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의 선다형 문항 적용을 통한 우리나라 초등 교사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 분석 = Adapting U.S. Multiple-choice Items to Measure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911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보미, "확률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509-533, 2008

      2 안선영,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수학적 내용 지식과 수업 실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6 (16): 25-41, 2006

      3 곽주철, "평면도형에 대한 교사의 PCK와 수업 실제의 비교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469-487, 2008

      4 오영열, "초등수학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분수의 곱셈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6 (6): 267-281, 2004

      5 이대현, "초등수학 예비교사들의 분수에 대한 표상의 분석" 7 (7): 31-41, 2003

      6 이종욱, "초등교사의 분수 지식 실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67-85, 2005

      7 박교식, "우리나라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의 의미 이해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6 (6): 235-249, 2004

      8 이종욱, "예비초등교사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교수학적 지식" 대한수학교육학회 13 (13): 2-462, 2003

      9 서관석, "예비초등교사들의 분수 연산에 관한 내용적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수준에 대한 연구:교사교육적 관점" 10 (10): 103-113, 2000

      10 김상룡, "예비교사의 초등수학 내용지식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169-186, 2004

      1 신보미, "확률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509-533, 2008

      2 안선영,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수학적 내용 지식과 수업 실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6 (16): 25-41, 2006

      3 곽주철, "평면도형에 대한 교사의 PCK와 수업 실제의 비교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469-487, 2008

      4 오영열, "초등수학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분수의 곱셈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6 (6): 267-281, 2004

      5 이대현, "초등수학 예비교사들의 분수에 대한 표상의 분석" 7 (7): 31-41, 2003

      6 이종욱, "초등교사의 분수 지식 실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67-85, 2005

      7 박교식, "우리나라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의 의미 이해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6 (6): 235-249, 2004

      8 이종욱, "예비초등교사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교수학적 지식" 대한수학교육학회 13 (13): 2-462, 2003

      9 서관석, "예비초등교사들의 분수 연산에 관한 내용적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수준에 대한 연구:교사교육적 관점" 10 (10): 103-113, 2000

      10 김상룡, "예비교사의 초등수학 내용지식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169-186, 2004

      11 방정숙,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에 대한 지식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7 (47): 291-310, 2008

      12 박경미,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한국수학교육학회 48 (48): 93-105, 2009

      13 신현용, "수학교사의 지식과 수업 실제와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 43 (43): 257-273, 2004

      14 방정숙, "수학교사의 교수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 41 (41): 2-272, 2002

      15 강윤수, "수학과예비교사들의 교수학적지식 형성 과정 탐구 : 함수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45 (45): 217-230, 2006

      16 최승현,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범주화 - 세 명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489-514, 2008

      17 교육인적자원부, "수학 4-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1

      18 송근영, "소수연산에 관한 예비초등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2 (12): 1-25, 2008

      19 성태제, "문항 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4

      20 김민경, "나눗셈 개념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이해도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5 (5): 5-240, 2003

      21 조성민,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본 수학교사 지식과 수업의 관련성 연구-고등학교 함수 내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6

      22 김원경, "교사의 수학적 지식에 대한 연구 : 함수 개념과 관련하여" 한국수학교육학회 41 (41): 8-108, 2002

      23 Hill, H. C, "Validating the ecological assumption: The relationship of measure scores to classroom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5 (5): 107-118, 2007

      24 Hill, H. C, "Validating the Ecological Assumption: Assessing elemental and structural validity: Data from teachers, non-teachers, and mathematicians" 5 (5): 81-92, 2007

      25 Hill, H. C, "Unpack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eachers' topic- specific knowledge of student" 39 (39): 372-400, 2008

      26 Shulman,L,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 4-14, 1986

      27 Stigler, "The teaching gap: Best ideas from the world's teachers for improv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The Free Press 1999

      28 Schilling,S.G, "The role of psychometric modeling in test validation: An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theory" 5 (5): 93-106, 2007

      29 An, S,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iddle school matheamtics teachers in China and the U.S" 7 (7): 145-172, 2004

      30 Ball,D.L, "The mathemtaical understanding that prospective teachers bring to teacher education" 90 (90): 449-466, 1999

      31 Grossman,P.L,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Teacher College Press 1990

      32 Baker,F.B, "The basics of item response theory,Second Edition" ERIC Clearinghouse on Assessment and Evaluation 2001

      33 Davis,B, "Mathematics-for -teaching: An ongoing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hat teachers (need to) know" 61 : 293-319, 2006

      34 Hill, H. C, "Learning mathematics for teaching: results from California's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institutes" 35 (35): 330-351, 2004

      35 Shulman,L,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57): 1-22, 1987

      36 Ball,D.L, "Knowing mathematics for teaching: Who knows mathematics well enough to teach third grade, and how can we decide?" American Educator 14-22, 2005

      37 Ma,L,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999

      38 Hill,H.C, "Introduction to scale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measures. Unpublished Instrument Dissemination Worksh" University of Michigan 2007

      39 Leinhardt G, "Expertise in mathematics instruction: Subject matter knowledge" 77 (77): 247-271, 1985

      40 Rowland, T,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The knowledge quartet and the case of Naomi" 8 : 255-281, 2005

      41 Hill, H. C, "Developing measures of teachers' mathematics knowledge for teaching" 105 (105): 11-30, 2004

      42 Ball,D.L.,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59 : 389-407, 2008

      43 Leung, F, "Competent students, competent teachers?" 37 (37): 113-129, 2002

      44 Zimowski, M. F, "Bilog-MG 3"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1996

      45 Delaney, 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dapting U.S. measures for use in Ireland" 11 : 171-197,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6 1.191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