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장학금정책의 학자금 부담 경감효과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National Scholarship Policy on the Reduction of the Tuition Fee Burd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8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reducing the financial burden of the National Scholarship Policy. For the analysis, KELS 2005 data was used. The methodology for the study was based on the mean-difference, multiple regression, l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reducing the financial burden of the National Scholarship Policy. For the analysis, KELS 2005 data was used. The methodology for the study was based on the mean-difference, multiple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and 2D model.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Scholarship Policy, the degree of worry about tuition fees was significantly lowered. Second, the degree of concern about the cost of tuition was higher despite the fact that the tuition provision rate of the students who received the national scholarship was significantly higher. Third, the higher the tuition fee and the higher COA, the higher the concern about tuition preparation, and the higher the private tuition fee, the higher the tuition raising part-time job plan. Last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in terms of reducing tuition procurement part-time work plans and increasing tuition appropriation rate. Summarizing the results above, the National Scholarship Policy seems to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financial burden. However, considering the significant impact of COA on the financial burden, the concept of total COA needs to be actively reviewed in the government's financial aid poli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가장학금정책의 학자금 부담 경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한 연구로서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의 7차년도와 9차년도 자료를 패널자료로 구성하여 활용하였다. 학자금 부...

      이 연구는 국가장학금정책의 학자금 부담 경감효과를 분석하고자 한 연구로서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의 7차년도와 9차년도 자료를 패널자료로 구성하여 활용하였다. 학자금 부담 경감은 학자금 부담에 대한 인식, 등록금 충당률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분석에는 정책 도입 이전과 이후, 정책 수혜 및 미수혜 집단의 학자금 부담 경감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평균차이, 다중회귀 및 로지스틱 회귀모형이 활용되었으며 정책의 순수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중차감법이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국가장학금정책 시행 이후 학비마련걱정정도가 유의하게 낮아졌고 장학금으로 등록금을 충당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둘째, 국가장학금 수혜 여부에 따라 경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국가장학금 수혜 학생의 등록금 충당률이 유의하게 높음에도 불구하고 학비마련에 대한 우려의 정도는 더 높았으며 대출 이용 비율도 국가장학금 미수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국가장학금 수혜 여부가 학자금 부담에 미치는 영향 및 학자금 부담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등록금이 높고 총재학비용(COA)이 높을수록 학비마련에 대한 우려가 높았고 사교육비가 높을수록 학비조달아르바이트계획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국가장학금정책의 순수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비조달아르바이트계획 감소 및 등록금 충당률 증가의 측면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국가장학금정책은 학자금 부담 경감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명숙, "학자금지원 유형이 대학생 학습활동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233-254, 2016

      2 신혜숙, "학자금 지원이 대학 신입생의 학업성취와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학설립별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4 (14): 129-154, 2013

      3 채재은, "학자금 중복지원방지 제도의 실효성 증대를 위한 중복지원범위 적정성 검토 연구" 한국장학재단 2016

      4 양정승, "학자금 대출과 대학생의 취업 준비 및 성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5 이준호,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제도가 중 · 저소득층 대학생의 학기 중 노동 및 학업활동에 미치는 처치-의도 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105-134, 2012

      6 교육부, "체감 가능한 등록금 부담 경감을 위한 2018년도 국가장학금 기본계획"

      7 한병석, "인적자본에 대한 금융지원의 역사- 학자금지원정책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사학회 28 (28): 45-79, 2013

      8 차성현, "인과매개모형을 적용한 학자금 지원 정책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107-128, 2016

      9 진상기, "우리나라 고등교육 학자금지원정책 진단과 제언: 정책효과성 분석 및 제도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5 (5): 39-72, 2013

      10 진상기, "우리나라 고등교육 학자금 지원사업의 정책효과 분석: 학자금 부담 경감 및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41-63, 2013

      1 우명숙, "학자금지원 유형이 대학생 학습활동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233-254, 2016

      2 신혜숙, "학자금 지원이 대학 신입생의 학업성취와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학설립별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4 (14): 129-154, 2013

      3 채재은, "학자금 중복지원방지 제도의 실효성 증대를 위한 중복지원범위 적정성 검토 연구" 한국장학재단 2016

      4 양정승, "학자금 대출과 대학생의 취업 준비 및 성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5 이준호,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제도가 중 · 저소득층 대학생의 학기 중 노동 및 학업활동에 미치는 처치-의도 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105-134, 2012

      6 교육부, "체감 가능한 등록금 부담 경감을 위한 2018년도 국가장학금 기본계획"

      7 한병석, "인적자본에 대한 금융지원의 역사- 학자금지원정책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사학회 28 (28): 45-79, 2013

      8 차성현, "인과매개모형을 적용한 학자금 지원 정책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107-128, 2016

      9 진상기, "우리나라 고등교육 학자금지원정책 진단과 제언: 정책효과성 분석 및 제도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5 (5): 39-72, 2013

      10 진상기, "우리나라 고등교육 학자금 지원사업의 정책효과 분석: 학자금 부담 경감 및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41-63, 2013

      11 이필남, "여대생의 재학기간 연장과 중도탈락 결정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207-233, 2012

      12 남수경, "실질적인 학업수행에 필요한 학자금 지원을 위한 중복지원 방지사업 재설계" 한국장학재단 2020

      13 김병주, "소득연계 맞춤형 장학금의 효과적 추진방안 연구" 한국장학재단 2014

      14 이성은, "등록금 조달방법과 근로시간, 학습시간,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25, 2016

      15 이희숙,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의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에 대한 대학생활 성과 분석" 한국사회역사학회 22 (22): 143-179, 2019

      16 한성민, "대학생 학자금대출제도 개선방안 연구" 12 : 1-86, 2014

      17 김지하, "대학생 학자금대출 수요 집단의 특성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27-58, 2009

      18 김진영, "대학생 학자금 지원의 성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4 (24): 65-88, 2015

      19 김정은, "대학생 학자금 지원 정책이 학업성취 및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3 (53): 317-345, 2015

      20 남수경, "대학생 장학금정책의 투자효과 분석 : 2012 국가장학금 도입 이전 저소득층 장학금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55-82, 2016

      21 김안나, "대학생 선택에 미치는 학자금지원의 영향: 휴학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41 (41): 163-180, 2010

      22 정원숙, "대학등록금 부담 경감 정책형성과정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23 안종석, "대학 학자금에 대한 재정지원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향"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7

      24 이희숙, "국가장학금정책과 학자금대출수요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4 (24): 211-236, 2015

      25 이필남, "국가장학금이 대학생의 근로 및 학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81-116, 2013

      26 이희숙, "국가장학금 정책이 학자금 대출제도 이용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0 (30): 766-779, 2018

      27 우광호, "교육 및 부(富)의 세대간 이전 대학생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9 (19): 121-150, 2010

      28 이희숙, "고등교육단계의 GDP 대비 공교육비중 민간부담률 국제비교"

      29 신혜숙, "‘등록금 충당율’에 따른 장학금 효과 분석 -가구소득 및 대학 소재지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153-177, 2014

      30 Alon, S., "Who Benefits Most from Financial Aid? The Heterogeneous Effect of Need-Based Grants on Students’ College Persistence" 92 (92): 807-829, 2011

      31 Kim, D., "The Effect of Loans on Students’ Degree Attainment: Differences by Student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77 (77): 64-100, 2007

      32 Kelchen, R., "The Cost of College Attendance: Trends, Variation, and Accuracy in Institutional Living Cost Allowances" Wisconsin Hope Lab 2014

      33 Scott-Clayton, J., "On Money and Motivation: A Quasi-Experimental Analysis of Financial Incentives for College Achievement" 46 (46): 614-646, 2011

      34 Castleman, B.. L., "Looking beyond Enrollment: The Causal Effect of Need-Based Grants on College Access, Persistence, and Graduation"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13

      35 Murdock, T. A., "It Isn’t Just Money: The Effects of Financial Aid on Student Persistence" 11 (11): 75-101, 1987

      36 Baum S., "Handbook of Research in Education Finance and Policy" Routledge 709-723, 2008

      37 Dynarski, S., "Does Aid Matter? Measuring the Effects of Student Aid on College Attendance and Completion" 93 (93): 279-288, 2003

      38 Rothstein, J., "Constrained After College: Student Loans and Early-Career Occupational Choices" 95 : 149-163, 2011

      39 Bettinger, E. P., "College Choices: The Economics of Where to Go, When to Go, and How to Pay for I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7-237, 2004

      40 Dynarski, S., "Building the Stock of College-Educated Labor" 43 (43): 576-610, 2008

      41 교육부, "2020년도 국가장학금 지원 기본계획"

      42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도 저소득층(기초, 차상위) 장학금 지원 시행계획"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