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제 성왕대 22부의 운영과 대성 8족 = The Noted 8 families(大姓 8族) in the King Seong(聖王) of Baeje(百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18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聖王의 정치개혁은 국왕권의 안정 및 강화를 목표로 하면서도 새롭게 지배세력으로 등장한 大姓 8族의 입장 역시 고려되면서 추진되었다. 이 같은 개혁의 방향은 22部의 완비에도 반영되었다.
      外官은 대성 8족의 정치적 활동이 보장되는 방향으로 개편되었다. 다만 외관부서 가운데 일부는 『周禮』에 등장하는 관부와 동일한 부서 명칭을 갖고 있어, 외관의 정비에 『주례』의 혁신적 정치이념이 강하게 투영되었음을 알려준다. 곧 외관은 대성 8족의 정치적 활동을 보장하면서도 국왕권의 확립이 병행되는 가운데 정비되었다.
      內官의 경우 일부 부서는 외관 부서와 업무상 중복되는 경우 뿐 아니라 내관본연의 업무와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 이는 국왕권의 강화에 따라 국왕 근시집단의 정치활동 영역이 확대된 사정을 보여준다. 곧 내관은 국왕권을 뒷받침하는 방향으로 정비되었다.
      내관과 외관의 부서는 모두 대등한 격으로 편제되었다. 이는 성왕이 내관을 통해 외관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였다. 성왕은 외관적 성격이 강한 내관을 활용하여 국정운영에서 외관의 영향력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상호 대립적 성향이 있는 내ㆍ외관에 대성 8족이 고루 분포함에 따라 이들 간에 견제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이는 국왕 중심의 국정운영에 도움이 되었다.
      번역하기

      聖王의 정치개혁은 국왕권의 안정 및 강화를 목표로 하면서도 새롭게 지배세력으로 등장한 大姓 8族의 입장 역시 고려되면서 추진되었다. 이 같은 개혁의 방향은 22部의 완비에도 반영되었...

      聖王의 정치개혁은 국왕권의 안정 및 강화를 목표로 하면서도 새롭게 지배세력으로 등장한 大姓 8族의 입장 역시 고려되면서 추진되었다. 이 같은 개혁의 방향은 22部의 완비에도 반영되었다.
      外官은 대성 8족의 정치적 활동이 보장되는 방향으로 개편되었다. 다만 외관부서 가운데 일부는 『周禮』에 등장하는 관부와 동일한 부서 명칭을 갖고 있어, 외관의 정비에 『주례』의 혁신적 정치이념이 강하게 투영되었음을 알려준다. 곧 외관은 대성 8족의 정치적 활동을 보장하면서도 국왕권의 확립이 병행되는 가운데 정비되었다.
      內官의 경우 일부 부서는 외관 부서와 업무상 중복되는 경우 뿐 아니라 내관본연의 업무와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 이는 국왕권의 강화에 따라 국왕 근시집단의 정치활동 영역이 확대된 사정을 보여준다. 곧 내관은 국왕권을 뒷받침하는 방향으로 정비되었다.
      내관과 외관의 부서는 모두 대등한 격으로 편제되었다. 이는 성왕이 내관을 통해 외관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였다. 성왕은 외관적 성격이 강한 내관을 활용하여 국정운영에서 외관의 영향력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상호 대립적 성향이 있는 내ㆍ외관에 대성 8족이 고루 분포함에 따라 이들 간에 견제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이는 국왕 중심의 국정운영에 도움이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litical reformation of King Seong(聖王) was promoted for the purpose of the stability and reinforcement of the king’s power and considering the state of the noted 8 families(大姓 8族) which appeared as the new ruling group. Such a direction of reformation was also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22 Departments(22部).
      The outer government office(外官) was reformed in a way to guarantee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noted 8 families. However it shows that innovative political ideology of 『Zuruyi(周禮)』 was reflected on setting the outer government office because some departments of the outer government office had the same term of the departments which appeared in 『Zuruyi』. Finally the outer government office was arranged as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noted 8 families were guaranteed and the king’s power was established.
      In the case of the inner government office(內官),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 duties of some departments were overlapped with that of the outer government office and there were even inconsistent duties in the inner government office. It shows that the field for political activities was enlarged as the king’s power was reinforced. Finally the inner government office was arranged in a way to support the king’s power.
      All departments which belonged to the inner government office and the outer government office were arranged at the same level. It was a means to check the outer government office through the inner government office. King Seong made an utmost government office whose characteristics were close to the outer government office. And the noted 8 families checked each other because there were distributed in the inner government office and the outer government office which were appositive to one another. It was useful that the king managed state center himself.
      번역하기

      The political reformation of King Seong(聖王) was promoted for the purpose of the stability and reinforcement of the king’s power and considering the state of the noted 8 families(大姓 8族) which appeared as the new ruling group. Such a directi...

      The political reformation of King Seong(聖王) was promoted for the purpose of the stability and reinforcement of the king’s power and considering the state of the noted 8 families(大姓 8族) which appeared as the new ruling group. Such a direction of reformation was also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22 Departments(22部).
      The outer government office(外官) was reformed in a way to guarantee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noted 8 families. However it shows that innovative political ideology of 『Zuruyi(周禮)』 was reflected on setting the outer government office because some departments of the outer government office had the same term of the departments which appeared in 『Zuruyi』. Finally the outer government office was arranged as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noted 8 families were guaranteed and the king’s power was established.
      In the case of the inner government office(內官),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 duties of some departments were overlapped with that of the outer government office and there were even inconsistent duties in the inner government office. It shows that the field for political activities was enlarged as the king’s power was reinforced. Finally the inner government office was arranged in a way to support the king’s power.
      All departments which belonged to the inner government office and the outer government office were arranged at the same level. It was a means to check the outer government office through the inner government office. King Seong made an utmost government office whose characteristics were close to the outer government office. And the noted 8 families checked each other because there were distributed in the inner government office and the outer government office which were appositive to one another. It was useful that the king managed state center himself.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