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he Effect of Animations on the AAC Symbol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애니메이션이 지적장애아동의 AAC 상징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51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nimation on the AAC symbol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The primary question of this study was whether there were any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the symbol recognition accuracy between pre- and post-test of the animation symbol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ID, and the secondary question was whether there were any developmental effect such as intellectual ability, age, and grade on the symbol recognition accuracy of children with ID. Participants were 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ild to moderate ID. Participants’ symbol recognition accuracy was measured by the pre- and post-test using 20 static symbols and their corresponding 20 animated symbols displayed in the 11.6 inch slate tablet PC.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pre-and post-tests of the participants’ symbol recognition accuracy. However, the participants’ symbol recognition accuracy was not correlated with their IQ, age, and grade. Further study needs to be conducted with a large sample and a control group.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nimation on the AAC symbol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The primary question of this study was whether there were any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the symbol 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nimation on the AAC symbol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The primary question of this study was whether there were any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the symbol recognition accuracy between pre- and post-test of the animation symbol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ID, and the secondary question was whether there were any developmental effect such as intellectual ability, age, and grade on the symbol recognition accuracy of children with ID. Participants were 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ild to moderate ID. Participants’ symbol recognition accuracy was measured by the pre- and post-test using 20 static symbols and their corresponding 20 animated symbols displayed in the 11.6 inch slate tablet PC.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pre-and post-tests of the participants’ symbol recognition accuracy. However, the participants’ symbol recognition accuracy was not correlated with their IQ, age, and grade. Further study needs to be conducted with a large sample and a control gro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이 지적장애를 가진 아동의 AAC 상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사전/사후검사를 통해서 동적(애니메이션) 상징 교수를 실행하기 전과 후에 지적장애아동들의 AAC 상징인식 정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고, 부가적인 연구목적은 지적장애아동의 상징인식 정확도에 있어서 지능, 학년, 생활연령 등에 따른 발달적인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경도에서 중등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2명의 초등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참가자들의 상징 인식 정확도는 11.6인치 화면의 슬레이트 PC에 장착된 20개의 정적상징들과 그에 대응하는 20개의 동적(애니메이션) 상징들을 이용하여 평가되었으며, 애니메이션 중재를 통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의 정적상징인식 정확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애니메이션이 상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참가아동들의 상징인식 정확도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참가아동들의 상징인식 정확도는 그들의 지능, 연령, 학년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지적장애학생들이 참여했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더 많은 수의 지적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실행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이 지적장애를 가진 아동의 AAC 상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사전/사후검사를 통해서 동적(애니메이션) 상징 ...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이 지적장애를 가진 아동의 AAC 상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사전/사후검사를 통해서 동적(애니메이션) 상징 교수를 실행하기 전과 후에 지적장애아동들의 AAC 상징인식 정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고, 부가적인 연구목적은 지적장애아동의 상징인식 정확도에 있어서 지능, 학년, 생활연령 등에 따른 발달적인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경도에서 중등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2명의 초등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참가자들의 상징 인식 정확도는 11.6인치 화면의 슬레이트 PC에 장착된 20개의 정적상징들과 그에 대응하는 20개의 동적(애니메이션) 상징들을 이용하여 평가되었으며, 애니메이션 중재를 통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의 정적상징인식 정확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애니메이션이 상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참가아동들의 상징인식 정확도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참가아동들의 상징인식 정확도는 그들의 지능, 연령, 학년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지적장애학생들이 참여했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더 많은 수의 지적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실행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1. Functions of Animation
      • 2. Side-effects of Animation
      • 3. Research Purposes and Questions
      • Ⅱ. METHODS
      • Ⅰ. Introduction
      • 1. Functions of Animation
      • 2. Side-effects of Animation
      • 3. Research Purposes and Questions
      • Ⅱ. METHODS
      • 1. Participants
      • 2. Instruments
      • 3. Procedures
      • Ⅲ. RESULTS
      • 1. Results for the Primary Question
      • 2. Results for the Secondary Question
      • Ⅳ. DISCUSSION
      • 1. Summary and Discussion
      • 2. Limitations and Suggestions
      • References
      • Appendix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