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조선전기 문인인 양곡(陽谷),소세양(蘇世讓)의 문집인 <<陽谷集>> 가운데 제 1권에 수록된 166수의 시 가운데 83首를 순차적으로 譯註한 것이다. 본 논문이 蘇世讓의 詩 譯註...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72977
광주 : 전남대학교, 2017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 2017. 2
2017
한국어
411.1407
광주
110 ; 26 cm
지도교수: 장춘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전기 문인인 양곡(陽谷),소세양(蘇世讓)의 문집인 <<陽谷集>> 가운데 제 1권에 수록된 166수의 시 가운데 83首를 순차적으로 譯註한 것이다. 본 논문이 蘇世讓의 詩 譯註...
본 논문은 조선전기 문인인 양곡(陽谷),소세양(蘇世讓)의 문집인 <<陽谷集>> 가운데 제 1권에 수록된 166수의 시 가운데 83首를 순차적으로 譯註한 것이다.
본 논문이 蘇世讓의 詩 譯註를 하게 된것은 조선 문단의 漢詩 가운데에 후기의 시들이 많이 번역되어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조선전기‧중기의 漢詩들의 번역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연구가 진척되고 있지 못한 현실을 인식해서이다.
조선 전기의 한시 가운데에 역량이 컸던 인물들을 들어보면 이행(李荇)‧정사룡(鄭士龍)‧신광한(申光漢)‧소세양(蘇世讓) 등을 꼽을 수 있을 것인데 그 가운데에 이행(李荇)의 시문들만 역주 되었을뿐( 溶劑集) 나머지 대부분의 시문들은 아직도 번역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현실을 감안하여 소세양의 시를 역주 함으로써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는데 있어 밑거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의 발로인 셈이다.
소세양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 양곡문집은 14권 7책으로 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에 1권~10권은 詩로 구성되어 있고 11권~에서 14권은 文이다.
권수에는 1570년에 지은 박충원(朴忠元)의 序와 홍섬(洪暹)이 지은 신도비명이 실려있다.
초간본은 연세대 중앙도서관(811‧ 97-소세양-양-가)에 결본 12권6책(권13~14缺), 일본 동양문고에 완본이 소장되어 있으며, 이 초간본이 병화로 산일되고 전하는 책이 거의 없었는데 종후손 소수중(蘇洙中)이, 그 책이 유실된 잔본을 얻어 1801년(순조1) 완산황씨가등본에 따라 교정하고 보궐(補闕)하여 가장(家藏)하였다.
거기에 1835년(헌종1) 종후손 소시운(蘇始運)이 여기에 유문과 연보등을 합하여 16권 8책으로 편집하고 홍석주(洪奭周) 의 서문을 받아 보관하였다. 그 후 1935년에 종후손 소학규(蘇學奎)등이 「皇華集」‧ 「東槎集」에서 저자의 작품을 뽑아 속집 4권 2책을 만들고, 원집 16권 8책을 합하여 목활자로 重刊 하였다.
본 서의 저본은 중간본으로 1571년간 초간본으로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장본으로 문집총간본 23권이다. 이상 총 수록되어 있는 시는 총 1482수 인데 본인은 석사 과정에 이어 박사 논문에서 400여수를 역주함으로써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순차적으로 양곡 소세양의 시를 완역하는데 정성을 다기울일 작정이다. 이 작업은 조선 전기의 한시를 연구함에 있어 밀알이 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