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 Study of the Letters of Korean Seon Master Hanam = 漢巖禪師의 書簡文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752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on Master Hanam Sunim was one of several outstanding Seon Masters who appeared in Korea in the turbulent years that characterized the end of the Yi dynasty and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He was influential in encouraging people to develop...

      The Seon Master Hanam Sunim was one of several outstanding Seon Masters who appeared in Korea in the turbulent years that characterized the end of the Yi dynasty and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He was influential in encouraging people to develop their spirituality and attain awakening. He encouraged both Seon and Pure Land practice, and taught Sutras as well as meditation. His own life was an example of upholding the precepts and diligent spiritual practice. Despite the role he played sustaining the Seon Buddhism of Korea, there has been very little research on his life or thought in any languag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ose aspects of Hanam Sunim's life and thought that appear in his letters. While his letters may not be able to provide a complete overview, they should be able to provide a reasonable sampling of his life and thought.
      Any examination of Hanam Sunim's life would be incomplete unless it examined the ending of the Yi dynasty and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For in the space of one generation, Buddhism in Korea went from being officially persecuted by the Confucian government to being permitted by the Japanese, but at the cost of being forced to serve the Japanese occupation. The Japanese installed a hierarchal organization through which they could control or at least strongly influence the activities of the temples and sunims in Korea. With this organization, they also tried to change the precepts, the Vinaya, that governed the lives of monks, by allowing people who were married, ate meat, and drank alcohol to be ordained as monks.
      Hanam Sunim's Dharma Teacher was the Seon Master Kyo˘ngho˘ Sunim. Kyo˘ngho˘ Sunim was perhaps single-handedly responsible for revitalizing Seon in Korea. Traveling throughout the country,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awakening to one's inherent Buddha-nature. He had five main disciples who carried on his work and ensured that the seeds he had planted were to flourish in the years to come. One of these disciples was Hanam Sunim.
      Hanam Sunim was born to an upper-class family in 1876 and received a traditional education in the Confucian classics, but at the age of 20, he left home and became a monk. After several years, he came across a passage by the Koryo Dynasty Seon Master, Bojo Jinul, which precipitated his first enlightenment experience. The essence of that passage, "don't search for the Buddha outside of yourself," stayed with Hanam Sunim throughout his life.
      Hanam Sunim was famous for the diligence of his spiritual practice, and it is often said that during the last 25 years of his life he never once left his temple in the Odae Mountains. Many people, hearing of this, assume that it was because of his spiritual practice that he wouldn't leave. However, a close examination of Hanam Sunim's letters reveals that he actually did leave the Odae Mountains twice between 1926 and 1933. What kept him there in later years was hi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sunims practicing in the Odae mountains, combined with his ill-health. Hanam Sunim repeatedly refused to go to Seoul, where he would have been at the bidding of the Japanese government, and it seems that people confused this as a desire to stay in the Odae Mountains. However, several times in his letters Hanam Sunim talks about moving to Tongdo Temple or to Haein Temple, both of which are in the deep mountains. It seems he just didn't want to go to Seoul.
      The thread that runs through all of Hanam Sunim's thought about spiritual practice is his emphasis on the need for determination and putting one's understanding into practice. Hanam Sunim taught people to practice using reflective illumination, chanting, and also hwadu's. However, regardless of the method used, Hanam Sunim said that if they practiced diligently, then they would become like a burning flame, where was no place for discriminations or delusions to stick. He also emphasized that the Buddha-dharma exists everywhere, thus there is no need to seek it anyplace else.
      In his letters can be seen examples of other attitudes and beliefs that Hanam Sunim held. He had great faith in the law of cause and effect and attributed whatever happened to him as the results of his own actions. He was very humble and accepted impermanence as the basic condition of the universe.
      Hanam Sunim probably would have criticized modern scholars for engaging in the debate about sudden enlightenment versus gradual practice and then tried to harmonize their different perspectives. However, in his letters he did include several valuable cautions about the need for continued practice even after an enlightenment experience. Rather than saying that Hanam Sunim was influenced by the thought of Bojo Jinul on this issue, it may be more accurate to say Hanam Sunim's own experiences were consistent with what Jinul had written about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
      Although Hanam Sunim was one of the foremost Seon Masters of his day, he was also known for teaching sutras to the monks during the meditation retreats. This is very unusual but Hanam Sunim felt that the proper time to study the sutras was precisely when one was practicing meditation in earnest. It was then that one would be most likely to perceive the deeper meanings of the sutras. He also viewed the sutras as useful tools to guide one's practice. In his first letter to Kyongbong Sunim, he says how careful study of the sutras can guide and prevent one from going astray in their practice.
      This study has been confined to only the letters of Hanam Sunim, so it has not been possible to go into depth about many of the themes that appear in Hanam Sunim's thought. However, I hope it has been sufficient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major areas of his thought, and hopefully this will help entice future scholars to more closely examine Hanam Sunim and the other great Korean monks and nuns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암대선사는 구한말에서 한일합방이라는 한국역사의 대혼란기에 출현했던 가장 뛰어난 선사들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는 사람들이자신들의 영성을 발전시켜 깨달음을 얻도록 하는데 큰 ...

      한암대선사는 구한말에서 한일합방이라는 한국역사의 대혼란기에 출현했던 가장 뛰어난 선사들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는 사람들이자신들의 영성을 발전시켜 깨달음을 얻도록 하는데 큰 영향력을 미쳤다. 그는 선수행과 정토수행 두가지를 다 독려하였으며 경은 물론이고 참선도 가르쳤다. 그 자신의 삶은 계행을 몸소 실천하고 부단없이 참선을 수행하는 전형 그 자체였다. 한국의 선불교를 지탱해나가는데 그가 행한 역할의 전적에도 불과하고, 그의 삶과 사상의 궤적에 대한연구는 어느 나라의 언어로도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간문에 나타난 한암선사의 삶과 사상을 검토하는데 있다. 서간문이 선사의 삶과 사상의 전체적인 모습을 완벽하게 제공할 수는 없을지 모르지만, 적어도 상당한 부분을 담아낼 수 있으리라고 본다.
      한암스님의 삶에 대한 연구는 구한말과 일제 통치기를 검토 하지 않고서는 불완전하게 된다. 왜냐하면 한 세대동안 한국불교는 유교국가에서 공적으로 박해를 받아왔던 상태에서 일본인들에 의해서는용인되는 상태로 바뀌었지만,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강제로 동참한다는 대가를 치르고서 였기 때문이다. 일본은 위계체제적인 조직을 만들어서 한국내의 사찰과 스님들의 활동을 통제하거나 강력히 규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조직을 통해서 일본인들은 승려들의 삶을 지배하는 계를 바꾸려고 시도하여, 계를 받은 승려들이 혼인을 하고, 육식을 하며, 음주을 하도록 허용하였다.
      한암스님의 법사 스님은 경허선사였다. 경허선사는 아마도 혼자의 힘으로 한국의 선불교를 다시 일으키신 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경허스님은 온 나라를 이곳 저곳 다니시며, 자성을 깨달음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가르치셨다. 그는 당신의 작업을 이어갈 다섯 명의 제자를 두었는데 당신이 뿌린 씨가 앞으로 올 시대에 번성하리라는 것을 확신하셨으며, 그 제자들 중의 한 사람이 바로 한암스님이시다.
      한암스님은 1876년 양반집안에 태어나셨으며, 유학의 고전을 배우는 전통적인 교육을 받으셨지만, 스무살 되던 해에 출가하여 스님이 되셨다. 몇 해 뒤에 스님은 당신의 첫번째 깨달음을 촉발시키는, 고려시대의 선사인 보조 지눌대사의 말씀과 조우하게 된다. 그 말씀의 골자는 "밖에서 부처를 찾지 말라."였으며, 한암스님은 평생동안 이 말씀을 수지하셨다.
      한암스님은 당신의 근면한 참선수행으로 유명하였는데, 생의 마지막 25년 동안 오대산에 있는 당신이 머무시던 절에서 한번도 나와 보신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얘기를 듣고 많은 사람들은 당신이 절을 떠나시지 않은 것은 참선 수행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한암스님의 서간문을 자세히 살펴보면, 스님은 1926년과 1933년 사이에 오대산을 두번 떠나신 적이 있음이 드러난다. 생의 말년에 스님이 산에 머무르셨던 이유는 오대산에 수행하고 있는 승으로서의 책임감과 악화된 건강상태 때문이었다. 한암스님은 서울로 가시기를 여러 번 거절하셨다. 서울에 가셨더라면 스님은 일본정부의 뜻대로 움직이실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것을 사람들은 스님이 오대산에 머물기를 바라신다고 여겼던 것 같다. 그러나, 서간문의 곳곳에서 한암스님은 통도사나 해인사로 옮기시는 문제를 말씀하고 계신데, 이 두 사찰 다 깊은 산중에 있다. 스님은 그저 서울에는 가고 싶어하지 않으신 것처럼 보인다.
      참선 수행에 관한 한암스님의 사상을 관통해서 흐르고 있는 맥은 수행자의 단호한 결의의 필요성과 수행자가 이해한 바를 실제로 실행에 옮기는 것을 강조하신 점이다. 한암스님은 사람들로 하여금 화두, 묵언수행, 염불을 하도록 가르치셨다. 그러나, 스님은, 방법이 무엇이건 간에 부지런히 수행만 하면 타오르는 불꽃과 같이 되어서, 분별심이나 망상이 붙을 자리가 없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고 말씀하셨다. 그는 또한 불법은 어디에나 있으므로 불법을 찾기 위해 다른 장소를 찾아 다닐 필요가 없다고 강조하셨다.
      서간문에서 우리는 한암스님이 가지셨던 믿음과 그 밖의 스님의 마음 가짐을 엿볼 수도 있다. 스님은 인과법을 철두철미하게 믿으셨고, 당신에게 벌어진 일은 무엇이든지 간에 당신그것을 당신이 저질렀던 행의 결과로 돌리셨다. 스님은 매우 겸허하셨고, 일시성(영원한 것이 없음)을 우주의 기본적인 조건으로 받아드리셨다.
      한암스님은 아마도 돈오 점수에 관한 논쟁을 벌이는 지금의 학자들을 비판하시면서, 학자들이 지닌 각기 다른 시각들이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하실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의 서간문에는 깨달음의 경험을 한 이후에 조차도 지속적인 수행을 할 필요가 있음을 여러번 강조하여 주의를 주고 계신 것을 볼 수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한암스님이 보조 지눌대사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기 보다는, 한암스님 자신의 체험이 지눌대사가 돈오와 점수에 대해 서술해 놓은 것과 일치했다고 말하는 편이 더 정확하리라고 본다.
      비록 한암스님이 당대 최고의 선사중의 한 분이었다고는 하지만, 안거 기간 중에는 승려들에게 경도 가르치셨다는 사실 역시 잘 알려져 있다. 이것은 대단이 이례적인 것이지만, 한암스님은 수행자가 경을 공부해야 하는 최적의 시기는 참선 수행을 진실하게 하고 있을 때라고 느끼셨다. 그 시기야말로 수행자가 경의 깊은 뜻을 파악하기에 가장 좋은 때이기 때문이다. 그는 또한 경은 수행를 이끌어가는 매우 유용한 도구하고 보았다. 경봉스님께 보낸 첫 편지에서 한암스님은 경을 조심스레 공부하는 것이 어떻게 수행자가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며, 잘못된 수행으로 빠지지 않도록 막아주는지를 말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암스님의 쓰신 서간문에만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한암스님의 사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러 주제들을 보다 심도 있게 파고든다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그러나, 필자는 본 논문이 한암스님의 사상의 여러 영역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기에는 충분하며, 이것이 앞으로 다른 학자들로 하여금 한암스님을 비롯하여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의 한국의 다른 위대한 남녀 선사들에 대한 연구로 이어지는 촉발제가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Table of Contents = ⅲ
      • Abbreviations and Notes on the Romanization of Korean = ⅵ
      • I. Introducton = 1
      • 1. Research Purpose and Method = 2
      • 2. Previous Research = 2
      • Table of Contents = ⅲ
      • Abbreviations and Notes on the Romanization of Korean = ⅵ
      • I. Introducton = 1
      • 1. Research Purpose and Method = 2
      • 2. Previous Research = 2
      • II. Hanam Sunim and the Events Surrounding His Life = 7
      • 1. Korea and Japan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 7
      • 1)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 7
      • 2) Japanese Influences Upon Korean Buddhism = 11
      • 2. Ky6ngh6 Sunim and His Role in Korean Buddhism. = 17
      • 3. The Life of Hanam Sunim = 20
      • 1) Biography = 20
      • a. Early Life = 21
      • b. Meeting Ky6ngh6 Sunim = 23
      • c. 1905-1914 = 24
      • d. 1914-1925 = 25
      • e. The Odae Mountains and Sangw6n Temple. = 29
      • f. Protecting the Temple and Nirvana = 35
      • 2) Never Leaving the Mountains = 36
      • 4. The Writings of Seon Master Hanam = 44
      • 1) Extant Works = 44
      • a. Dharma Talks = 46
      • b. Poems = 47
      • c. Letters = 50
      • d. Miscellaneous Writings = 50
      • 2) Hanam Sunim's Letters to Ky6ngbong Sunim = 54
      • a. Problems with Dating the Letters = 54
      • b. Suggested Dates and New Sequence = 57
      • III. Hanam Sunim's Thought as Manifested in His Letters = 66
      • 1. Traditional Methods of Spiritual Practice = 66
      • 2. The Nature of Spiritual Practice = 69
      • 3. Behaviors and Beliefs Supportive of Spiritual Practice = 74
      • 1) Nondiscrimination = 74
      • 2) Determined Effort and Application = 75
      • 3) Humility = 77
      • 4) Cause and Effect = 78
      • 5) Impermanence = 81
      • 6) Harmony = 81
      • 7) The Buddha-dharma Exists Everywhere = 83
      • 4. Practice After Enlightenment = 84
      • 1) Cautions = 87
      • 2) Hanam Sunim and Bojo Jinul = 88
      • 5. Seon and the Scriptures = 90
      • Ⅳ. Conclusion = 94
      • Glossary = 96
      • Bibliography = 101
      • Appendixes = 106
      • Appendix A Map of Korea: Important Places in Hanam Sunim's Life = 106
      • Appendix B Han Shan(寒山)Poems quoted by Nanam Sunim = 107
      • Appendix C The "Ten Gates" of Bojo Jinul = 108
      • Hanam Sunim's Letters = 111
      • A. English Translations of Hanam Sunim's Letters = 111
      • B. Original Text of Hanam Sunim's Letters = 182
      • Abstract = 212
      • 초록 = 2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