. S., "Deconstructing early childhood learning culture" Open University Press 1997

      66 Kiderry, A., "Critical pedagogy: A useful framework for thinking about early childhood curriculum" 29 (29): 33-37, 2004

      67 Pyle A, "Continuum of play-based learning: The role of the teacher in play-based pedagogy and the fear of hijacking play" 28 (28): 274-289, 2017

      68 Kincheloe, J., "Contextualizing teaching" Longman 2000

      69 유영의, "Borich 공식을 통해 살펴 본 유아의 놀이권리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31-156, 2018

      70 Doll, Jr. W. E., "A post-modern perspective on curriculum" Teachers College Press 1993

      71 임종헌,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4 (44): 5-32, 2017

      72 이경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정부 발행 교단지원 자료의 놀이 담론 비판"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8 (18): 1-25, 2019

      73 김은영,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개정(안) 개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7

      74 이경화, "3-5세 누리과정의 한계와 유아교육자의 과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1-23,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5-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Critical Inquiry of Childhood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KCI등재
      2022-05-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어린이교육비평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레지오교육학회 ->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the Reggio Emilia Approach -> Korean Society for Critical Inquiry of Childhood Edu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