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건설공사기준의 정비를 추진하기 위해 국내 건설공사기준(시공기준, 설계기준, 기타하위기준)의 운영체계를 살펴보고, 선진국 체계도 조사분석하여, 국내에 알맞은 건설공사기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건설공사기준의 정비를 추진하기 위해 국내 건설공사기준(시공기준, 설계기준, 기타하위기준)의 운영체계를 살펴보고, 선진국 체계도 조사분석하여, 국내에 알맞은 건설공사기준...
본 연구는 건설공사기준의 정비를 추진하기 위해 국내 건설공사기준(시공기준, 설계기준, 기타하위기준)의 운영체계를 살펴보고, 선진국 체계도 조사분석하여, 국내에 알맞은 건설공사기준의 운영체계와 정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금까지 체계적이지 못한 운영체계의 주요 문제점 해결과 건설공사기준 관리운영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였다. 또한, 각 발주기관별로 자체 공사발주와 관리에 적합한 전문시방서를 작성하여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여 활용함으로써 기준의 상충문제 해소를 통한 클레임의 예방, 매 공사마다 공사시방서의 작성, 시방서와 실적공사비 적산방식에 의한 내역서 공종분류체계의 연계 등 공사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건설공사기준 정비계획에 의거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건설공사기준정비와 관리체계 구축으로, 건설클레임 예방과 사용성 증대 및 건설공사관리의 효율성을 제고로 선진체계로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