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위한 환자안전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844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구성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PRISMA를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구성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PRISMA를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간호대학생, 중재방법은 환자안전교육, 결과는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의 수치화된 보고 또는 서술적 보고, 연구유형은 무작위실험설계, 유사실험설계, 단일군 연구설계, 설문조사, 질적연구를 포함하여 수행하였다. Medline, Embases, CINAHL, DBpia, Riss, KISS를 통해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 총 2,468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PICO에 따라 자료를 추출한 결과 총 9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교육의 특성을 교육 방법과 기간, 결과변수 및 측정도구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결과 환자안전교육은 다양한 주제로 이루어졌으며, 강의식, 임상실습, 실험실, 그리고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교육되고 있었다. 교육 기간 또한 다양하였다. 결과변수는 지식, 태도, 기술 여부를 주로 확인하였는데, 이를 측정한 도구는 다양하였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교육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주제, 방법, 기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므로, 환자안전 역량을 갖춘 간호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교육기관과 실무기관에서 일관되고 통합적인 환자안전교육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nursing students to find out the types and composition of patient safety-related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 was conducted systematically using PRISMA. The patient was a nursing college stude...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nursing students to find out the types and composition of patient safety-related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 was conducted systematically using PRISMA. The patient was a nursing college student, and the intervention was patient safety education. The outcome was either numerical or descriptive reports of the results measured using the tool. The types of research were carried out including randomized design, quasi-experimental design, one-group design, survey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paper was searched through Medline, Embases, CINAHL, DBpia, Riss and KISS. A total of 2,468 papers were searched in the search results, and nine paper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extracting data according to PICO.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 safety educa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 period, result variables and measurement tools. As a result, patient safety education consisted of a variety of subjects, and was being taught through lectures, clinical practice, laboratories, and simulations. The period of education also varied. The resulting variables were mainly checked for knowledge, attitude, and skill, and the tools used to measure them varied.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through various topics, methods and periods at home and abroad.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consistent and integrated patient safety educa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working institutions to produce nursing personnel with patient safety cap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방법
      • III. 연구결과
      • IV. 논의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방법
      • III. 연구결과
      • IV. 논의
      • V. 결론
      • References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호, "환자안전의 개념과 접근방법론" 15 (15): 9-18, 2009

      2 김미란, "환자안전(patient safety) 개념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1 (41): 1-8, 2011

      3 이나주, "중소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 간호행정학회 17 (17): 462-473, 2011

      4 천희란, "보건의료관련 학과에서 환자안전 교육에 대한 고찰"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2 (42): 45-58, 2016

      5 강희정, "병원 내 의료인 안전 향상을위한 개념적 틀과 정책적 대응" 359 : 1-8, 2019

      6 손숙현,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및 안전관리 행위"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043-1053, 2017

      7 유하나, "간호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관리활동 측정도구에 대한 검증과 적용"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3423-3436, 2014

      8 Lee, N. J.,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of Korean Patient Safety Competency Assessment for Nursing Student" 2013

      9 Cronenwett, L.,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55 (55): 122-131, 2007

      10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Period 3 Accreditation Criteria for Acute Infirmary Hospitals"

      1 이재호, "환자안전의 개념과 접근방법론" 15 (15): 9-18, 2009

      2 김미란, "환자안전(patient safety) 개념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1 (41): 1-8, 2011

      3 이나주, "중소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 간호행정학회 17 (17): 462-473, 2011

      4 천희란, "보건의료관련 학과에서 환자안전 교육에 대한 고찰"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2 (42): 45-58, 2016

      5 강희정, "병원 내 의료인 안전 향상을위한 개념적 틀과 정책적 대응" 359 : 1-8, 2019

      6 손숙현,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및 안전관리 행위"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043-1053, 2017

      7 유하나, "간호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관리활동 측정도구에 대한 검증과 적용"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3423-3436, 2014

      8 Lee, N. J.,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of Korean Patient Safety Competency Assessment for Nursing Student" 2013

      9 Cronenwett, L.,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55 (55): 122-131, 2007

      10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Period 3 Accreditation Criteria for Acute Infirmary Hospitals"

      11 Robson, W., "Patient safety is improved by early training" 18 (18): 910-910, 2009

      12 Lee, N. J.,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 A crosssectional study" 18 (18): 163-171, 2016

      13 Vaismoradi, M., "Patient safety : nursing students'perspectives and the role of nursing education to provide safe care" 58 (58): 434-442, 2011

      14 Lyons, P., "National Patient Safety Education Framework bibliography" Commonwealth of Australia 2005

      15 Page, A, "Keeping patients safe:Transforming the work environment of nurses" National Academies Press 108-155, 2004

      16 Kyrkjebø, J. M., "Improving patient safety by using interprofessional simulation training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20 (20): 507-516, 2006

      17 Pronovost, P. J., "Evaluation of the culture of safety : survey of clinicians and managers in an academic medical center" 12 (12): 405-410, 2003

      18 Lee, N. J.,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to Measure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ies"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7 0.78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