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타이레놀 복용 현황 및 요인 분석 : 대한민국 성인여성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42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생리통, 두통, 신경통 등의 통증완화를 목적으로 한 타이레놀 복용과 관련하여 오·남용으로 인한 문제가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고, 이는 타이레놀을 복용하는 사람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타이레놀 오·남용으로 인해 소화불량, 발진, 두드러기, 호흡곤란, 시각이상 등의 부작용 외에 간독성, 심하면 사망까지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타이레놀 복용 대상자들이 약물의 오·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민감성과 심각성에 대해서는 인지하는 정도가 낮은 반면에, 광고 또는 주변의 권유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여성의 일반의약품 복용비율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선행 열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대상자를 여성으로 한정했다. 또한, 타이레놀은 일반적으로 두통, 감기, 신경통 외에 월경증후군의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복용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여성의 타이레놀 복용 형태,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 및 관련 요인의 행태를 분석하고,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분석을 통해 타이레놀 남용에 대한 복용행태 개선 방안에 대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을 종속 변수로 설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칠 것 같은 요인인 타이레놀 복용 위험인식, 행동 가능성, 행동계기를 독립변수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변수로 선정한 뒤 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지를 선행 논문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한국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94.6% (331개 설문지 중 313개)의 응답결과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대한민국 여성들의 타이레놀 복용 행태 및 타이레놀 오용 관련 요인의 행태를 분석했고, 음주 전·후 복용경험과 관련 요인들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대한민국 여성들의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18.0 버전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설문에 응답한 모든 여성들은 타이레놀 복용 경험이 있었으며, 45.9% (313명 중 155명)가 음주 전 타이레놀 복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45.7% (313명 중 146명)가 음주 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7.9% (313명 중 150명)가 타이레놀 복용 이유로 숙취해소로 응답하였다. 음주 전 타이레놀 복용에 대한 위험성 인식에 대한 Severity가 79.1% (43명 중 34명)로 41.9%인 Susceptibility 보다 인식도가 높았다. 음주 후 타이레놀 복용에 대한 위험성 인식에 대한 Severity가 41.9% (43명 중 18명)로 18.5%인 Susceptibility 보다 인식도가 높았다.
      둘째, 대한민국 여성들의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음주 전 복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변의 권유, 복용 Benefit, 복용 Harm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부작용경험여부, 나이, 결혼여부 경우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음주 후 복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민감성, 나이, 결혼여부 경우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주변인권유, 타이레놀 Harm, 타이레놀 Benefit, 약물안전경험 경우 유의미한 정적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약 50%가 음주 관련 숙취로 인해 타이레놀 복용 경험이 있고,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 또한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이에 대한 위험성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에 대한 행태 개선을 위한 교육, 홍보 등을 통해 타이레놀의 사용 행태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생리통, 두통, 신경통 등의 통증완화를 목적으로 한 타이레놀 복용과 관련하여 오·남용으로 인한 문제가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고, 이는 타이레놀을 복용하는 사람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

      생리통, 두통, 신경통 등의 통증완화를 목적으로 한 타이레놀 복용과 관련하여 오·남용으로 인한 문제가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고, 이는 타이레놀을 복용하는 사람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타이레놀 오·남용으로 인해 소화불량, 발진, 두드러기, 호흡곤란, 시각이상 등의 부작용 외에 간독성, 심하면 사망까지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타이레놀 복용 대상자들이 약물의 오·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민감성과 심각성에 대해서는 인지하는 정도가 낮은 반면에, 광고 또는 주변의 권유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여성의 일반의약품 복용비율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선행 열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대상자를 여성으로 한정했다. 또한, 타이레놀은 일반적으로 두통, 감기, 신경통 외에 월경증후군의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복용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여성의 타이레놀 복용 형태,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 및 관련 요인의 행태를 분석하고,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분석을 통해 타이레놀 남용에 대한 복용행태 개선 방안에 대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을 종속 변수로 설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칠 것 같은 요인인 타이레놀 복용 위험인식, 행동 가능성, 행동계기를 독립변수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변수로 선정한 뒤 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지를 선행 논문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한국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94.6% (331개 설문지 중 313개)의 응답결과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대한민국 여성들의 타이레놀 복용 행태 및 타이레놀 오용 관련 요인의 행태를 분석했고, 음주 전·후 복용경험과 관련 요인들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대한민국 여성들의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18.0 버전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설문에 응답한 모든 여성들은 타이레놀 복용 경험이 있었으며, 45.9% (313명 중 155명)가 음주 전 타이레놀 복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45.7% (313명 중 146명)가 음주 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7.9% (313명 중 150명)가 타이레놀 복용 이유로 숙취해소로 응답하였다. 음주 전 타이레놀 복용에 대한 위험성 인식에 대한 Severity가 79.1% (43명 중 34명)로 41.9%인 Susceptibility 보다 인식도가 높았다. 음주 후 타이레놀 복용에 대한 위험성 인식에 대한 Severity가 41.9% (43명 중 18명)로 18.5%인 Susceptibility 보다 인식도가 높았다.
      둘째, 대한민국 여성들의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음주 전 복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변의 권유, 복용 Benefit, 복용 Harm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부작용경험여부, 나이, 결혼여부 경우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음주 후 복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민감성, 나이, 결혼여부 경우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주변인권유, 타이레놀 Harm, 타이레놀 Benefit, 약물안전경험 경우 유의미한 정적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약 50%가 음주 관련 숙취로 인해 타이레놀 복용 경험이 있고,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 또한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이에 대한 위험성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에 대한 행태 개선을 위한 교육, 홍보 등을 통해 타이레놀의 사용 행태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roblem of misuse and overuse of Tylenol, used to relieve pain such as menstrual cramps, headache, and neuralgia,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is getting worse and is affecting the health of women who are taking Tylenol. In addition to the side effects of Tylenol such as dyspepsia, rash, urticaria, dyspnea and visual anomaly, it also has been reported to cause hepatotoxicity and even death. In addition, Tylenol users are less aware of the sensitivity and severity of the side effects of drug misuse or overuse, while they a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advertisements or advice of friends and family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 of taking Tylenol after drinking alcohol and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Tylenol abuse and overuse.
      As a research model, Health Belief Model (HBM), a representative model of health behavior related research, was used as a reference. The questionnaire for analyzing the experience and related factors was developed with reference to the research article.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by a internet platform and 94.6% (331 out of 31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experience and related factors of Tylenol intake before or after drinking in women wer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experience of Tylenol intake after drinking and the relationship of experience and related factors was also analyzed. SPSS version 18.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summary, all respondents had experience taking Tylenol, 49.5% (155 out of 313) answered that they had taken Tylenol before drinking, 45.7% (146 out of 313) answered that they had taken Tylenol after drinking, and similarly 47.9% (150 out of 313) responders takes Tylenol due to hangover due to alcohol intake. Severity was 79.1% (34 out of 43), was higher than Susceptibility 41.9% in recognizing the risk of misuse of Tylenol before alcohol intake. The perception of risk for taking Tylenol after drinking was also higher in Severity, 41.9%, compared to susceptibility 18.5%. As a result, when comparing the perception of risk for Tylenol overdose and Tylenol intake after drinking, the questionnaire was found to have high risk perception of experience with Tylenol after drinking, in terms of both susceptibility and severit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 of taking Tylenol after drink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 believe increasing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questionnaire and repeating the statistical analysis will provide results that may create realistic data that can improve the Tylenol misuse and overuse behaviors.
      번역하기

      The problem of misuse and overuse of Tylenol, used to relieve pain such as menstrual cramps, headache, and neuralgia,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is getting worse and is affecting the health of women who are taking Tylenol. In addition to the side e...

      The problem of misuse and overuse of Tylenol, used to relieve pain such as menstrual cramps, headache, and neuralgia,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is getting worse and is affecting the health of women who are taking Tylenol. In addition to the side effects of Tylenol such as dyspepsia, rash, urticaria, dyspnea and visual anomaly, it also has been reported to cause hepatotoxicity and even death. In addition, Tylenol users are less aware of the sensitivity and severity of the side effects of drug misuse or overuse, while they a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advertisements or advice of friends and family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 of taking Tylenol after drinking alcohol and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Tylenol abuse and overuse.
      As a research model, Health Belief Model (HBM), a representative model of health behavior related research, was used as a reference. The questionnaire for analyzing the experience and related factors was developed with reference to the research article.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by a internet platform and 94.6% (331 out of 31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experience and related factors of Tylenol intake before or after drinking in women wer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experience of Tylenol intake after drinking and the relationship of experience and related factors was also analyzed. SPSS version 18.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summary, all respondents had experience taking Tylenol, 49.5% (155 out of 313) answered that they had taken Tylenol before drinking, 45.7% (146 out of 313) answered that they had taken Tylenol after drinking, and similarly 47.9% (150 out of 313) responders takes Tylenol due to hangover due to alcohol intake. Severity was 79.1% (34 out of 43), was higher than Susceptibility 41.9% in recognizing the risk of misuse of Tylenol before alcohol intake. The perception of risk for taking Tylenol after drinking was also higher in Severity, 41.9%, compared to susceptibility 18.5%. As a result, when comparing the perception of risk for Tylenol overdose and Tylenol intake after drinking, the questionnaire was found to have high risk perception of experience with Tylenol after drinking, in terms of both susceptibility and severit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 of taking Tylenol after drink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 believe increasing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questionnaire and repeating the statistical analysis will provide results that may create realistic data that can improve the Tylenol misuse and overuse behavi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 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4
      • 제1장 서론 1
      • 제 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4
      • 제2장 문헌 및 선행 연구 고찰 5
      • 제 1절 문헌 고찰 5
      • 1. 건강신념모델 (Health Belief Model) 5
      • 제 2절 선행 연구의 검토 10
      • 1.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복용형태 및 요인 분석 10
      • 제3장 연구 방법 13
      • 제 1절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13
      • 1. 조사대상 13
      • 2. 자료수집 방법 13
      • 제 2절 연구모형 및 설문지 개발 14
      • 1. 연구 모형 14
      • 2. 용어의 정의 15
      • 3. 연구모형에 따른 설문지 개발 16
      • 제 3절 분석 방법 18
      • 1. 분석변수 선정 18
      • 2. 분석 방법 20
      • 제4장 연구결과 30
      • 제 1절 응답자 일반사항 30
      • 1. 응답자의 일반현황 30
      • 2. 타이레놀 복용 현황 35
      • 3. 타이레놀 복용형태 관련 요인의 현황 37
      • 제 2절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경험 형태와 관련요인들의 연관성 41
      • 1. 상관분석 41
      • 2.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43
      •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음주 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 51
      • 제 3절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4
      • 1. 음주 전·후 타이레놀 복용경험에 따른 두 집단 간의 비교 54
      • 제 5 장 결론 및 고찰 62
      •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고찰 62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64
      • 1. 연구의 시사점 64
      • 2. 연구의 한계 65
      • 제 3절 연구의 결론 66
      • 참고문헌 67
      • 부록 69
      • ABSTRACT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