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일 수교교섭에서의 미사일문제: 국제사회의 경계를 넘어서 = The Impact of Ballistic Missile Issues on North Korea-Japan Diplomatic Normalization Talk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Boundaries of International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918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학파(English School)가 제기한 ``국제사회의 경계(the boundaries of international society)``이론을 이용해, 북한 미사일문제가 북일 국교 정상화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학파(English School)가 제기한 ``국제사회의 경계(the boundaries of international society)``이론을 이용해, 북한 미사일문제가 북일 국교 정상화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재조명하는 것이다. 논쟁의 초점은 국제사회의 경계에 관한 분석 틀을 제시함과 동시에, 북일 수교교섭과 북한의 미사일 발사 경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국제사회는 공동의 체제, 이익, 정체성을 담보한 공동체로서, 새로운 회원이 되고자 하는 국가에게 전반적인 체제의 변화를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외부에 위치하는 국가인 북한은 국제사회의 일부인 일본과 지난 20년간 간헐적으로 수교회담을 열어 왔다. 이러한 양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미사일 실험은 오히려 북한에 대한 적대적 정체성을 부각시킴으로써, 관련국 상호 간 협력을 강화시키는 쪽으로 변화하게 만들었다. 즉 북한의 미사일 발사실험은 미일동맹의 공고화, 일본의 독자적 방위능력의 제고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북한 미사일 발사실험이 단기적으로 북 일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중 장기적으로 북 일 관계의 변화 가능성에 주목한다. 실제로 국제사회의 경계는 고착화된 경계선으로서의 개념이기보다는 공동의 이익을 찾아 대화하고 상호 간의 정체성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변동의 가능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the theoretical orientation of the English School, this research illustrates how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 tests have affected its diplomatic normalizetion talks with Japan. This research first reviews the extant literature on the boundari...

      Using the theoretical orientation of the English School, this research illustrates how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 tests have affected its diplomatic normalizetion talks with Japan. This research first reviews the extant literature on the boundaries of international society in order to formulate an analytical framework for investigating the North Korea-Japan relations. Second, this paper juxtaposes the progresses of North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and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 tests to determine their linkage. Since international society is a community of nation states sharing common rules, institutions, interests, identities and norms, we argue that any aspiring member is requested to undergo ideational and institutional changes befitting its new membership. Being situated outside international society, North Korea has organized diplomatic normalization talks with Japan for two decades, hinting at the possibility of far-reaching ideational and institutional reform. Despite these efforts, however,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 tests contributed to consolidating North Korea`s identity as an enemy state and strengthening security cooperation amongst its neighboring states. More specifically,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 tests led to the strengthening of U.S.-Japan alliance and Japan`s independent defense preparedness. Even though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 tests had negative impacts on its relations with Japan on a short-term basis, however, this research leaves open the possibility of North Korea-Japan rapprochement on a mid-term and long-term basis. This is because the boundaries of international society are not a fixed demarcation line, but a temporary borderline malleable to the progress of diplomatic negotiations and social exchanges to revise mutual identities and nor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복, "한일회담의 경험과 북일수교회담의 전망: 공개된 한일협상자료를 중심으로" 11 : 175-195, 2006

      2 오일환, "탈냉전 이후 북·일 관계와 그 진전을 위한 한국의 대응" 2 (2): 5-40, 2007

      3 남창희, "일본의 미사일 방어체계 정책적 함의" (45) : 56-75, 2006

      4 이기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일본 동향" 2009

      5 김주삼, "북한의 미사일 발사능력과 미일군사동맹"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45-170, 2006

      6 강태훈, "북한과 일본의 국교정상화에 관한 연구" 2 (2): 125-142, 2004

      7 장준익, "북한 핵무기와 미사일 전략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4

      8 국회도서관, "북한 장거리 로켓-미사일 한눈에 보기: Fact Book" 국회도서관 2009

      9 박영호, "북한 외교정책에서 핵·미사일(대량살상무기)의 의미와 한계" 2006

      10 장명순,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향" (47) : 88-114, 2006

      1 김용복, "한일회담의 경험과 북일수교회담의 전망: 공개된 한일협상자료를 중심으로" 11 : 175-195, 2006

      2 오일환, "탈냉전 이후 북·일 관계와 그 진전을 위한 한국의 대응" 2 (2): 5-40, 2007

      3 남창희, "일본의 미사일 방어체계 정책적 함의" (45) : 56-75, 2006

      4 이기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일본 동향" 2009

      5 김주삼, "북한의 미사일 발사능력과 미일군사동맹"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45-170, 2006

      6 강태훈, "북한과 일본의 국교정상화에 관한 연구" 2 (2): 125-142, 2004

      7 장준익, "북한 핵무기와 미사일 전략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4

      8 국회도서관, "북한 장거리 로켓-미사일 한눈에 보기: Fact Book" 국회도서관 2009

      9 박영호, "북한 외교정책에서 핵·미사일(대량살상무기)의 의미와 한계" 2006

      10 장명순,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향" (47) : 88-114, 2006

      11 이상현, "북한 미사일 사태, 어떻게 볼 것인가" (477) : 120-123, 2006

      12 양기웅, "북일수교협상(1990-2006)의 결렬(決裂)과 재개(再改)의 조건" 현대일본학회 (23) : 113-162, 2006

      13 정영철, "북일관계의 정치경제학: 명분과 실리의 변증법" 북한연구학회 9 (9): 157-184, 2005

      14 이원덕, "북일 수교교섭과 일본의 대북정책" 한국협상학회 115-124, 1999

      15 서동만, "북일 수교 교섭의 전망과 과제" 19 : 15-27, 2001

      16 도진순, "동북아 탈냉전의 고리, 북일 수교교섭의 역사와 한계. in: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6권(제3분과, 근₩현대사편)"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179-221, 2005

      17 김근석,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회고와 전망" 극동문제연구소 18 (18): 4-119, 2002

      18 외교통상부, "군축·비확산 편람, 2007" 외교통상부 2007

      19 高崎宗司, "檢: 日朝交涉" 平凡社 2004

      20 江畑讓介, "日本の安全保障" 讓淡社現代新書 1997

      21 讀賣新聞政治部, "外交を喧にした男: 小泉外交二 日の眞實" 新潮社 2006

      22 田中均, "外交の力" 日本經濟新聞出版社 2009

      23 外務省, "世界と日本のデ一タを見る"

      24 船橋洋一, "ゼ₩ぺニンジュラ₩クエスチョン: 朝鮮半島第二次核危機" 朝日新聞社 2006

      25 "『헤럴드경제』(2009년 4월 5일)"

      26 "『한국경제』(2009년 4월 7일)"

      27 "『한겨레신문』(2006년 6월 16일, 7월 5일, 2009년 4월 7일)"

      28 "『중앙일보』(2009년 7월 6일)"

      29 "『조선중앙통신』(2002년 9월 17일)"

      30 "『조선일보』(2009년 4월 7일)"

      31 "『연합뉴스』(2009년 4월 5일, 4월 6일, 4월 7일)"

      32 "『세계일보』(2006년 2월 3일)"

      33 "『문화일보』(2009년 4월 7일)"

      34 "『매일경제』(2009년 4월 6일)"

      35 "『동아일보』(2009년 4월 7일)"

      36 "『경향신문』(2006년 7월 6일, 7월 25일)"

      37 "『読売新聞』(2009年4月22日)"

      38 "『共同通信』(1999年12月8日)"

      39 Gong, Gerrit W., "The Standard of ‘Civilization’ in International Society" Clarendon Press 1984

      40 "The New York Times (Jun 15, 2006)"

      41 Bull, Hedley,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1984

      42 Linklater, Andrew, "The English School of International Relations: A Contemporary Reassess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43 Bull, Hedley, "The Anarchical Society: A Study of Order in World Politics" Palgrave Macmillan 1977

      44 Wight, Martin, "Systems of States" Leicester University Press 1977

      45 Wendt, Alexander,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6 Saunders, Elizabeth, "Setting Boundaries: Can International Society Exclude ‘Rogue States’?" 8 (8): 23-54, 2006

      47 Litwak, Robert S., "Rogue States and U.S. Foreign Policy: Containment after the Cold War" Woodrow Wilson Center Press 2000

      48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Press Conference by Prime Minister Junichiro Koizumi After the Japan-North Korea Meeting"

      49 Clark, Ian, "Legitimacy in Internationa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0 Fouse, David, "Japan’s Post-Cold War North Korea Policy: Hedging toward Autonomy?. in: Japan in a Dynamic Asia: Coping with the New Security Challenges" Lexington Books 135-155, 2006

      51 Curtis, Gerald L., "Japan’s Foreign Relations after the Cold War: Coping with Change" M.E. Sharpe 1993

      52 Bellamy, Alex J., "International Society and its Cr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53 Shambaugh, David, "International Relations of Asia" Rowman & Littlefield 2008

      54 Bull, Hedley, "Hedley Bull on International Society" Macmillan Press 2000

      55 Kang, David C., "Getting Asia Wrong: The Need for New Analytical Frameworks" 27 (27): 57-85, 2003

      56 Buzan, Barry, "From International to World Society?: English School Theory and the Social Structure of Globalis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57 Buzan, Barry, "From International System to International Society: Structural Realism and Regime Theory Meet the English School" 47 (47): 327-352, 1993

      58 Katzenstein, Peter J., "East Asia-Beyond Japan. in: Beyond Japan: The Dynamics of East Asian Regionalism" Cornell University Press 1-36, 2006

      59 Son, Key-young, "Constructing Fear: How the Japanese State Mediates Risks from North Korea" 22 (22): 169-194, 2010

      60 George, Alexander L., "Bridging the Gap: Theory & Practice in Foreign Policy"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7-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and World Politic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5 1.32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